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parassis latifolia is a fungus abundant in β-glucan and amino acids and is highly valued as a medicinal mushroom. Among amino acids, γ-aminobutyric acid (GABA) is a free amino acid and has biological effects, such as increase/decrease of hypertension, improvement of cerebral blood flow, and prevention of dementia. In this study, biological elicitors were used to increase bioactive substances as a biofortification method. Sodium alginate extracted from seaweed (Sargassum horneri, Sargassum fulvellum, Sargassum fusiforme) were used as the elicitor. The levels of β-glucan and GABA in the mycelium and fruiting body grown by adding the elicitor to the medium were investigated. Addition of sodium alginate positively affected GABA production and negatively affected the β-glucan production in these fungi. Sodium alginates extracted from S. fulvellum induced the highest increase in GABA in the mycelium and fruiting bodies. Moreover,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extracts from mycelium and fruiting bodies on dendrite development in primary cortical neurons. We found that the extract from the fruiting bodies of sodium alginate treated fungi with increased levels of GABA inhibited the dendrite outgrowth of excitatory neurons, but not inhibitory neurons.
        4,000원
        2.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r-shiter is a new product possible ventilation at the same time cooling or heating with combined refrigerator and heat recovery ventilator. And a key device of this system is the air shifter. The air shifter device is to convert the outdoor air, room air, supply air and exhaust air flow. Therefore, an experimental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operating performance for this system. The results, it is possible to ventilate at the same time of heating by outside air above 30℃ in summer. and of heating by outside air within 3℃ in winter. The indoor discharge temperature is over 40℃, and the coefficient of performance is 3.4 in winter.
        4,000원
        3.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r-shiter is a new products possible ventilation at the same time cooling or heating with integrated refrigeration and ventilation units. and is a key component of the air shifter devices and bypass damper. The air shifter devices are to convert the outdoor air, room air, supply air and exhaust air flow. And the bypass damper is device to determine a ventilation. Afte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se systems were as follows. It is confirmed that the Air-shiter is possible ventilation at the same time cooling or heating, and outdoor air cooling in the spring or fall.
        4,000원
        4.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꽃송이버섯에는 인터루킨과 인터페론 생성을 촉진시켜 암세포가 있는 체내로 들어가 면역세포의 활동을 지원하여 생체방어효과를 증진시키는 베타글루칸 함량이 43.6%로 신령버섯의 3.7배, 잎새버섯의 2.4배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약․의학계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꽃송이버섯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고 국내에서도 대량재배의 활발한 움직임이 일고 있다. 따라서 베타글루칸을 증량시키는 재배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이스트 및 엘리시터 수용액을 조제하여 배지에 첨가하여 배양 및 재배특성을 조사하였다. 공시균주로는 JF02-06 균주를 사용였고 기본배지는 미송발효톱밥+옥수수+영양원(소맥분, 맥주박, 보리가루)을 사용하였다. 이스트는 4농도(0ppm, 300ppm, 500ppm, 1,000ppm)로 조제하였고, 엘리시터 첨가는 4처리구로 구분하여 상층액인 elicitor A, 침전액인 elicitor B, Yeast, Control로 구분하여 기 조제한 엘리시터(elicitor) 동결건조 분말을 200ppm 농도로 희석액을 조제한 후 배지조제시와 발생처리전 배지표면에 12mL와 20mL씩 첨가한 후 균사배양 및 버섯발생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스트 첨가배지에 따른 톱밥배지의 자실체 생산량은 균사배양 기간이 59일로 가장 짧았던 미송+맥주박+소맥분첨가구인 PBGF는 94g으로 가장 낮은 버섯발생량을 보였고 미송+옥수수+소맥분에 이스트 300ppm을 혼합첨가한 배지가 188g으로 가장 우수한 버섯발생량을 보였다. 그리고 엘리시터 첨가에 따른 톱밥배지의 균사배양 기간은 엘리스터 A(상등액)와 이스트 처리구는 대조구와 같이 43일로 조사되어 균사배양 기간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을 알수 있었으며 버섯발생량은 엘리시터 A(상등액)와 이스트 처리구의 경우 대조구 192g에 비해 오히려 높은 197g, 195g으로 조사된 반면 배양기간이 다소 오래걸렸던 엘리스터 B(침전액)의 경우 191g으로 대조구보다는 적은양이지만 거의 유사한 수준의 생산량을 보였다. 따라서 꽃송이버섯의 기능성을 감안할 때 이러한 자실체의 베타클루칸 함량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최적 배지조성 조건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5.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미치광이풀의 모상근 뱌양에 의해 의학적으로 중요한 물질인 scopolamine과 hyoscyamine 생산을 증진시키기 위해 3종의 곰팡이와 1종의 효모 유래의 생물학적 elicitor를 supernatant와 homogenate의 형태로 처리하였다. Elicitor 중 Candida albicans는 supernatant와 homogenate 모두 scopolamine 생산성을 증가시켰다. Fusarium solani의 homogenate와 C. albicans의 supernatant 처리로 hyoscyamine 함량이 증가되었다. 그러나 나머지 fungus strain도 대조구에 비해 tropane alkaloids의 생산을 다소 증가시켰다. 본 연구에서는 C. albicans가 tropane alkaloids 생산에 적합한 elicitor임으로 구명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미치광이풀 모상근 대량배양에 의한 tropane alklaoids 대량생산에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