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자연지명 및 인문지명과 관련된 도시철도 역명의 부적합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역과 명명 유연 대상의 도상(圖上) 직선거리를 주요 기준으로 삼았으나, 산·천의 고유 특성, 인접역 관련성, 포섭 여부 등도 고려하였다. 분석 결과 자연지명 관련 역명은 50개 중 28개(56.0%)가 부적합하였는데, 산과 하천 관련 역명이 대부분이었다. 인문지명 관련 역명은 341개 중 83개 (24.3%)가 부적합하였다. 인문지명 관련 부적합 비율을 세부적으로 보면, 유물·유적 관련 역명의 21.7%, 교육·연구 시설 관련 역명의 47.9%, 문화·체육·관광 시설 관련 역명의 15.8%, 교통 관련 역명의 10.2%, 관공서 관련 역명의 9.1%, 공공시설 중 기타 시설 관련 역명의 29.4%, 민간시설 관련 역명의 35.9%가 부적합하였다. 도시철도 역명의 제·개정 시 본고에서 밝힌 문제점들을 충분히 고려하여 부적합 역명의 비율을 감소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5,800원
        2.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의 도시철도 역사는 44년이나 되지만, 도시철도 역명에 관한 연구는 매우 빈약하다. 선행 연구 검토 결과 도시철도 역명에 관한 기본 특성 연구는 이미 수행된 바 있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우리나라 도시철도 전체 역명(1,033개)에 관한 심층 연구의 일환으로 역명의 부적합성을 분석하였다. 하지만 역명이 워낙 많고 특성이 서로 상이하여, 본고에서는 행정구역 관련 역명 630개에 대해서만 부적합 여부를 판단하였다. 역명 부적합성은 포섭 여부나 거리만으로 판단하는 것은 곤란하므로, 지역 대표성, 행정구역 변천 등 여러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였다. 그 결과 시·군·구명 관련 역명은 부적합 비율이 8.33%로 매우 낮았고, 읍·면·동명 관련 역명은 39.01%로 매우 높았다. 유사 행정구역명 관련 역명은 45.45%로 매우 높았고, 리·마을명 관련 역명은 9.09%로 매우 낮았으며, ‘옛 지명’ 관련 역명은 19.51%로 상당히 높았다. 도시철도 역명 제정이나 개정 시 이런 문제점을 충분히 고려하여 부적합 역명의 비율을 감소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5,800원
        3.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에 도시철도가 처음 도입된 지 44년이나 지났지만, 도시철도 역명에 대한 체계적, 종합적 연구는 매우 빈약하다. 선행 연구 검토 결과 수도권 도시철도 역명 특성에 관한 연구는 이미 수행된 바 있으므로, 본고에서는 수도권을 제외한 대도시(부산, 대구, 광주, 대전)에 건설되어 운영되고 있는 도시철도 11개 노선 282개 역을 대상으로 역명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음절 특성을 보면 2음절이 65.2%로 가장 많았고, 전체적으로는 지수(指數) 분포를 보였다. 어종별 특성은 한자어가 89.0%로 압도적이었으며, 고유어(5.0%), 혼종(4.3%), 구미어(1.8%) 순이었고, 숫자 역명은 없었다. 명명 유연성 특성은 유형 분류가 애매한 경우가 있지만, 행정구역명과 관련된 역명이 58.9%로 압도적이었고, 이어 인문지명(35.5%), 자연지명(4.6%) 관련 역명 순이었다. 행정구역 명 중에서는 읍·면·동 관련 지명이 77.1%(전체의 45.4%)로 압도적이었으며, 인문지명 중에서는 ‘사회(공공)’ 중분류에 해당하는 지명이 78.0%(전체의 27.7%)로 가장 비중이 높았다. 도시철도 역명은 시민들의 일상생활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공공성, 대표성, 사용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역명 제정 및 개정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5,500원
        4.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eoul Metro has set up a principle of liberal translation on naming its stations that it will use thematic role in naming stations in Korean to reveal the origin of the place name and is abiding by the principle. Busan Humetro also applies the same principle. In the view that it can complement the broad principle of transliteration, the thematic role can be fully considered and used in parallel as well. Especially, when thematic role is used, the place name in Chinese characters should be considered first. Furthermore, accurate understanding on the origin of the place name should be sought. However, when looking at closely, there are mistakes in many cases, such as that, the existing Chinese character place names are not considered in thematic role, or the origin of place names are misunderstood, or Chinese characters are wrongly applied. In case of transliteration, there is no independent standard on writing Chinese characters for Korean pronunciation. Therefore, a definite implementation scheme which fully reflects 「Template(英汉译音表)」should be sought. Particularly,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common noun at the rear should be thematically translated or its original pronunciation be written as is. In common nouns at the rear which reveal the natural topography, there are many cases that the common nouns at the rear have lost the topographic informativity. Therefore, it would be appropriate to do transliteration for the whole place name in case the common noun at the rear does not contain the information of the relevant region. However, looking at the actual translation examples, the place names containing the old topographical information were thematically translated uniformly, for example, 나루(ferry)→渡口, 다리(bridge)→橋, 샛강(side river)→江, 내(stream)→川, 못(pond)→池, etc. In the cases that the station name contains the needed information, for example, 성당못(Catholic church pond)→聖堂池 in Daegu Subway, the thematic role is necessary,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conveying unnecessary information, like, 여의나루(Yeouinaru)→汝矣渡口. In contrast to this, for the cases of public offices or institutions, it is basically necessary to transfer into corresponding offices or institutions in China. Presently, it is written literally as 시청(city hall)→市厅 or 구청(borough office)→区厅, but a way to change this to 市政府, or 区政府 should be considered. It would also be proper to write 검찰청(Public Prosecutors’ Office) to 检察院, rather than 检察厅. In cases that the Chinese character writings are not commonly used, like 政府厅舍, It would be also appropraite to try to find words which are commonly used, like 政府办公大楼, rather than writing as 厅舍. However, for the institutions like 国会议事堂, which does not exist in China, should be treated as exceptions. It would be awkward to translate it into 人民大会堂 overly. Because their roles are completely different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writing an English word place name into Chinese, it is necessary to judge whether it is a common noun or a proper noun. If it is a common noun, thematic role would be appropriate, and if it is a proper noun, transliteration should be done. The most problematic cases are when Chinese characters are written together while the English word place names are not translated; Centum City and Renecite Station fall under this category. For Centum City, translated words such as 仙登城 or 仙腾城, which have transliteration and thematic role together, could be suggested, and for Renecite, transliterations such as 日内西德 or 日内西特 could be suggested. In translating Chinese words,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to have uniformity whether it is by transliteration or by thematic role. For the case of 버스터미널(bus terminal), it would be embarrasing to write differently, like, 巴士客运站, 高速客运站, 客运站, etc. It is necessary to unify into one expression of, for example, 汽车客运站, or something else. Sometimes 삼거리(three way intersection) is written differently as 三岔路口 and 丁字路口, and this should also be unified. Besides, there are cases where the possibility of transliteration was suggested, like, 골(valley)→谷尔, 고개(pass)→谷给, 바위(rock)→巴伊, or 내(inside)→內. In these cases where the common nouns at the rear appear frequently, it seems necessary to form a consensus to unify the transliteration.
        5,7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