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11년 7월 우면산에서 발생한 산사태는 ‘도심에서 발생한 대규모의 산사태’라는 점에서 사회적으로 큰 화제가 있었다. 또한, 산사태 피해지의 복구사업을 통하여 사방사업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증가하였고, 그에 따라 사방사업의 기능 및 효과에 대한 논의가 계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도심 생활권에 인접한 사방사업 복구 대상지에서는 사후평과와 모니터링을 통하여 사업의 계획단계에서 재해로부터의 안정성뿐만 아니라 생태적 건전성을 확보하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 하지만 현재 사방사업지에 대한 종합적·체계적인 모니터링 및 그 사업에 대한 사후평가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심권의 대규모 산사태 피해지인 서울시 서초구 소재 우면산을 대상으로 산사태 후 복구지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하여, 사방사업의 효과를 식생복원적인 측면에서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재해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생태적 건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사방사업이 될수 있는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 대상지역은 서울시 서초구 소재 우면산 산사태지역에서 재해 발생부피가 가장 높은 레미안지구를 선택하여 실행하였으며, 모니터링 조사구는 초류 파종지(6개소 : 왕포와풀 3개소, 수크령 3개소), 관목류 군식지(6개소 : 삼색병꽃 3개소, 가막살 3개소), 교목류 묘목식재지(13개소 : 때죽나무 3개소, 팥배나무 3개소, 산벚나무 2개소, 단풍나무 1개소, 소나무 3개소)로 구분하여 총 25개소의 모니터링 조사구를 설치하였다. 모니터링 내용은 ① 조사구를 중심으로 식재 수목 및 초류 파종의 활착과 성장조사, ② 파종수종의 우점정도와 식재 수목에 대한 영향, ③ 계류사방공작물 내의 식생 이입 상황조사, ④ 모니터링 조사구를 중심으로 기존 수림지와 파종식물의 천이 조사를 하였다. 조사기간은 2013년~2015년까지 3년간 매해 4,7,10월에 조사를 실시하였다. 초본류 파종의 조사구 피복도는 2013~2015년도 평균 피복도가 각각 88.16%, 85.83%, 83.33%로 점차 줄어드는 추세이지만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관목 식재지 조사구의 2013~2015년 총평균수고생장량은 22.52㎝로 나타났으며, 교목류 묘목 식재지 조사구의 총평균수고생장량(2013~2015)은 25.91㎝, 총 평균 근원직경의 생장량은 1.03㎝로 내우 낮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식재 수목의 조사구에는 파종한 아까시나무와 족제비싸리에 의한 피압 피해가 높게 나타났으며, 덩굴류(환삼덩굴, 칡, 개오등 등)의 침입으로 인한 향후 피압피해가 예상되어진다. 파종수종의 우점정도와 식재 수목에 대한 영향을 분석한 결과 파종수종인 아까시나무와 족제비싸리나무의 우점도가 매우 높게 나타남에 따라 식재수목의 수고생장과 근원직경 생장은 연차별로 낮게 나타났다, 관목 식재지 조사구의 평균 고사율은 2013년 25.81%, 2015년 39.30%로 13.49%의 고사율이 증가하였다. 교목류 묘목식재지 조사구의 평균 고사율은2013년 14.07%, 2015년 56.81%로 42.74%의 고사율이 증가하였다. 이는 속성수인 아까시나무와 족제비싸리나무의 빠른 생육으로 인한 피압피해로 사료되며, 관목식재지 조사구에 비하여 교목류 묘목식재지 조사구의 고사율이 높은 이유는 식재간격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계류사방공작물 내의 식생이입은 돌수로와 골막이 내부와 주연부에 기장대풀, 부처꽃, 조개풀, 큰김의털, 김의털, 쇠무릎, 쑥, 애기수영, 개모시풀 등의 초본식물과 족제비싸리, 아까시, 칡 등의 목본식물이 이입하여 생육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족제비싸리와 아까시나무는 비탈면에 파종한 종자들이 유입된 것으로 사료되며, 칡은 주변 기존수림에서 유입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하단부 사방댐의 퇴사구역에는 습생식물인 애기부들과 고마리가 이입하여 군락을 이루어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면산 산사태 복구지는 전체적으로 파종한 초류와 목본류의 생장이 왕성하고 밀도가 높기 때문에 나지는 완전히 녹화 피복된 상태이다. 그리고 하단부에 경관식재를 한 조경수들의 활착과 생장도 양호한 상태이다. 그러나 기존 주변의 수림대와 수고차이가 크게 나타나기 때문에 식생복원(녹화)구역과 기존 수림대가 뚜렷한 경계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파종 목본류의 밀생과 왕성한 성장은 수주변의 기존 수림으로부터의 식생이입을 방해하고 있어서 천이를 지연시키는 요인인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향후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아카시나무, 참싸리, 족제비싸리의 밀도를 조절하거나 생존 묘목 주변을 소개시켜주는 등의 관리가 필요하다.
        2.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서울시 우면산 산사태 피해지를 대상으로 자연 상태의 피해복원지와 인접 미피해 산림지역 의 토양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산사태 발생 1년 후 2012년 9월 피해 극심지 3개 지역(자연 생태공원, 남부순환도로변, 남태령 전원마을)을 대상으로 각 지역별 피해복원지 3개소와 인접한 미피해 산림지역 3개소 등 총 18개소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조사지는 10m×10m 크기의 조사구를 설치한 후 임분 현황 및 토양 이화학적 특성 분석용 시료를 채취하였다. 토양 용적밀도의 경우 피해복원지 1.14g cm-3, 미피해지 0.87g cm-3로 피해복원지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나(P<0.05), 기상의 경우 피해복원지 27.6%, 미피해지 37.7%로 피해복원지가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토양 내 유기탄소, 질소,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의 농도와 저장량은 피해복원지와 미피해지 및 지역 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우면산 지역 산사태 피해복원지는 인접 미피해 산림지역에 비해 토양 용적밀도나 기상 같은 토양의 물리적 성질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4,300원
        3.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t has been widely recognized that accurate landslide susceptibility assessments are essential and effective to prevent disasters and minimize casualties as well as property damages. In recent decades, many slope stability assessment models have been developed and applied, including both steady and transient (time-variant) modeling approaches. None of them, however, solve well the relationship between rainfall and slope instability due to many simplifications in the boundary conditions and the flow in soil. As another slope stability modeling method, a new time-variant slope stability model is introduced in this study, the proposed model is then applied to 2011 Mt. Umyeon landslide event for model verification. The integrated surface and subsurface flow model is used to assess time-varying subsurface water amount governed by hydrological processes. In this flow model, a two-dimensional shallow water equation with diffusion wave approximation and a three-dimensional Richards’ equation are used to formulate the surface flow system and the saturated–unsaturated subsurface flow system, respectively. A widely used time-variant slope stability analysis model, TRIGRS, is also applied to the same event for comparison. The proposed model produced significantly improved results as compared with those of TRIGRS in terms of agreement with observ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