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에서 이체자 유형화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것은 2006년 한국고전번역원에서 <이체자정 보>시스템을 구축하면서부터이며, 이후 2012년부터 <유니코드한자 검색시스템>에 수록된 新 出漢字의 자형을 IRG에 제출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이체자 定型化 문제가 논의되었다. 그 배경에는 한국이 제출한 폰트와 원문 이미지가 다양한 이유로 IRG에 제출하는데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이다. 그 중 가장 큰 이유는 한국이 EXT_F 영역에 수록하기 위해 제출한 원시자료 가 바로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을 구축하면서 새로 발견된 한자를 正字 형태의 폰트로 만들 어 검색할 수 있게 만든 <유니코드한자 검색시스템>에 수록된 자형이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 때문에 submission과 전거이미지가 서로 다른 자형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국내 검토단계에서부 터 제출을 보류한 자형도 상당수 있었다. 이후 IRG에 제출하여 각국의 검토를 거치면 submission에 있는 자형과 전거이미지 간에 차이가 인해 상당수가 철회 또는 보류되는 문제가 발생 하였고, 그 때마다 해명해야 했다. 기존에도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형의 통합과 분리에 관련된 한자통합규칙과 실제 사례를 정리한 UCV가 이미 존재하였다. 하지만 이 자료 역시 동일한 자형이지만 시기와 국가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한국이 제출하는 신출한자의 정규화에 100% 적용하기에는 적합 하지 않았다. 만약 기존의 룰을 적용하면 한국에서 원하는 자형을 제출하기가 매우 어려운 상황 이 지속되었다. 이런 와중에 2016년 <Normalization rule>의 초안을 작성하여 한국의 경우 특수 하게 여기에 작성된 룰에 따라 자형을 인정해주겠다고 제안하였다. 이후 몇 번의 국내 회의를 통해 작성원칙을 정한 후 사례를 정리하여 異體字가 아닌 정자 형태로 자형을 유형화해서 제출 할 수 있게 되었다. 유형화는 자형을 정리하여 신출자를 제출하는 과정에서는 나름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자형을 정리하여 폰트를 제작하는 데 있어서 최선의 방법이라고 생각하 지는 않는다. 그럼에도 이 연구가 한국문헌에 나타난 자형의 역사를 부분적으로 확인하는 계기가 됨과 동시에 차후 한국의 한자자형의 표준화를 진행할 때 우리나라에서 사용한 자형을 代表字의 기준을 삼는 하나의 근거로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6,400원
        2.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其’가 虛詞로 假借되기 시작하면서 ‘竹’을 의부로 하는 ‘箕’자가 만들어진 시기는 대략 戰國시기로 추정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29개의 ‘箕’ 이체자 중에서 자형 관련 성이 적은 5자를 제외한 나머지 24자를 대상으로 분류와 분석을 진행하였다. 우선 이체자들을 자형구조에 따라 분류한 다음 순차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台灣 教育 部 異體字字典에서 제시하는 이체자들의 수록 저서와 실제 출토문헌의 출처를 비교 해본 결과 자형의 변화가 다양하게 나타나던 戰國文字에서 그 출처를 밝힐 수 있는 이체자는 다섯 자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이체자들 간의 자형 변화과정을 통해 변화 규칙을 유추해 보았는데, 첫째, 의부 ‘竹’의 자형변화, 둘째 성부 ‘其’의 자형변화, 셋 째, 의부 ‘竹’의 대체, 넷째 類化 등 네 가지 변화규칙을 찾아낼 수 있었다. 이상 ‘箕’ 이체자에 대한 분류와 분석을 통해 이체자들의 변화과정을 알아보고 변화규칙을 찾 아냄으로써 또 다른 이체자들의 연구와 고문헌의 정확한 해석에 어느 정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5,500원
        3.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신찬자경』은 『일체경음의』·『옥편』·『절운』·『정명요록』·『간록자서』 등 중국에서 전래된 한문 문헌을 저본으로 하여 편찬된 일본의 辭書인데, 다양한 이체자와 속자 자료가 풍부하게 수록되어 있어서 자양학적으로 가치가 높다. 『신찬자경』의 이체자는 일반적인 이체자와 비슷한 형성원인을 보이므로, 그 방법론을 적용해 연구할 수 있다. 한자의 이체자는 크게 글자 구성 원리의 변화, 簡略化, 增繁化, 交替, 異化, 同化, 類化, 記號化, 訛混, 同音借用, 構件轉位, 合文 등의 요인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데, 필자는 상호 유기적으로 영향을 주고받는 이체자 유형들끼리 모아서『신찬자경』이체자와 일반 이체자의 공통성과 차별성을 탐구하려 한다. 그 첫 번째 단계로 본 논문에서는 간략화와 증번화 유형 이체자를 정리하고 분석하였으며,『신찬자경』이체자의 보편성과 고유성도 함께 고찰하였다.
        6,1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