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ee Hyun-hee and Park Chul-woo. 2013. The correlation between adult literacy and their vocabularies.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1(3). The subject of literacy is no longer new, as it is clear that understanding various types of text is essential for daily life.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once adults have completed their formal school education, they are typically not provided with formal opportunities to improve literacy or vocabulary skills. In the context of lifelong learning, this reality opens the need for an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literacy and vocabulary. This paper discusses the findings from an experiment on adult literacy.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A consisted of fifty adults over the age of fifty, and Group B consisted of fifty undergraduate student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Group A overestimated their own literacy and vocabulary abilities, while Group B underestimated these skills. Secondly, in terms of the four language skills of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Group A reported relative ease of use of these language functions. In comparison, Group B responded that they sometimes experienced difficulties in reading and writing. However, on test items pertaining to lexemes, synonyms, content, and genre,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from Group A was lower than that of Group B. As a result of this experiment, we can conclude that the actual literacy of Group A was lower than that reported in their self-evaluations. Based on this finding, we suggest the necessity of literacy and vocabulary education for adults. (245 words)
        8,100원
        2.
        202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요약 교육(Summarizing instruction) 및 연습(Practices)이 초급 수준의 L2 성인 학습자들의 읽기 이해와 쓰기에서의 어휘 사용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L2 학습에서 요약하기의 중요성 및 쓰기에서의 어휘 사용에 관한 이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연구에 참가한 학습자들은 요약 교육과 연습 이후 읽기이해 점수에서 의미 있는 향상을 보여주었고, 어휘쓰기에 있어서도 전체적으로 같은 단어의 반복이나 기초적인 단어(the 1st 1000) 보다는 다양하고 수준 높은, 즉, the 2nd 1000 list, 아카데믹한 단어(AWL), 및 그 이상 수준의 단어(NLW) 사용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러한 요약 교육 및 연습이 읽기 이해에 주는 긍정적 효과는 주제가 다른 읽기자료(reading source texts with different topics)를 바탕으로 한 상향식(bottom-up) 읽기 및 쓰기 유발(writing output-promoting)의 통합적인 요약단계에 있다고 보여 진다. 즉, 주어진 읽기자료를 요약하기 위해서 학습자들은 주요 단어, 구, 혹은 문장 수준의 이해를 하고, 이를 다시 본래의 텍스트보다 짧게 요약하기 위해 문장통합(sentence combination), 바꾸어 쓰기(paraphrasing), 통사적 변형(syntactic transformation), 그리고 만들어 내기(invention) 등의 요약 과정들(summarizing processes)에서 사전 사용 및 교사의 모델링과 피드백을 통하여 다양한 단어표현에 노출되고 경험하여 어휘 지식을 늘릴 수 있었고, 이후 쓰기에서의 어휘 사용에 도움을 준 것으로 보여 진다.
        3.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토익중심의 영어 읽기 수업에서 상호적 읽기 (reciprocal reading) 방법이 학습자의 읽기전략 상위인지 자각 (metacognitive awareness of reading strategies: MARS) 변화, 읽기이 해 및 어휘 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해석 위주의 읽기 (translation-based reading) 방법과 비교하 였다. 연구 참여자는 공인 토익 읽기점수 중급 정도 수준의 (495점 만점에 220-280) 54명의 학습 자들로, 상호적 읽기 방법과 해석위주의 읽기 방법, 두 그룹으로 나뉘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읽기 전략 상위인지자각과 전략 사용 변화를 알기 위해 고안된 MARS 목록 질문지를 사용하여 사전 및 사후 반응을, 읽기이해 성과는 읽기 활동 바로 후, 내용의 의미와 관련된 사지 선다형 문제에 대한 이해점수를, 그리고 어휘 학습에 대한 효과는 사전 테스트를 통해 얻어진 14개의 목표어를 읽기 활동 후 즉각적인 사후테스트와 1주 후의 지연된 테스트를 통한 점수를 비교하였다. 결과 분석에 의하면 해석위주의 읽기 방법과는 달리, 상호적 읽기 방법이 읽기 전략 상위인지자각 및 전략사용, 읽기이해, 그리고 단기 및 장기 어휘기억에 현저한 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상호적 읽기 에 포함되는 네 가지 활동, 즉 내용 추리하기 (predicting), 명확히 하기 (clarifying), 질문하기 (questioning), 그리고 요약하기 (summarizing), 등을 통하여 그룹안의 보다 능숙한 동료들 및 선 생님과의 상호 작용과 피드백을 얻으며 효과적인 읽기전략, 내용이해 및 어휘 학습을 위한 스케 폴딩 (scaffolding)이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