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is study, the pre-stress characteristics of magnetic rheological rubber, an intelligent material widely applied to mechanical systems, are measured. Intelligent materials are substances that change their properties in response to external inputs and are extensively used in mechanical systems. Magnetic rheological rubber is a representative intelligent material that can exhibit variable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conditions. When measur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magnetic rheological rubber, it is placed in a magnetic field application device, where a magnetic field is applied, and the material is subjected to pre-stress. Similarly, when manufacturing intelligent mechanical systems using magnetic rheological rubber, pre-stress is induced by components used to apply the magnetic field. Generally, when a material is subjected to pre-stress, its properties change. Consequently, the performance of magnetic rheological rubber under pre-stress also varies. I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under pre-stress change, the expected performance during design may deviate, leading to differences in the mechanical system's performance from the intended design. This variability makes it challenging to design mechanical systems based on intelligent materials,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experimentally investigating their characteristics. Therefore, this study measures and identifies the pre-stress characteristics of magnetic rheological rubber under pre-stress. These findings can be applied to improve the measurement methods and design approaches for magnetic rheological rubber in pre-stressed condition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shear properties of pultruded fiber reinforced polymer plastic (PFRP) composites. Especially, we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hear properties of PFRP and other mechanical properties of PFRP composites by comparing the experimental results with the theoretical results. We compared the shear characteristics obtained by the tensile test and calculated from the theoretical equation proposed in previous work. It was found that the shear modulus of elasticity predicted by using the theoretical formula is close to the shear modulus of elasticity obtained by the 45° off-axis tensile test.
지진하중을 받는 구조물은 모드참여계수에 의하여 각각의 모드에 지진하중이 분배, 전달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모드참여계수는 지진하중을 받는 구조물의 해석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이상화된 해석 구조물의 모드참여계수는 해석적 모델링이나 시공오차 등에 의하여 실 구조물의 참여계수와 다르기 때문에 실제 거동을 예측, 반영하기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 식별기술과 H^{\infty} 최적 모델 응축법을 활용하여, 구조물의 1차 모드참여계수를 산정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시스템 식별로부터 구현된 상태방정식을 전형의 상태방정식과 비교하는 과정에서 시스템의 가제어, 가관측 행렬의 비에 의하여 결정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드참여계수산정기법은 단자유도, 다자유도 전단구조물에 대한 수치해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한 cycle 의 이력곡선 loop을 완전히 표현하기 위해서는 pinch force, drift offset, effective stiffness,
따ùoading, reloading, tangential stiffness 둥의 변수가 펼요하게 된다. 각 이력 loop에 대해 이들 변수들은
에너지 소산정도에 따라 변위와 축력의 함수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16개의 전단벽 실험에서
얻어진 이력곡선 데이타를 분석하여 앞에 기술된 모든변수를 표준화된 변위(ð./ð.y) 의 함수로 표현했으며 이
를 바탕으로 이력콕선의 포락선으로 표현되는 힘-변위관계를 예측할 수 있는 6개의 step올 제시하였다. 제시
된 기볍으로 구해진 비탄성 힘 변위관계는 실험곡선과 비교되었으며 내진설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중
하나인 구조물의 비탄성 힘-변위관계를 예측하는 편리한 기법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This paper presents a mathematical model derived from the upper-bound theorem of concrete plasticity to rationally evaluate the shear friction strength of concrete interfaces with a construction joint. The upper limit of the shear friction strength was formulated from the limit state of concrete crushing failure on the strut-and-tie action along the construction joints to avoid overestimating the shear transfer capacity of a transverse reinforcement with a high clamping force. The present model approach proposed that the cohesion and coefficient of friction of concrete can be set to be 0.27(fck)0.65 and 0.95, respectively, for rough construction joints and 0.11(fck)0.65 and 0.64, respectively, for smooth ones, where fck is the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From the comparisons with 155 data compiled from the available literature, the proposed model gave lower values of standard deviation and coefficient of variation of the ratios between predictions and experiments than AASHTO and fib 2010 equations, indicating that the proposed model has consistent trends with test results, unlike the significant underestimation results of such code equations in evaluating the shear friction strength.
강합성 박스거더는 박스거더를 교량 주형으로 하는 강교량의 한 형식으로서, 휨 강성과 비틀림 강성이 뛰어난 강교량이다. 박스거더 설계는 강교량의 합리적 설계를 통하여, 안정성과 경제성을 추구하고 있다. 합리적 설계란 후판 및 고강도 강판을 사용하여 부재의 수를 줄이며, 설계 상세를 단순화한 교량 설계를 의미한다. 합리적 설계는 고성능강재의 사용, 부부재 최소화 등을 목표로 경제적이며 구조적으로 안전한 강합성 박스거더 설계를 한다. 이 중, 부부재의 최적설계를 위해서는 강합성 박스거더의 정확한 단면강도가 산정되어야 하지만, 도로교 설계기준(2012)에 제시되어 있는 박스거더 전단강도 산정식은 플레이트거더 전단강도과 동일한 식을 적용하도록 제시되어 있다. 이는 강합성 박스거더 복부판의 전단강도는 합성으로 인한 상부플랜지의 강성의 증가와 두 개의 복부판이 연결된 하부플랜지에 의한 복부판의 전단강도 증가를 고려하지 않고 있어 보수적인 전단강도 산정식을 제시하고 있다. 탄성전단좌굴강도에 대한 연구로는 Timoskenko와 Gere(1961)가 판의 전단좌굴강도 식을 유도하였으며, Galambos (1988)는 판의 경계조건에 따른 탄성전단좌굴계수 연구를 하였으며, Lee 등 (1996)은 플레이트 거더에서 상·하 플랜지의 영향을 고려한 탄성전단좌굴강도를 산정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박스 거더의 연구는 합성전 박스 거더를 전단좌굴 실험을 하여, 플레이트 거더의 전단강도 보다 증가된 전단강도 실험연구가 있지만(Lee et al., 2003), 합성 후 강합성 박스거더의 복부판 전단강도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본 연구에서는 수치해석을 통하여 지지조건에 따른 강합성 박스거더 복부판의 탄성전단좌굴강도를 검토하였다. 도로교 설계 기준(2012) 및 AASHTO(2012)에 제시된 강합성 박스 거더 복부판의 전단강도산정식과 , Galambos (1988) 및 Lee 등 (1996)의 연구된 식들과 비교를 통하여 강합성 박스 거더 복부판의 전단강도를 비교-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강합성 박스 거더 복부판은 플랜지의 지지강성의 변화에 따라 탄성전단좌굴계수가 변화함을 알 수 있었다.
When the story lateral forces of multi-story frame were not distributed properly during a seismic design, sufficient seismic performances should not secured. Thus,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story lateral forces that make the uniform distribution of story damage are positively necessary. In this study, a lot of dynamic analyses of multi-story frames were conducted using various seismic waves to find the optimum distributions of story damage and the distributions of story shear in that circumstance were calculated.
강상자형사교의 경우 국내의 도로교 설계기준이 갖추어지지 않아, 미국의 AASHTO 및 AASHTO LRFD 설계기준을 적용할 경우에는 실제의 거동과 다른 하중분배계수를 산출하게 되어 과대설계 및 과소설계를 초래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실제 거동을 바탕으로 한 강상자형 사교의 둔각부 지점에서의 전단력 산정을 위한 하중분배계수식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강상자형 사교의 다양한 구조모델들에 대해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고, 각 매개변수들이 강상자형사교의 하중분배계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후,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여 강상자형사교의 전단력 산정을 위한 하중분배계수식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