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낙동정맥 절구골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고자 계곡부 약 3km 구간을 대상으로 10m×10m(100m2) 조사구 29개소를 설치하여 식물군집구조 조사를 실시하였다. TWINSPAN classification에 의한 군락 분류 결과 소나무군락, 낙엽활엽수군락, 굴참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일본잎갈나무군락 5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계곡부와 북사면에는 습윤지성 낙엽활엽수와 참나무류가 주로 분포하였고 일본잎갈나무군락은 당분간 현상태를 유지하겠으나 하층의 들메나무, 산뽕나무, 고로쇠나무 등 낙엽성 활엽수의 세력이 우세해지고 있어 장차 이들 종으로의 천이가 기대되었다. 군락별 종다양도지수는 0.9665~1.2450 범위로 낙동정맥 타 지역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
        2012.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在韩国的汉语诗歌教育课程中,从汉语到韩语的翻译问题历来受到普遍的重视,如何用韩语翻译将汉语诗歌中的美感尽量忠实的表现出来是一个根本性的问题。遵守格律是汉语诗歌最重要的特征,诗人往往通过格律来表现诗歌的内容与情感,不学习汉语诗歌的格律,就没有办法对之进行准确的体会。李达是朝鲜诗人学习唐诗歌的先驱者,他的诗歌创作往往严格遵守近体诗的格律。李达的题画诗经常使用格律的变化来表现诗人的思想,如拗体等格律形式在其诗歌创作中得到广泛的运用。 五言绝句是格律诗最基本的表现形式,也是近体诗的基本形式。其在句式上常用“二四六不同论”,聯的出句和对句上用“粘”,上聯对句和下聯出句用“对”,而且避“孤平”,“孤仄”,“下三连”。如果不遵守这样的形式,不依常率而加以变换,就是所谓“拗体”。需要说明的是,拗体并不指诗歌创作的失误,相反其在促进诗歌声调和谐上的表现往往有着很好的效果。李达的五言拗体绝句主要分为三类。一类是《畵梅》与《畵竹》,这种拗体特征表现为孤平。这两首诗通过孤平来表达李达对悲惨命运的感叹。二类则不遵守“二四六不同的原则”。如《詠畵》,该诗用“子类特殊形式”,给读者留下了足够的思考余地。又如《題畵四首》的第1首用“丑類特殊形式”,描写秋天自然景色。《詠畵>第二首承句“失對”,强调人物的动作。《詠畵》第五首轉句失黏,以强调秋色的美丽。如果平起式五言绝句轉句失黏的话,应该归入“子类特殊形式”。按照格律上的变化叫“拗救”,用特殊的声调调强调诗像。
        3.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 시가는 당대에 이르러 그야말로 각종 詩型이 구비되어 휘황찬란한 성취를 이루었다. 그 중 절구는 가장 짧은 형식이지만 가장 많은 사람이 즐겨 지었고 노래했던 시체이다. 이와 같은 절구에 대해 본 문에서는 그 유래와 발전상황, 그리고 격률과 구조적인 특징을 살펴보았다. 絶句는 唐代에 확립되어 널리 유행한 근체시의 일종이지만 唐代에 시작된 것이 아니라, 그 기원은 漢、魏、六朝의 樂府短章이다. 晉、宋 이후 민간가요의 영향을 받은 시인들이 4구로 된 민가를 즐겨 모방하였기 때문에 5언 4구의 짧은 시들이 대량 출현하게 되었고 이때부터 시체의 한 유형으로 絶句라는 명칭이 생겨났다. 즉 절구의 유래는 六朝시대 4句小詩에서 발흥하여 齊、梁에 平仄을 강구하고 성률화를 거치면서 점차 근체절구의 정형을 이루게 된 것이다.
        6,1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