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처리 및 여러 가지 보존용액이 Nephrolepis cordifolia의 절엽수명, 미생물 증식, 생체중 그리고 용액흡수량 등에 미치 는 효과를 구명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전처리 결과, 절 엽수명은 5초간 탄화처리에서 14.5일로 가장 길었으며 대조구 에 비해 2일 더 길게 나타났다. 생체중은 모든 처리에서 유사 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실험 초기에 용액흡수량은 탄 화 5초 처리에서 높게 나타났다. 보존용액처리에 있어서 2% methanol과 65mg·L-1 CoCl2에서 절엽수명이 각각 13.0일과 12.6일로 대조구(11.9일) 보다 높게 나타났다. CoCl2, CuSO4 그리고 8-HQS에서의 colony 수는 대조구에 비해 월등히 감소 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절엽수명 연장에는 효과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보존용액의 pH 처리에 있어서 절엽수명은 pH 9 처리에서 13.8일로 가장 길게 나타났으며 pH 3 처리에서 9.8 일로 가장 짧았다. 반면에 pH 3에서의 용액흡수량은 pH 9 처 리보다 높게 나타났다. 대조구와 0.1% sucrose에서의 절엽수 명은 각각 12.1일 그리고 12.3일로 높게 나타났다. Cytokinin 에 있어서 절엽수명은 5mg·L-1 BAP에서 13.3일로 가장 길게 나타났으며 대조구에 비해 약 2일 정도 연장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Nephrolepis cordifolia의 절엽수명을 연장시키는데 전 처리로 5초간 탄화처리 그리고 보존용액 처리로 pH 9가 가장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Hosta 품종 중에서 관상가치가 있는 21종을 선정하여 절엽 소재로 개발하고자 2009년 7월 1일부터 8월 15일까지 광도 750Lux, 온도 28±2℃, 습도 52% 의 실내 환경 조건에서 수명을 조사하였다. H. 'June'의 절엽 수명이 29일로 가장 길었으며 10일 이상 수명을 유지한 품종은 'Remember Me', H. lancifolia var. grandiflora, 'Grand Marquee', 'Dress Blue', 'Blue Dimples', 'Frosted Dimples' 'Birchwood Park's Gold', 'Krossa Regal', 'Paradise Power'였다. 이 10가지 품종의 특정은 엽록소 함량이 높고, 경과시간에 따른 엽록소 함량의 변화가 적었으며, 물 흡수력이 높았다. 또한 처리 후 일정기간 엽록소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다른 Hosta, 속 품종에 비해 수명이 길어 화훼장 식용 절엽으로 개발이 가능한 품종으로 선발되었다.
옥잠화 원예품종 80여종을 대상으로 절엽으로의 이 용가능성, 선호품종 등에 관하여 절엽의 주 소비층인 꽃꽂이 전문가들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절엽 이용가능성이 충분하며 꽃꽂이를 할 때 사용되는 다 른 소재들과의 조화정도 또한 높게 평가했다. 절엽으 로 적합한 품종에 대한 설문에서는 Francee가 가장 선호도가 높았으며, Ellerbroek, Karin, Beauty Substance, Gold Standard, Sum and Substance, Anne, Plantaginea 순이었다. 그러나 Gold Standard, Anne, Plantaginea는 절엽수명이 6~10일로 짧았고 Karin, Summer Music은 12일, Beauty Substance, Ellerbroek, Francee, Patriot은 13일, Sum and Substance와 Sagae이 17일의 절엽 수명을 보여 다른 품종 또는 타 소재류에 비해 수명이 긴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절엽용 적정 품종으로Francee,Ellerbroek,Karin,Sum and Substance,Beauty Substance,Patriot,Sagae의 7개 품종을 최종 선발하였다.
연맥품종 Pennfield의 등숙기동안 이삭의 14 C-sucrose 침지, 14 CO2 의 지엽 또는 이삭 조사로서 동화물질의 source를 달리하였을 때 grain sink의 기능을 종실성숙의 정도, 소수의 수, 종실의 위치를 비교하여 검토하고, 절엽 및 제영처리를 하여 source와 sink간의 균형을 변화시켰을 때 종실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 절취된 이삭의 하부에 14 C-sucrose를 침지하였을 때 종실로 14 C물질의 전류는 개화후 15일까지 직선적으로 상승하고 18일까지 급격히 하락하여 종실중의 증가보다 빨리 시작하고 먼저 끝나는 경향을 보였다. 하위절위 종실이 상위절위보다 14 C의 전류가 높았는데 이는 등숙의 진행이 늦은 때문이었으며 일차영화는 이차영화보다 높은 sink의 기능을 보였다. 2. 식물체에14CO2 를 조사하였을 경우 이삭조사가 지엽조사보다 전류률이나 종실당 specific activity에서 3배 이상 높게 나타나 이삭이 종실의 등숙에 보다 효과적인 source임을 보여주었다. 종실당 specific activi쇼는 sink인 소수의 수의 영향보다 source의 종류에 따라 크게 달라졌으며 source의 activity가 큰 순서인 이삭의14 C-sucrose 침지 > 이삭의 14 CO2 조사 > 지엽의 14 CO2 조사 순으로 나타났다. 3. 절엽 및 제영처리로서 source/sink ratio를 변화시켰을 때 source/sink ratio가 감소함에 따라 종실중이 감소하였으며 엽면적과 소수의 수를 동시에 반감하였을 때 정상식물의 종실중과 차이가 없었다. 모든 잎을 제거하였을 때도 종실중에서 16% 감소에 불과하여 이삭의 동화작용이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