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비트에 발생하는 흰띠명나방의 경제적 방제수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흰띠명나 방의 생태와 접종수준에 따른 피해율 조사하였다. 흰띠명나방은 7월 중순부터 10 월 하순까지 유아등에 채집되었고, 흰띠명나방은 엽맥에 3~4개씩 산란하였으며, 유충은 엽육을 갉아먹고, 엽 표피는 남기는 섭식특징을 보였다. 번데기는 5mm 정 도의 황갈색이었고, 성충은 날개를 펴서 않고, 하얀색의 선명한 띠가 있었다. 흰띠명나방 2령유충을 비트 10주당 0, 1, 2, 5, 10, 20, 50마리를 접종하고 생육 을 조사한 결과 접종밀도가 증가할수록 피해엽률, 포장밀도가 증가하였다. 흰띠명 나방 접종밀도가 증가할수록 비트의 수량과 상품률이 감소하였다. 비트잎을 3회 에 걸쳐 수확시 접종밀도와 수량과의 관계식은 잎은 y=1.226x+3.36, 뿌리 y= 0.478x+1.15 나타내었다. 이를 근거로 잎생산 경제적 피해허용 수준은 10주당 1.3 마리이고, 경제적방제수준은 1.1마리 였으며, 뿌리생산 경제적 피해허용수준은 10 주당 8.1마리, 경제적 방제수준은 6.4마리였다. 잎을 1회에 일시 수확 할 경우 관계 식은 잎은 y=1.537x+1.4634, 뿌리는 y=0.5194x-1.1157이었다. 이를 근거로 잎생 산 경제적 피해허용수준은 10주당 2.3마리이고, 경제적방제수준은 1.8마리였으며, 뿌리생산 경제적 피해허용수준은 10주당 11.8마리, 경제적 방제수준은 9.4마리 였다.
        2.
        199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폿트 재배한 강낭콩에서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를 먹이로 제공하여 야외와 온실에서 3종 이리응애에 의한 점박이응애에 밀도 조절 작용에 대해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6-7일 야외에서 A. fallacis는 점박이응애와 이리응애의 접종밀도 비율이 4:1, 10:1, 20:1 수준에서 접종 17일 후에 점박이응애의 밀도억제가 가능하였으나, A. womersleyi는 4:1에서만 밀도억제가 가능하였고, T. occidentallis는 4:1에서 접정 30일 후와 10:1, 20:1의 비율에서는 점박이응애 밀도억제가 전혀 불가능하f였다. 9월에 온실에서 점박이응애와 이리응애의 밀도를 10:1로 접종하였을 때 A. womersleyi는 초기 점박이응애 밀도억제가 가능하였으나 13일 이후에는 불가능하였고, A. womersleyi는 접종밀도보다 감소하였다. A. womersleyi는 초기부터 안정된 밀도가 유지되어 점박이응애 밀도억제 효과가 지속적이었다. T. occidentallis는 후기에 밀도가 증가하여 점박이응애 후기 밀도억제가 가능하였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