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the realm of missiology got extended and the subjects of missiological research differs varies, the understanding of culture in mission field is crucial before doing mission there. In terms of definition of mission as crossing over the cultural boundary, I investigate the system of the Chinese government and power structure in relation to religious laws and regulations. I argue that if the Korean Christianity do mission for China and cooperate with Chinese church in official ways, this step is necessary. According to the Chinese Constitutio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PRC) is organized of political party, government, and military authority. The people’s democratic dictatorship and socialism are the basic Chinese system, which cannot be inflicted by any individual person and group. The Chinese government widely accomplishes religious freedom, but this is on the base of socialistic perspectives. The United Front Work Department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CCP) Central Committee, which is a substructure organization of CCP, forms the basic direction of the religious policy. Then the State Administration for Religious Affairs of PRC overall controls the policy of religion. In this kind of structure, China not only allows religious freedom, but also seeks to gradually dissolve religion through anti-religious propaganda. Religion is just one of tools, which formulates firm foundation of socialism in China. With this type of limitation, the Chinese Christianity has been existed until now under the control of National Committee of Three-Self Patriotic Movement of the Protestant churches in China, National TSPM. In fact, this agrees with United Front Strategy(UFS) and then becomes a ‘Socialization of Christianity.’ The Chinese government always emphasizes that only legal interchanges of Chinese Christianity can be allowed, which means the government wants to get absolute control. In this situation, I seek the appropriate models of religious interchanges between Chinese and Korean church. Most of all, I claim that the Korean Christianity should understand a system of Government and Power Structure in China before doing mission there. The friendly foreign interchanges, which are stressed by the Chinese government, can be promoted through China Religious Culture Communication Association (CRCCA). Secondly, based on ecumenical principles, Korean churches should develop official relationship with Chinese churches. Regarding to the organization of National TSPM and China Christian Council (CCC), Korean churches should find the subject of religious interchanges. In final, both positive and negative part of Chinese UFS should be acknowledged and then establish strategies. UFS interchanges with foreign religions based on dissolving them, but we should take advantage of their policy and use it for spread the gospel.
        6,700원
        2.
        201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시대 사회적 변혁에 있어서 디지털 미디어의 역할에 대한 도구적 관점은 정치 적으로 조망되고 있다. 방송미디어의 가치는 평가 절상되었고 시민들이 사적으로 소통하는 미디어는 가치 평가 절하되었다. 그러나 중동사태, 영국폭동, 일본 쓰나미 와 후쿠시마 원전 폭발사전, 한국에서의 시장선거(2011)에서처럼, 소셜미디어는 기 득권 미디어의 대안으로서의 역할을 분명히 하고 있으며 의제설정의 힘을 획득하 고 있다.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가 사람들로 하여금 인식을 공유케 하는 역할을 점 검하고 보수적인 권력이 소셜 미디어와 네트워킹 현상에 대해 대처하는 방식을 검 토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가 사회적 합리성을 증진시키는 도구로서 의 역할을 수행함에도 불구하고 소수의 엘리트에 의해 과점적으로 지배되어 권력 의 면역시스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4,600원
        3.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出處는 儒學에서 선비들에게 요구한 중요한 덕목이며, 많은 유학자들이 실천하기 위해 노력했다. 대표적으로 남명 조식은 출처를 君子의 큰 절조로 보았으며, 평생 ‘處士’로 실천했다. 그런데 문제는 조정의 계속된 출사요구를 거부한 남명을 퇴계와 같은 당대의 유학자들은 부정적으로 보아 그 의미를 축소하거나, 학문적 體認의 결과가 아닌 개인적 기질의 결과로 이해하기도 했다는 점이다. 그리고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우에도 ‘기절’이나 ‘기상’, ‘절개’등 개인적 차원의 의미만을 강조하여, ‘정치를 외면하지 않았다’며 정치적 의미에 대해선 소극적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남명의 처사적 삶과 사상을 보다 적극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남명의 ‘처’ 즉 ‘물러남’이 가지는 국가권력과의 ‘거리감’에 주목한다. 유학은 현실정치를 긍정하여 ‘나아가감(出)’을 강조했지만, ‘處-물러남’ 또한 강조했다. 이러한 ‘처’는 유학자들이 현실의 정치권력과 적절한 거리를 둠으로써 견제와 긴장을 만들어낸 요소이기도 했다. 남명은 이러한 ‘물러남의 정치학’을 잘 이해했으며, 그의 출처사상과 처사로서의 삶에 고스란히 담겨있다. 그래서 남명의 處는 개인적 기절의 결과로서가 아니라 국가권력에 대한 ‘경계’와 ‘비판’ ‘저항’의 의미를 갖고 있었다. 나아가 ‘폭력적 국가권력’을 ‘공공의 국가권력’으로 변화 시키려는 문제제기도 담고 있었다. ‘나아갈 줄만 알고 물러날 줄 모른다’는 당대 지식인들에 대한 남명의 비판과 그가 실천한 ‘물러남의 정치학’은 현대의 정치현실에 있어서도 부당한 권력을 비판하고 거부하는 정신으로 계승될 수 있으며, 나아가 권력의 성격을 보다 공적인 것으로 만들어나가 현대의 민주주의 발전에도 도움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