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를 비롯하여 대규모의 사회조사들을 장기적 관점에 서 검토한 결과 한국사회의 종교인구는 전반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 다. 이러한 특성들은 최근 10년 사이 더욱 두드러졌는데, 특히 불교는 종교 들 중 가장 높은 감소율을 기록하였으나 향후에도 지속적인 감소가 예상돼 우려가 크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불교계의 반응은 조사방식의 신뢰성에 대한 문제제 기, 신도 수 감소의 원인에 대한 논의들로 정리할 수 있다. 하지만 대표성이 보장된 표본조사의 정확성은 높은 편이며, 인터넷조사는 2010년에도 시행되 었다는 사실은 불교계의 주장을 뒷받침하기에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신도 수 감소는 불교가 신도들의 기대 욕구를 충족시켜 주지 못했고 사회적 인 신뢰를 상실한 결과로 설명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불교계의 대응방안 모색을 위한 선결과제로 불자들의 종교적/ 개인적 욕구 파악, 불자들의 인구학적 특성 이해, 불교 신도의 정체성 확립, 불교 종단의 조직 정비, 사회참여 활동 전략의 수립을 제안한다.
한편 종교인구 감소에 대한 종교사회학적 접근은 세속화에 대한 관점, 종 교의 형태가 영성과 개인화된 종교로 변용되는 가능성, 종교인구 감소에 대 한 인구학적 해석 등의 쟁점들이 제기된다. 현상의 원인을 규명하고 향후 종교인구의 변화 추이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쟁점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실천적인 차원에서는 포교 대상에 대한 심층 적 이해, 포교 주체의 역량 강화, 포교 환경의 재구조화라는 세 가지 프레임 의 구축과 함께, 불교의 미래비전으로 서원(誓願)불교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and evaluate Rodney Stark’s Theories of Rational Choice in Religion. To this end, chapter I identifies some foundational issues related to the historiography of the writing of church history after Ranke, including the work of Max Weber, Ernst Troeltsch, and H. Richard Niebuhr. Chapter II describes the formation of the sociology of religion and surveys Stark’s attempt to combine sociology and church history. Stark emphasizes a sociological approach to church history over traditional approaches involving psychology or doctrinal interpretation. His approach uses sociological elements such as demography, in addition to social, political, and cultural interpretative models. Chapter III delineates Stark’s position with regard to Theories of Rational Choice in Religion. He first defines these theories by arguing that they suggest “people are as rational in making religious choices as in making secular decisions.” He further qualifies this, claiming that “within the limits of their information and understandings, restricted by available options, guided by their preferences and tastes, humans attempt to make rational choice.” In short, people usually attempt to pursue what they perceive to be the best option for achieving their goals in religion. The major content of such Rational Choice theories is that subjects adopt a cost-benefit assessment before adopting a new religious product such as a church or a denomination. These theories do not apply in the case of state churches but to free churches in the context of a religious economy. He defines this economy as “consist[ing] of all the religious activity going on in a society; a ‘market’ of current and potential adherents, a set of one or more organizations seeking to attract or maintain adherents, and the religious culture offered by the organization(s).” Thus, Stark proposes that religion is necessarily pluralistic in such a religious market. Chapter VI of the present study concludes with an emphasis on the a critical evaluation of Stark’s theory an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se doctrines to Korean churches. This paper also emphasizes the urgent necessity of dealing with new sects or churches in Korea.
필자는 이 글에서 막스 베버의 유교론을 아래와 같은 관점에서 재구성하고 있다. 첫째, 베버는 서구에서 자본주의적 근대사회가 발흥하는 데는 개신교가 일정한 역할을 했다는 자신의 명제를 입증하기 위해 방대한 비교 종교사회학적 연구를 수행 하였으며, 이 연구의 일환이 그의 유교론이다. 둘째,그의 비교 종교사회학적 연구 프로그램은 크게 ‘기독교적’ 세계상과 ‘동양 종교적’ 세계상이라는 두 가지 이념형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이 두 가지 세계상을 분석하는 틀은 (1) 세계상의 담지자층이 가진 ‘이해관계’ (interest)의 차원과 (2) 세계상 내재적인 ‘이념’ (idea) 논리 차원간의 상호작용관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셋째, 베버는 유교를 ‘실천적 합리주의’를 표방하는 대표적인 세계상의 하나로 규정하며 이것을 유교의 담지 자층인 사대부 집단과 중국의 가산제적 국가구조와 연계시켜 설명하고 있다. 넷째, 베버 유교론은 중국 문화에 대한 일련의 날카로운 사회과학적 통찰을 닫고 있지만, 동시에 그것은 적지 않은 편견과 잘못된 해석을 내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