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

        1.
        201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은 17세기 후반과 18세기 초에 등장했던 독일 경건주의 운동을 그 의도와 지향점에서 오늘날의 포스트모더니즘과 유사점을 구명해 보려는 시도였다. 종교개혁이후 도그마 중심의 교조적인 정통주의를 비판함과 동시에 막 대두되고 있던 초기 계몽주의에 내재된 이성절대주의의 한계성(혹은 위험성)을 경계하면서 주관적이고 감성적인 측면에서 신앙(영성)의 고 유한 영역을 확보하고자 했던 당시의 경건주의자들에게서 계몽주의 이후 이성적 합리성과 객관주의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새로운 영성을 형성하고 자 했던 종교적 포스트모더니즘과 유사점을 발견하게 된 것이다. 다시 말 하면, 종교적 인식론과 새로운 영성의 관점에서 경건주의와 오늘날의 포스 트모던 관점과 유사한 점이 있음을 구명했다. 더욱이 낯선 타자와 사회적인 약자와 주변인들에 대한 윤리적 책임과 환대를 강조하는 데리다나 레비 나스 같은 포스트모던주의자들과 회심한 이후 필연적으로 ‘이웃사랑’을 성화의 핵심 내용으로 삼았던 A. H. 프랑케와 같은 경건주의자들 사이에는 그 의도와 지향성에서 유사성을 찾을 수 있다고 본다. 또한 경건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이 등장하게 된 사회적 상황에도 유사성을 찾을 수 있다. 경건주의는 종교개혁이후 교파간의 갈등과 대립이 심화되던 서구 기독교 사회에 총체적인 위기와 파국을 가져온 30년 전쟁에 대한 신앙적인 대응이라고 할 수 있다. 포스트모더니즘 역시 19세기 말엽 서구 문명의 총체적 위기와 몰락을 예감한 니체 같은 예언자적 인물에서 시작하여, 세계 1, 2차 세계 대전과 전체주의의 야만적 폭력과 폐해를 통해 이성 절대주의와 낙관적인 역사관에 대한 절망과 회의 속에 196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대항 문화적 성격으로 대두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경건주의나 포스트모더니즘은 서구 기독교 세계의 사회적 위기와 사상적 한계를 극복하려는 대안적 시도라는 점에서 일맥상통하는 면이 있다고 볼 수 있다.
        2.
        201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This study is to propose discriminative management strategies to long-term care facilities based on the empirical analysis after reviewing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perceived by long-term care facility employees, to service orienta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research model designed social support, job stres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ervice orientation. The survey collected data from 453 customers in a long-term care facility in jeju. The SPSS 18.0 package was used for analysis. Results - First, social support for long-term care facility employees has a negative(-) effect to job stress. Test results, social support factors except appraisal support had a negative impact on job stress. Second, social support has a positive(+) effect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Test results, informational support, tangible support and appraisal support had significant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However, emotional support had a positive impact on affective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Third, social support has a positive(+) effect to service orientation. Test results had a positive impact. Fourth, job stress has a negative(-) effect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test results, employee's continuance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in job stress. However, affective commitment had no significant impact. Fifth, job stress has a negative(-) effect to service orientation. Test results showed a negative impact. Conclusions - The study implies the following. First, that there should be a change in the social perception of long-term care facilities.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was enacted to emphasize this responsibility for the elderly problems as a new system. Enactment of this Act was expec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by stabilizing the elderly life and reducing the burden of families. Therefore, long-term care facility system should be as efficient as possible for making plans for systematic and organizational support. Second, the efforts of facility managers to minimize job stress of employees is necessary. Accordingly, performing spontaneous work is required for a comfortable working environment and management. Third, the systematic education and training to employees for service oriented behavior of the facility will be required in the long term.
        3.
        201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종교개혁자 마르틴 루터와 마찬가지로 존 웨슬리의 생각과 말과 행동의 기준이 된 것은 양심과 하나님의 말씀이었다. 그 양심은 자연적인 양심이 아니라 하나님의 선행적 은총으로서의 양심이다. 존 웨슬리는 이 모든 양심의 기능에 ‘성령의 기름부음’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것이 없다면 우리 자신의 삶과 기질을 분간할 수 없고, 우리가 행할 기준도 알 수 없으며, 양심과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할 수도 없다고 보았다. 그리고 그는 인간이 궁극적으로 자신의 정당함을 인정받는 것은 인간의 법정이 아니라, 하나님의 최후 심판임을 잊지 않았다. 영국 국교회의 아들이며, 완고한 고교회주의자였던 존 웨슬리는 올더스게잇(Aldersgate)과 송구영신 철야예배에서의 성령의 집단적인 체험을 한 이후 영국 국교회의 무기력과 타락에 대한 각성과 개혁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그는 자신이 속한 국교회에 대해서 이론적으론 이상적인 교회로 생각했지만, 현실적으론 다른 교회와 마찬가지로 콘스탄티누스 대제 이후로 관영한 ‘불의의 신비’의 지배하에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이중적인 상황이 존웨슬리가 자신의 신앙 양심과 현실적인 교회의 법 사이에서 갈등하며 딜레마를 겪게 한 주 요인이었다. 그는 자신의 메소디스트 신도회가 불법적인 비밀집회로 간주되어 공격을 받는 것에 개의치 않고 계속적으로 신도회를 확대해 나갔지만, 결국은 신도회 회원들을 보호하고 더 많은 회심자들을 얻기 위해 자신의 채플을 마치 비국교도의 모임처럼 법적으로 등록하여 허가를 받음으로, 양심의 자유가 침해되는 고통을 감수해야 했다. 그러나 목사(사제) 안수 문제에서는 다른 결단을 내렸다. 미국 독립이라는 외적인 상황의 변화로 그는 목자 없이 유리하는 아메리카의 양들을 위해 미국 선교를 위한 목사(사제) 안수를 감행한 것이다. 존 웨슬리로 하여금 이러한 경계선을 넘게 한 원동력은 그의 신앙 양심과 하나님의 말씀이었으며, 무엇보다 자신의 진실을 드러내는곳은 세상의 법정이 아니라 하나님의 최후 심판대라는 그의 확고한 믿음이었다.
        4.
        201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독일 루터교 경건주의 운동의 한 정점을 이루었던 할레 경건 주의의 주도자인 A. H. 프랑케가 자신이 속해 있던 당시의 루터교회 타락의 원인과 목회자의 경건에 대한 생각을 고찰하고자 한다. 그는 자신의 회심 체험으로 신앙의 확실성을 획득한 후 이전과 달리 성령의 능력 안에서 살아 있는 신앙, 실천적이고 열매 맺는 신앙과 신학을 추구했다. 그는 ‘교리의 개혁’을 넘어 ‘삶의 개혁’으로 나아가고자 했다. 이러한 그의 태도는 교조적인 법정적 칭의론에 안주하던 정통주의자들로부터 오해 받고 공격 받았다. 그러나 그는 오히려 이러한 정통주의자들의 무능과 허위와 위선의 모습 속에서 마태복음 7:15-23에 나오는 거짓 예언자의 모습을 보았고, 이 들의 문제점을 조목조목 비판한다. 그는 교회 타락의 주된 원인은 거짓 예언자(목회자)들이 득세하기 때문이라고 본다. 그는 거짓 목회자들은 영적인 상태나 경건의 실천에 장애가 있는데, 그 장애의 뿌리에는 ‘인간에 대한 두려움’이 자리 잡고 있다고 진단한다. 이것을 참된 신앙과 경건의 문제와 연결시키는 것이 A. H. 프랑케의 독특한 관점이다. 루터의 종교개혁 이후 A. H. 프랑케가 수행한 개신교 자체에 대한 이러한 통렬한 자기반성은 비록 콘텍스트가 다르긴 하지만 한국 개신교회가 개혁을 논할 때 충분히 숙고할 가치가 있다고 본다.
        5.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의 목적은 독일 경건주의가 독일 문학의 최고봉으로 여겨지는 요한 볼프강 괴테(1749-1832)에 끼친 영향을 탐구하는 것이다. 그는 젊은 시절 경건주의의 강한 영향을 받았다. 그가 대학생활을 하며 병을 얻었던 라이프치히에서 고향인 프랑크푸르트로 돌아 왔을 때, 그는 어머니의 친구 인 클레텐베르크 부인과 프랑크푸르트 근교에 살던 경건주의자들에 의해 이제까지 경험하지 못했던 자유롭고, 감각적이며 영감어린 종교적 체험을 하였다. 특별히 이 시기에 괴테는 친젠도르프가 세운 헤른후트 형제단 회 원들과의 강렬한 만남을 가졌다. 처음에 괴테는 그들에게 매료되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들과의 신 학적인 입장의 차이로 점점 멀어지게 되었다. 특히 인간의 원죄를 긍정하 고 자유의지를 부정하는 그들의 입장에 괴테는 동의할 수 없었다. 이러한 괴테의 입장은 그들에 의해 이단적인 펠라기우스주의란 정죄를 받았다. 마 음의 큰 상처를 입은 괴테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심하던 중 아 버지의 서재에서 아놀드의 󰡔불편부당한 교회와 이단의 역사󰡕를 발견하고, 여기에서 자신의 종교적인 입장의 정당성을 확인하였다. 그는 당대의 기독 교회가 교권에 의해 교리화되고 제도화 되면서 초대 교회가 지녔던 신앙의 생동력을 상실했다고 보았다. 그는 신앙이란 결국 각자의 신념의 문제로 파악하고, 특정한 기독교 신앙 전통에 매이지 않고 담대하게 자신의 길을 나아갔다. 아놀드의 저서의 영향은 괴테의 문학 이곳저곳에 배어 있는데, 특히 분명하게 드러나는 것은 「어떤 지역의 목사가 어떤 지역의 신임 목사 에게 보내는 편지」, 「두 가지 중요한, 이제까지 해명되지 않은 물음들」, 그 리고 「영원한 유대인」이다. 괴테는 아놀드의 교회사적인 맥락에서 도출된 개념과 모티브를 다른 삶의 영역과 작품에 적용하고 일반화시켰다.
        6.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슈페너와 프랑케로 이어지는 교회내적인 온건한 경건주의는 결혼은 하나님에 의해 세워진 제도로 수용되며, 부부간의 성은 비록 타락한 인간의 특징이긴 하지만 죄의 심판으로부터 자유롭게 된다는 루터의 입장을 견지하였다. 슈페너는 부부간의 성은 유일하게 하나님에 의해 죄의 오명으로부터 순화된 정욕의 형식이라고 보았다. 하지만 그에게 부부의 성은 “길들여지긴 악마”이긴 하지만, 경계하지 않으면 안 되는 악마였다. 인간의 육체성에 대한 긍정은 경건주의자들에게 이르러 루터보다 훨씬 약화되었다. 성과 결혼에 대한 문제는 급진적인 경건주의자들에게는 더욱 예민하였다. 그들은 야콥 뵈메에 의해 영향을 받았던 크리스토프 호흐만 폰 호헨나우가 제시한 결혼의 5가지 유형에 깊은 영향을 받았다. 특별히 네 번째 결혼 유형인 동정(童貞) 결혼과 다섯 번째 유형인 순결한 어린 양이신 그리스도와의 결혼을 지향하였다. 이들은 단순한 결혼의 유형이 아니라, 영적인 상승적인 발전 단계로 인식하였다. 경건주의의 흐름 중에서 독특한 특징을 보여주었던 친첸도르프와 헤른후트 형제단은 경건주의의 영향을 받아 성의 쾌락적인 측면을 경계하면서도 급진적 경건주의자들과 달리 성과 결혼을 긍정하는 독특한 관점과 실천을 보여주었다. 친첸도르프는 그리스도와 교회, 신랑 그리스도와 신부 그리스도인의 성서비유를 근거로 성과 결혼에 관한 신학적 형이상학을 전개하였다. 그의 ‘신부-신비주의’와 ‘성례전으로서의 결혼 이해’가 바로 그것이다. 이것은 친첸도르프가 말하는 ‘복음적인 결혼’과 하나님 나라를 위한 ‘동지(투사)들의 결혼’의 이론적 근거가 되었다.
        7.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idea of apokatastasis panton (universal Salvation) of the radical pietists, J. W. and J. E. Petersens. The idea of apokatastasis panton had existed before the traditional view of twofold eternal destiny(blessedness and damnation) was established. The idea of apokatastasis panton was systematized by Greek Father Origenes who was condemned as heretical at the Fifth Ecumenical Council in Constaninople in 553. The Reformers such as Martin Luther and John Calvin also condemned the idea of apokatastasis panton as heretical. Despite its problematic nature, the idea has intermittently attracted speculative minds. During the Reformation, certain spiritualist and Anabaptist group advocated the idea of apokatastasis panton. Therefore the Confessio Augustana and the Reformed Confessio Helvetica Posterior also condemned the idea. In more recent times it was especially Radical Pietism that strongly propagated the idea that was abandoned. J. W. and J. E. Petersens as Radical Pietists were the unique and fascinating figures who reignited the pilot light of the idea of apokatastasis panton in the Protestant world. They were in the initial stages influenced by the Pietist Father Ph. J. Spener’s eschatological view represented through “Hoffnung besserer Zeiten für die Kirche auf Erde.” They went further and without hesitation accepted and enthusiastically widespread the idea of apokatastasis panton. They argued that the idea of twofold eternal destiny after the last judgment contradicts the loving God who created the world as something very good and has through Christ redeemed the whole creation without any exception. They believed that evil cannot prevail against God’s original blessing and that “where sin increased, God’s grace increased much more”(Rom 5:20). They tried to ground their arguments upon the Bible. They agreed that the last judgment will take place and the unrighteous who don’t accept the gospel to the end and reject it, are destined to eternal punishment. However, they understand “eternal” in the sense of limited span compared to that of God. J. W. and J. E. Petersens did not agree that the teaching of apokatastasis panton would destroy not only the seriousness of sin, but also the urgency of repentance. Rather, they thought that the teaching of apokatastasis panton makes all humans realize the universal love of God and move them to live a grateful better life.
        8.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John Wesley’s eschatology and sanctification. It begins with the recognition that eschatology is at the heart of Wesley’s doctrine of entire sanctification or Christian perfection. Although he did not systematically develop his eschatology, John Wesley dealt with the eschatological themes such as death, resurrection, final judgement, and the kingdom of heaven and hell. His eschatological thought was much influenced through German pietist Johann Abrecht Bengel’s works, “Gnomon Novi Testamenti” and “Erklärte Offenbarung.” However, John Wesley declared that he had no opinion about Bengel’s chronological speculations on the Christ’s millennial kingdom, which would begin in 1836. In fact, John Wesley showed so little sympathy and had so little patience with eschatological fervor, which was generated among his Methodists. He tended to identify it with enthusiasm. The reason was that these eschatological enthusiasts stimulated opposition to entire sanctification or Christian perfection. Wesley’s concern for protecting and promulgating this doctrine of perfection may provide a key for understanding his reservations about eschatological fervor. John Wesley insists that it is possible in this life to be brought to entire sanctification and Christian perfection, which is equivalent to a perfection of love for God and neighbor. This doctrine is distinctive from notions of sanctification in other Christian traditions in that it expects the finite equivalent of eschatological fulfillment (i.e. entire sanctification or Christian perfection) as something which can happen in history rather than beyond it. By differing with those who taught that Christian perfection occurs only after death, at the point of death and by holding out for the possibilities of divine grace to perfect us in love in this life, John Wesley was making room for an eschatological hope that could become more than a hope, but rather a gracious reality in the here and now. Moreover, John Wesley, as a sacramentalist, had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the sacrament of the Lord’ Supper, which is able to sustain the believers in growth and grace and to lead them through a lifetime of the pursuit of entire sanctification or Christian perfection. “Hymns on the Lord’s Supper” published under the names of both John and Charles Wesley show Wesley’s ‘already’ and ‘not yet’ eschatological thinking.
        9.
        201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aims to explore John Wesley’s and early Methodist’s ecumenical spirit and practice at the time when we need more unity and cooperation of the Korean Protestant Churches hosting the 10th Assembly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2013. The writer examines his ecumenical spirit and practice in his Journal and Diaries, Letters, and Sermons etc. John Wesley, the founder of Methodism, was a man of ecumenical spirit and endeavored to take it into practice. In principle, he was a son of Church of England. However, he accepted other christian traditions, unless they didn’t hurt the essentials of christianity. His ultimate goal is to be sanctified and become a perfect Christian, not to be a member of a particular church or denomination. His ecumenical spirit drew on his characteristic stress on the true Christian’s interior life of holiness. His ecumenical central message is summed up as follows in the sermon, “Catholic Spirit”: “So far as in conscience you can (retaining still your own opinions and your own manner of worshipping God), join with me in the work of God, and let us go on hand in hand.” He insisted that “orthodoxy, or right opinions, is, at best, but a very slender part of religion, if it can be allowed to be any part of it at all”, but he also wrote that “A catholic spirit is not a speculative latitudinarianism. It is not an indifference to all opinion: this is the spawn of hell, not the offspring of heaven.” This study also demonstrates how difficult it was for John Wesley and early Methodist to realize their ecumenical spirit in the Methodist Movement which underwent the conflict and division between Wesleyan Methodist and Calvinistic Methodist espoused by George Whitefield. Despite their real differences, John Wesley emphasizes that Christians have a great deal in common and that they must stress and strengthen these existing bonds of unity. He preaches and practises in the 18th century what Christians in the twentieth have recently discovered and formulated. Taking it into consideration, he can be estimated as one of forerunners of modern ecumenical movement.
        10.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John Wesley’s position upon the slave trade and slavery in England of the 18th century and his influences on the campaign for ending the slave trade and slavery. John Wesley, as a leader of awakening movement, was concerned with the personal conversion and the revival of faith and church. Regarding his social and political position, he as a Tory was royal to the english monarch and was against American Independence. Accordingly, he has been seen as conservative in terms of social perspective. It has sometimes caused the speculation that John Wesley was not interested in ending the salve trade and slavery, which is one of the greatest atrocities of civilization at his times. That is the case with the founder of North American Liberation theology and a leading Methodist theologian, James Cone. It is really ironic that he wrote, “The Wesley that has come to us seems very white and quite British, and that ain’t no good for black people who know that the Englishmen are the scoundrels who perfected the slave trade,” and indicated, “one does not get the impression that slavery was one of the burning issues on Wesley’ mind.” Actually, the early mission to Georgia in America brought John Wesley into direct contact with black slaves there. Since then, his concern about the slave trade and slavery had not disappeared in his mind, even though he more concentrated himself on the revival movement ignited by his own conversion. We can find out his criticism upon the slave trade and slavery in his Journals and Diaries, letters, and his Writings. Especially, his tract “Thought upon Slavery,” which partly drew on some writings by Anthony Benezet and Granville Sharp, had a great influence upon the methodists and mass. In his small book, he harshly criticized the slave trade and slavery itself as sum of all inhumane evils. His criticism was based not only on the Bible, but also on the general natural law and justice. Besides, he encouraged some leader of antislavery campaign to continue to do his action. Among these was included William Wilberforce, who spent a lifetime passing the bill for abolishing the slave trade and slavery through Parliament. After death of John Wesley, his follower and methodists still supported William Wilberforce to achieve his goal.
        11.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ei diesem Aufsatz geht es um die Untersuchung der Entwicklung des Konflikts zwischen der Hallischen Pietismus Pietismus und dem Herrnhutertum von N. L. von Zinzendorf. Am Anfang war Zinzendorf beeinflußt von A. H. Francke und dessen Hallischen Pietiesmus. Aber die Gründung Herrnhuts began den Konflikt der beiden Seiten zu verursachen. Alle Versuche einer Verständigung scheiterten. Die Gräben zwischen den beiden miteinander konkurrienden Typen des deutschen luthrerischen Pietismus zu tief. Der Prozeß der Trennung zeigt das Zusammenspiel unterschiedlicher Motive und Faktoren, die eng miteinander verflochten sind: 1. Urteil über die Person Zinzendorfs, die durch sein Verhalten mannigfache Bestätigung zu finden schienen, bestimmten das Mißtrauen Halles gegen ihn und seine Unternehmungen. 2. Die kirchenpolitischen Spannungen entzündeten sich an dem Engagement Zinzendorfs bei der Emitionen von Mähren und Zinzendorfs eigenwilligen Gemeineinrichtungen, die von den traditionellen Strukturen einer lutherischen Gemeinde abwichen. Die Rivalität wurde deshalb als besonders bedrohlich empfunden, weil Zinzendorfs Freizügigkeit im Umgang mit Heterodoxen und Separatisten den Pietismus als kirchlich-etablierte Richtung zu diskreditieren und zu gefährden schien. 3. Mit den kirchenpolitischen Spannungen waren die theologischen Differnzen eng verknüpft. Neben den Herrnhuter Gemeineinrichtungen und ihrer unklaren Stellung zur lutherischen Kirche ließen auch unorthodoxe Äußerungen von Zinzendorf und Herrnhuter Brüdern begründete Zweifel daran aufkommen, ob die Bekenntnisgrundlage der lutherischen Kirche gewahrt blieb. Hinzu traten vor allem die Differenzen im Verständnis der Heilszueignung (“Blut-und Wundenkult” versus “Bußkampf”) und daraus resultierenden Frömmigkeit und Ethik, die in der Folgezeit zu einem Hauptunterscheidungsmerkmal wurd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