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physical education teacher's leadership style and students learning attitude. To do this, physical education teacher's leadership style was classified into democratic, training and direction, social supportive, pos
본 연구는 볼링지도자의 리더십행동유형과 커뮤니케이션효과가 지도자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자료 수집은 볼링선수들로부터 수집되었으며, 최종분석에는 234부가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Ver 12.0을 통해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지도자의 리더십행동유형과 커뮤니케이션효과가 지도자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을 위해 다중회기분석이 실시되었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리더십요인 분석은 남자가 스스로 연습방법과 의사를 결정 할 수 있는 민주성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속에 따른 리더십요인 분석은 대학부는 훈련지도성요인과 민주성요인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등부는 배려성과 긍정적 보상성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력에 따른 리더십요인 분석은 2년 미만의 경력을 가진 그룹이 긍정적보상성 리더십요인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권위적인 지도행동을 가장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리더십요인이 선수의 커뮤니케이션효과와 지도자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은 훈련지도성요인이 높을수록 선수의 커뮤니케이션효과와 지도자선호도가 높아지고, 권위성요인이 높을수록 선수의 커뮤니케이션효과와 지도자선호도는 낮아진다. 그리고 선수와 지도자의 커뮤니케이션효과가 많을수록 지도자선호도도 높아졌다. 이상의 결과는 리더십 행동유형, 커뮤니케이션효과, 지도자선호도에 대한 선행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바탕으로 논의 하였다.
이 연구는 선수의 경기력에 많은 영향을 주는 지도자의 행동유형과 지도효율성에 대해 접근하여 개인과 상황별 상호작용의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선수들과의 관계를 개선하고, 만족도를 더해 줌으로써 훌륭한 지도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아마추어 골프 선수들이 인지하는 지도자의 행동유형과 지도효율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보다 효율적인 골프지도방안에 관한 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인 지역에 소재한 골프 연습장에서 골프 지도자에게 강습을 받으면서 아마추어 대회에 참가하고 있는 골프 선수 270명에게 지도행동유형과 지도효율성 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의 위계적 중다회귀분석과 일원변량분석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마추어 골프 선수의 배경변인인 핸디캡, 강습비용, 지도자의 자격 요인은 행동유형과 지도효율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골프 지도자의 행동유형과 지도효율성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핸디캡, 강습비용, 지도자의 자격 요인을 공변인으로 적용시켜 분석한 결과, 지도효율성의 기능향상과 지도만족에는 훈련 및 지시행동과 사회적 지지행동과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아마추어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해서는 훈련 및 지시행동과 사회적 지지행동이 강한 지도자를 선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대학 농구팀 수행성적에 따른 코치의 지도행동 유형과 집단 응집력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참여자는 총 101명으로 전국대회의 성적에 따라 우수팀과 비우수팀으로 수행성적을 구분하였다. 검사도구는 한글로 번안한 스포츠 리더십 검사지와 집단 응집력 검사지를 이용하였다. 농구 팀 수행성적에 따른 실제 지도행동 유형의 차이와 집단 응집력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집단 t검증을 이용하였다. 코치의 지도행동 유형과 집단 응집력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우수 농구팀의 코치들은 비우수 팀의 코치에 비해 전제적 행동을 많이 사용한다. 둘째, 우수팀은 비우수팀에 비해 집단 차원의 사회 응집력이 높다. 셋째, 농구 코치의 훈련과 지시 행동과 긍정적 피드백 행동은 우수팀의 집단 응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농구 코치의 민주적 행동은 우수팀의 응집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농구 코치의 전제적 행동은 수행성적에 관계없이 집단 응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