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12.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젖소의 고능력화와 동반하여 전 세계적으로 번식효율은 매년 저하되고 있다. 소의 번식효 율에 영향하는 요인은 매우 다양하며 농가의 사양관리 수준에 따라 여러 가지 번식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대부분의 농가들이 번식현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으며, 문제점 또 한 파악하지 못하고 적절한 대응을 위한 자가진단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으로 무엇 보다 번식현황 및 경영진단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립축산과학원 낙농과에서 개 발 된 젖소 번식상황 자가진단 프로그램을 이용해 6개 농가 450두를 공시하였으며, 번식상황 자가진단 프로그램 기술 투입 후 2년 동안 번식성적을 비교 분석하였다. 기술 투입 전 6개 농가의 평균 분만간격은 438일, 평균 공태일수는 156.8일, 분만 후 첫 수정일수는 98.6일, 평균 수정횟수는 2.1회, 발정발견율은 32.5% 및 수태율은 41.2% 였다. 번식상황 자가진단 프로그램 기술 투입 후 6개 농가의 평균 분만간격은 409.8일로 약 28일 단축 되었으며, 평 균 공태일수는 129.3일로 약 27일, 분만 후 첫 수정일수는 77.2일로 약 21일로 발정 한 주 기가 단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정횟수는 2.0회로 기술투입 전후 비슷한 수치를 보였으며, 발정발견율은 47.5%로 기술투입 전보다 약 15%, 수태율에서도 50.5%로 약 9% 정도 높았으며, 모든 번식성정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번식상황 진단 프로그램 은 다수 있지만 농가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없는 상태에서 누구나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엑셀로 된 번식상황 자가진단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농가의 문제점을 확인 하고 목표를 세워 노력한 결과라고 생각된다. 추후 번식상황 자가진단 프로그램을 적극적 으 로 활용한다면 농가의 번식효율 향상에 크게 기여 할 것으로 생각되며, 국내 낙농가들도 분 명한 목표설정, 농가의 번식현황에 대한 정확한 문제점 파악을 통해 번식효율 개선에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기술 투입 전 · 후 6개 농가 번식성적 비교 구 분 평균분만간격 평균공태일수 분만 후 첫수정일수 평균수정횟수 발정발견율 수태율 기술투입 전(평균) 438일 156.8일 98.6일 2.1회 32.5% 41.2% 기술투입 후(A) 408 118.7 72.6 2.0 48.3 53.0 기술투입 후(B) 402 115.5 68.9 1.8 52.0 56.8 기술투입 후(C) 412 132.4 81.5 2.0 43.2 49.2 기술투입 후(D) 417 141.8 81.3 2.0 45.8 45.3 기술투입 후(E) 405 128.6 76.8 1.9 50.6 52.6 기술투입 후(F) 415 138.6 81.9 2.0 45.3 46.2 기술투입 후(평균) 409.8 129.3 77.2 2.0 47.5 50.5
        2.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an automated industry PLC plays a central role to control the manufacturing system. Therefore, fault free operation of PLC controlled manufacturing system is essential in order to maximize a firm's productivity. On the contrary, distributed nature of manufacturing system and growing complexity of the PLC programs presented a challenging task of designing a rapid fault finding system for an uninterrupted process operation. Hence, designing an intelligent monitoring, and diagnosis system is needed for smooth functioning of the operation proces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continuously acquire a stream of PLC signal data from the normal operational PLC-based manufacturing system and to generate diagnosis model from the observed PLC signal data. Consequently, the generated diagnosis model is used for distinguish the possible abnormalities of manufacturing system. To verify the proposed method, we provided a suitable case study of an assembly line.
        4,000원
        3.
        199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the software for the diagnosis and evaluation of the nutritional ingestion status of inviduals or a group of family members who have inhabited in rural and urban, based on the suggested amount of nutrition and foods. This software can be used for the computation for the needed amount of nutrition, which is suitable to the economic conditions of individuals and group of family members, and for the reduction of effort to plan the balanced table menu and effort to manage the diets. However, those commercial softwares were hard to be purchased and expensive for the users, and even if they were purchased, it needs much time and efforts to operate and run the program. Especially those commerical software were not possible to revise when the user has faced with the need to revise and complement the input data according to his situations such as the individuals and the group of family members. The software which was developed to treat the table menu and the nutrition was very limited to the particular persons. That is, the software was not for the evaluation of the nutrition synthetically and reasonably, because it was planed to use for the patients and the group of hospital and research centers. However this software has a merit of providing the table menu and the nutritional diagnosis in that it can show the suggested amount of nutrition, the evaluation of nutrition, the methods of diet, and management of nutrition individually according to the age, sex, amount of exercise, and experience of sickness. The expected effect can be predicted to calculate the lacking amount of nutrition which the individual has taken, and be provided to the suitable table menu. In addition to this, the various table menu is based on the foods which can be purchased easily and inexpensively at any times.
        4,000원
        4.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국가에서 권고하고 있는 일발촬영 진단참고준위 설정에 사용된 조건을 조사하여 PCXMC v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효선량을 측정하고 생물학적 평가를 해보고자 한다. 그 결과 ICRP 60에서 유효선량은 가장 높은 Pelvis AP는 0.794 mSv 가장 낮은 Chest PA는 0.050 mSv이었다. ICRP 103에서는 남성이 가장 높은 T-Spine AP는 0.733 mSv 가장 낮은 Chest PA는 0.057 mSv, 여성은 가장 높은 T-Spine AP는 0.906 mSv 가장 낮은 Chest PA는 0.052 mSv이었다. 남녀 성인 40세 기준으로 일반 촬영별 유효선량을 평가 해 보았고, 선량한도의 제한을 받지 않는 의료피폭이라도 방사선위해의 확률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선량을 권고량 이하로 유지하여 국민의 의료피폭을 줄이기 위해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5.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after performing a full-scale dynamic testing of unreinforced masonry buildings,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developed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program of existing unreinforced masonry buildings were verified by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program.
        6.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의 진단의료용 방사선영상은 대부분 디지털영상으로 변환되었으나, 영상획득을 위한 조사조건 등 영상 화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관련하여서는 여전히 대부분 필름-스크린 시스템의 기준을 그대로 따르고 있 으며,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획득된 디지털영상에 대한 객관적인 화질평가 또한 임상에서 적용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영상의 화질을 평가함에 있어 기본이 되는 요소인 화질의 균일성, NPS(noise power spectrum), MTF(modulation transfer function), NEQ(noise equivalent quanta) 등에 대한 평가를 임 상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친화적인 윈도우 환경의 디지털영상화질 평가 프로그램을 MatLab을 이용하 여 개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