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K-pop 팬의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과 팬 몰입도 간의 관 계를 중심으로 팬 커뮤니티 동일시의 조절효과를 실증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에 거주하거나 K-pop 팬 커뮤니티에 활발히 참여하 는 10대 후반에서 30대 중반의 중국, 일본 및 동남아시아 출신 K-pop 팬 392명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집단주의 성향이 강한 팬들이 개 인주의 성향 팬보다 더 높은 몰입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집 단주의 성향 팬의 경우, 팬 커뮤니티 동일시를 통해 몰입도가 더욱 강하 게 형성되었으며, 개인주의 성향 팬에게서도 긍정적인 영향이 발견되었 다. 본 연구는 집단주의 성향 팬에게는 협업 활동을, 개인주의 성향 팬에 게는 1인칭 시점의 창의적 콘텐츠를 지원하고, 팬덤 상징체계와 참여 의 례를 활용하여 팬 커뮤니티 동일시를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문 화권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이벤트와 로컬 마케팅 전략을 마련함으로 써 팬들의 몰입도를 극대화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조직행동연구에서 집단주의와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 대해 많이 다루어진 데 비해, 상대적으로 근로자 언로와 조직시민 행동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 지지 않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조직에의 비공식적 기여(informal contribution)와 조직성과와의 관계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입된 조직시민행동(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과 상향적 근로자 언로(voice), 수평적 근로자 언로와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소비자 행동과 문화(文化)와의 밀접한 관련성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의 선물(膳物)증여 행위에 대한 비교문화 연구는 몹시 부진한 상태에 있다. 문화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보이는 선물증여행위를 연구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집단주의적 문화특성의 한국 소비자들과 개인주의적 문화특성의 미국 소비자들의 선물증여행위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선물증여행위의 기능과 동기의 차이 및 선물증여행위 제 변수에 있어서 문화적 차이를 살펴보고, 집단동조성과 체면의식과 같은 문화적 가치(cultural value) 개념이 상이한 두 문화에서 어떻게 작용하고 소비자들의 선물증여행위와 어떠한 관련성을 갖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론에 있어서는 정성적 방법론과 정량적 방법론을 범행하여, 탐색적 목적으로 초점 집단(focus groups)과 심층면접법(depth Interviews)을 사용하고, 가설의 검증을 위해서는 설문조사법을 사용하였다. Data의 분석을 위하여는 t-test를 이용하였으며, 그 결과 제시된 모든 가설이 채택되어 소비자들의 선물증여행위가 문화적 가치관과 동기부여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