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14.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800원
        4.
        201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恩津林氏 가문은 16세기 葛川 林薰과 瞻慕堂 林芸이 나와 학문과 덕행으로 重望을 얻어 儒林社會에서 家門의 聲價를 높였다. 瞻慕堂의 손자 林谷 林眞怤가 외조부 立齋 盧欽, 蘆坡 李屹 등의 南冥學派 계통의 학문을 계승하여 퇴계학과 남명학을 아우르는 학문을 이루었다. 임곡은 三嘉로 옮겨와 활동하였는데, 鄭桐溪, 許眉叟, 趙澗松 등과 교유를 통해 학문의 폭을 넓히고 활동범위도 넓혔다. 특히 허미수와의 교유를 통해서 近畿南人의 학자들의 학문 경향도 접하게 되었다. 임곡은 慶尙右道 학자 가운데서는 문집의 양이 비교적 많은 편이고 많은 제자를 길렀다. 특히 그가 大君師傅에 제수되었다는 사실은 그의 학문이 얼마나 뛰어났는지를 증명해주는 것이다. 임곡 이후 이 가문의 학문이 끊어진 것이 아니고 20세기까지 면면히 계속되었다. 임곡의 아들 虛齋 林如松과 反求堂 林如栢도 모두 家學의 전통을 계승하여 학문을 갖춘 인물이었다. 반구당은 龜溪書院 원장에 추대될 정도로 학문과 명망이 있었다. 구계서원 원장으로서 龜巖 李楨 의 弘揚과 龜溪書院 중건에 많은 노력을 하였다. 허재와 반구당의 아들들도 학문하는 사람이 많았는데, 허재의 아들 述齋 林東遠, 反求堂의 아들 錦岡 林東茂, 梅軒 任東說, 潤叟 林東迪 등이 학문 활동을 크게 했다. 林谷의 손자 시대가 임곡 후손들의 학문 활동이 가장 왕성하던 시기이고 유림의 推重도 가장 크게 받던 시기였다. 그러나 그 이후로 집안 외적인 상황으로는 1623년 仁祖反正 이후 慶尙右道 지방의 南冥學派 침체와 西人들의 회유 등으로 경상우도의 학문 전체가 떨치지 못하던 시대가 계속되었고, 집안 내적으로는 가난과 단명 등으로 家運이 번창 하지 못하여 학문 활동이 점차 위축되어짐을 면치 못하였다. 그래도 이 집안은 慶尙右道에서는 오랜 기간 대대로 孝悌를 중심으로 실천 위주의 학문과 저서를 중시해 온 가문으로 江右 地方의 대표적인 學者家門으로 손꼽을 수 있다.
        5.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은 여성사 연구 동향에 관한 역사적 고찰이다. 1960년대 후반 이후 여성 역사가들은 개인적이고 집단적인 여성의 삶과 그들의 체험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연구해왔다. 그들은 또한 과거로부터 여성들의 역사적 저술들을 발굴했고, 고대로 거슬러 올라가기까지 여성 역사의 전통을 수립했다. 그러나 매우 중요한 인상이 남는데, 그것은 여성들이 역사의 주류 밖에 위치한다는 것이다. 여성사는 근본적으로 역사로부터의 여성의 부재를 수정하는 데 관심을 두었다. 그러므로 여성사 기술의 목적은 여성을 역사에로 회복시키고, 역사를 여성에게로 회복시키는 것이다. 한편 1980년대 중반에 젠더 개념이 부각되었고, 젠더가 역사 내에서 분석의 비판적 범주가 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대두되었다. 그리고 분리된 여성의 역사는 있을 수 없다고 주장되었다. 새로운 역사는 근본적으로 성(性)들 간의 변화하는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전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젠더 역사의 적합성에 대한 논쟁은 계속되고 있다. 만일 전통적인 방식의 역사 기술이 ‘그의 이야기’에 중심을 두고 있다면 이제 ‘그녀의 이야기’를 찾아내어 들을 필요가 있다. 여성사를 연구하고 기술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왜냐하면 자료와 증거가 희박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때로 행간(行間)을 읽는 역사적 상상력을 필요로 한다. 남성과 여성을 모두 포함하는 균형 잡힌 역사를 기술하는 것은 역사가의 중요한 과제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