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9

        62.
        200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wastewater flow generated in treatment basins of Seogwipo-city, we selected 3 stations representing the basin and performed 7 times of field survey including 5 times in dry periods and 2 times in wet periods from Feb. 25 to May 27, 2002 for the selected stations. From the analysis of flow data measured for more than 60 days in the interval of 5 minutes and concentration data obtained from laboratory analysis, we can draw several conclusions. First, in the analysis of diumal variation of wastewater flow for land-use types, we could find the following results: in the residential area, it is observed that wastewater flow rates rise early in the morning for the office-going hour and fall gradually and rise again after the office-leaving hour, showing typical residential wastewater flow pattern, while for the residential and commercial area flow rates rise early in the morning at the office-going hour and move up and down repeatedly within wide range and last till the office-leaving hour, which can be resulted from wastewater that is generated by tourists activated after early in the afternoon, while for the touristy area flow rates rise early in the morning and fall gradually and rise again within wide range. Second, in the analysis of temporal variation of wastewater flow for monthly, it can be observed that in the residential area, in the residential and commercial areas the flow rate of May is higher than that of Feb., March, while for the touristy area flow rate is without monthly because it reflects the movement of population, Third, in wet periods concentration of water-quality item such as SS, BOD, and CODCr is high in the beginning of rainfall by first flush, and falls down gradually to reach the steady state, which is the level of wastewater in dry periods after the cease of storm water due to diluting effect resulting from additional runoff water through storm sewers.
        68.
        199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本) 시험(試驗)은 산채(山菜) 약초(藥草) 겸용작물(兼用作物)로서 개발가치(開發價値)가 높른 연천도(輦賤島) 전호(前胡)에 대(對)해 내륙적응성(內陸適應性)을 높여 신작물화(新作物化)의 가능성(可能性)을 검토(檢討)하기 위한 일환(一環)으로 용도별(用途別) 적정재식거리(適正栽植距離) 시험(試驗)을 하여 얻어질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전호(前胡)의 용도별(用途別) 재식거리(載植距離)에 대(對)한 초장(草長)은 채소형(菜蔬型)의 경우(境遇) 주간(株間)이 소식(疎植)일수록 감소(減少)하였고 약재형(藥材型)에서도 업소형(業蔬型)처림 주문(株問)이 소식(疎植)일수록 초장(草長)이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보였으며 경수(莖數) 용도별(用途別) 재식거리제(栽植距離制) 뚜렷한 차이(差異)를 보이지 않았다. 2. 생엽(生葉) 수량(收量)은 연차별(年次別) 수량(收量)의 차이(差異)는 다소 있었지만 채소형(菜蔬型)에서는 30×20cm, 약재형(藥材型)에서는 60×30cm, 채소(菜蔬) 및 약재(藥材) 복합형(複合型)은 45×20cm에서 가장 높았다. 3. 근장(根長)은 채소형(菜蔬型)의 경우(境遇) 재종거리(栽種距離)에 따른 생육(生育)의 차이(差異)를 보이지 않았으나 약재형(藥材型)과 채소(菜蔬) 및 약재복합형(藥材複合型)은 재식거리간(栽植距離間)에 통계적(統計的)인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 되었다. 4. 지하부(池下部)의 건근(乾根) 수량(收量)을 보면 채소형(菜蔬型)은 밀식(密植)에 비(比)해 소식(疎植)인 30×20cm, 약(藥) 재형(材型)은 밀식(密植)인 60×20cm에서 가장 높은 수량(收量)을 보여 상반(相反)되는 결과(結果)를 보였고, 채소(菜蔬) 및 약재(藥材) 복합형(複合型)은 밀식(密植)인 45×20cm에서 가장 높은 수량(收量)을 보여 재식거리간(栽植距離間)에 통계적(統計的)인 유의성(有意性)을 보였다. 5.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를 종합(綜合)해 보면 전호(前胡)의 용도별(用途別) 적정(適正) 재식거리(栽植距離)는 채소형(菜蔬型) 30×20cm, 약재형(藥材型) 60×30cm, 채소(菜蔬) 약재(藥材) 복합형(複合型) 45×20cm에서 지하부(地下部) 생육(生育)이 양호(良好)하면서 생엽(生葉) 및 건근(乾根) 수량(收量)이 증수(增收)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69.
        199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저장기간과 용도에 따른 대두종실의 건물 및 화학성분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장려 3품종에 대하여 2년의 저장기간 차이를 두었으며 용도에 따라서는 장려 5품종과 재래 2품종을 공시재료로 하여 종실을 종피와 자엽(유근포함)으로 분리하여 건물중, 발아율, 단백질, 지방, 전분, 당 및 oligo당을 분석하였다. 1. 3년 저장된 종자에서 건물중의 감소가 나타났으며, 발아율도 급격히 저하되었다. 2. 저장기간동안 자엽의 무게가 현저히 감소하였고, 종피의 구성비율은 증가하였다. 3. 3년 저장된 종자의 종피에서는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이 모두 감소하였고, 자엽에서는 단백질의 함량이 41.65%로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4. 종피의 구성비율은 대립종보다 소립종에서 높았다. 5. 밥밑콩에서 자엽의 단백질과 지방함량은 평균 43.59%와 18.25%로 장려품종에 비해 낮았고, 전분과 당의 함량은 평균 5.70%와 11.58%로 현저하게 높았다. 6. Sucrose, raffinose 및 stachyose의 함량은 밥밑콩에서 높았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