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방큰무당벌레(신칭)를 한국 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본 종은 국내 Harmornia속의 3종과는 둥글고 볼록한 체형, 앞가슴등판의 갈라진 점 모양, 각 딱지날개에 7개의 검은점이 1-3-2-1 배열로 나타나는 특징으로 쉽게 구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Harmonia속의 종 검색표, 진단형질과 DNA바코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81mm mortar barrel is a precision component requiring exact internal diameter measurements, which poses challenges in both machining and inspection using conventional equipment. This study addresses issues related to measurement variability and reprocessing due to inconsistencies in bore measurements along different barrel positions. Using Gage R&R analysis, we identified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measurement system, particularly its inability to provide consistent and detailed readings along the full barrel length. To resolve these challenges, a revised measuring system was developed and compared with the existing system, showing enhanced accuracy and reduced errors. The improved system was subsequently applied to the barrel machining process, resulting in quality improvements in the final product.
도로 위로 차량이 통과할 때 발생하는 타이어-노면 소음을 평가하기 위한 ISO 국제표준이 제정되어 있다. 갓길에서 통과소음을 측정 하고 차량속도와 소음 정보를 이용하여 통계 분석 방법으로 기준속도에서의 소음을 추정하는 SPB (Statistical Pass-by) 방법과 시험 타 이어를 이용하여 노면과 타이어 사이의 발생소음을 근접하여 측정하는 CPX (Close Proximity) 방법이 있다. 두 표준에서 제시하고 있 는 동일한 기준속도와 온도 조건에 대해서 국내 환경에 맞게 합리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50 km/h, 80 km/h, 110 km/h 이외의 기준속도로 측정하는 것에 대한 적합성을 확인하기 위해, 80 km/h, 100 km/h, 120 km/h로 동일 현장에서 측정한 결과를 분석하여 속도와 소음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표준에서 제시한 속도 이외의 속도도 기준속도로 활용하여 측정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표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5℃ ~ 30℃ 온도 범위를 검토하여 국내 환경조건에 따른 측정 불가능한 일수를 최소 화 하고자 하였다. 고온에서 아스팔트 블리딩으로 인한 스틱 스냅 소음의 발생을 우려하여 측정 가능 온도 상한치를 두었으나, 국내 고속도로에 사용하고 있는 아스팔트 공용성 등급 등을 고려하였을 때, 보다 높은 온도에서의 측정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실제 측정 데이터가 부족하여, 충분한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통하여 온도 관련 제한 조건을 완화하여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 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regression model using data from the Ammunition Stockpile Reliability Program (ASRP) to predict the shelf life of 81mm mortar high-explosive shells. Ammunition is a single-use item that is discarded after use, and its quality is managed through sampling inspections. In particular, shelf life is closely related to the performance of the propellant. This research seeks to predict the shelf life of ammunition using a regression model.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107 ASRP data points. The dependent variable was 'Storage Period', while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Mean Ammunition Velocity,' 'Standard Deviation of Mean Ammunition Velocity,' and 'Stabilizer'.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regression model was an R-squared value of 0.662. The results indicated that it takes approximately 55 years for the storage grade to change from A to C and about 62 years to change from C to D. The proposed model enhances the reliability of ammunition management, prevents unnecessary disposal, and contributes to the efficient use of defense resources. However, the model's explanatory power is somewhat limited due to the small dataset. Future research is expected to improve the model with additional data collection. Expanding the research to other types of ammunition may further aid in improving the military's ammunition management system.
A new oak mushroom cultivar ‘K815’ was bred from monokaryotic strains of ‘Jadam-2’ and ‘LE191732-118’. The optimal temperature for mycelial growth of ‘K815’ was 25oC, and the temperature for primordia formation and fruiting body development was 15~20oC. The fruiting body morphology is hemispherical and the fruiting form is sporadic. Total cultivation period of the new cultivar, from inoculation to its first harvest, was 133 days, which was 3 days longer than control cultivar ‘Jadam’ (129 days), with 32 days for spawn running, 89 days for browning, 4 days for primordia formation, and 8 days for fruiting body development. In the fruiting body, the thickness and diameter of pileus of the new cultivar were 32.2 mm and 58.3mm, respectively, and the length of stipe was 35.6 mm. Compared to the control cultivar ('Jadam', 'L808'), the pileus of the new cultivar was thicker and smaller and the length of stipe was shorter. The total number of fruiting bodies of ‘K815’ was 58.9, which was higher than the control varieties and total yield of 2 crop cycle of ‘K815’ was 580 g (per 3 kg substrate), which was similar to the control variety.
본 연구는 조선이 개항한 후 1880년 일본으로 건너간 개화승 이동인 이 영국공사관을 찾아가 어니스트 사토를 만나 비밀리에 외교활동을 한 행적을 사토문서를 통해 살펴보고, 영국의 대조선 외교정책의 변화를 고 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동인은 일본의 유력한 인사들과 교류와 더불어 사토의 조선어 개인교습과 함께 비밀정보원 임무를 수행하며 국 제정세를 파악하고 만국공법의 질서를 익혔다. 이동인과 사토가 접촉한 내용들은 영국 외무부에 보고되어 영국의 대조선 정책에 영향을 가져왔 다. 이동인의 실종에 관한 연구는 주로 조선에서 반대파의 보복으로 인 해 사망하였을 것으로 추정하였으나, 급박한 사정으로 인해 일본으로 도 피했을 가능성도 사토일기를 비롯한 일본외교문서 및 조선사절의 일기를 통해서 유추해 볼 수도 있다. 사토의 기록들은 19세기 말 극동의 정세와 영국의 대조선 정책을 찾아볼 수 있는 텍스트로 사료적 가치가 매우 크 다고 할 것이다,
The genus Acronicta Ochsenheimer, 1816 is known as a forest pest. The acronictine species is widely distributed across the Afrotropical, Oriental, Australian, and Neartic regions. This study presents a new record of an acronictine species from Korea, including descriptions, illustrations, and diagnostic characteristics. Additionally, the CO1 barcode data of the newly recorded species is compared with the global barcode reference at the species level. New data on the recently recorded species has been obtained from this study. This information will aid in the prompt identification and preparation for potential pest outbreaks.
현재까지 전세계적으로 Periphyllus allogenes (개성진사진딧물)은 무시성충세대에 대한 형태학적 정보만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2021 년부터 2022년까지 한국 가평군, 홍천군에서 그동안 P. allogenes의 알려지지 않았던 간모, 유시성충 세대를 채집하여, 이들에 대하여 형태학적 정 보, 분포지역, 기주식물, 생태 사진을 처음으로 보고한다.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first multi-frequency synthesis observations of blazar 0059+581 made with the Radioastron spaceground interferometer in conjunction with the Korean VLBI Network (KVN), Medicina and Torun ground telescopes. We conducted these observations to assess the spaceground interferometer multi-frequency mode capability for the first time.
본 논문은 한·중수교 이전, 특히 1981년부터 1992년 7월까지 <조선일 보>, <동아일보>, <경향신문> 등 한국의 신문 매체가 중국에 대해 어떻 게 인식하고 있는지 사설을 통해 분석하였다. 먼저 1) 사설의 보도량과 주제와 관련하여 첫째, 세 신문은 중국의 국내정치 상황에 대해 비교적 많은 지면을 할애하였다. 이는 냉전 당시 한·중관계 혹은 한반도 문제에 있어 중국의 국내정치 요인이 미·중관계나 경제 요인보다 더 중요했기 때문이다. 둘째, 1980년대 후반 중국과의 관계 개선이 본격화되면서 한· 중관계를 주제로 하는 사설이 급증하였다. 셋째, 한·중관계에 있어 미·중 관계와 북·중관계가 상대적으로 중요한 만큼 관련 주제의 사설이 비교적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2) 중국에 대한 인식과 관련하여 첫째, 1980년 대 후반을 기점으로 중국에 대한 호칭을 ‘중공’이 아닌 ‘중국’을 사용하 기 시작하면서 중국을 하나의 주권국가로 인식하기 시작한다. 둘째, 중국 을 북한 문제를 비롯해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한 주요 행위자로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셋째, 중국과의 경제교류에 대한 기대감과 함께 새로운 시장 에 대한 인식을 보인다. 중국의 개혁개방, 상호 무역대표부 설치 등은 중 국이 한국의 경제발전에 중요한 도전이자 기회라고 인식하였고, 수교를 기점으로 경제 요인은 한·중관계를 규정하는 핵심 변수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