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2.
        201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investigated the inhibitory effects of solvent extracts from Ailanthus altissima in A549 human lung cancer cell. A. altissima has been recognized as a traditional healthy food due to its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against hypertension, strokes, fever, pain, neuralgia, inflammation, and cancer effects. Recently,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extracts of various wild vegetables show strong anti-cancer properties by induction of apoptosis. However, the mechanisms of their cytotoxicity in human lung cancer cells have been poorly understood. The present study wa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olvent extracts from A. altissima on cell growth and apoptosis on A549 human lung cancer cells. A treatment of A. altissima inhibited the growth of A549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by inducing apoptosis. Especially, the chloroform fraction showed the highest anti-cancer effect among five kinds of fractions. And also, induction of apoptosis by chloroform fraction were associated with down-regulation of Bcl-2, and up-regulation of pro-apoptotic Bax expression. From these results, A. altissima may have a therapeutic potential in human lung cancer cells and as a functional food.
        4,000원
        3.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rom the methanol crude extracts of the tree of heaven (Ailanthus altissima) leaves, the antifeedant substance was isolated and bioassay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against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larvae. The antifeeding activity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feeding area during 24 hr after inoculation. Methanol extracts showing antifeeding activity at 5000 ppm was subsequently fractionated into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and water layer. Third larvae of diamondback moth was tested to each fraction layer. Chloroform layer shows the highest antifeeding activity and the layer was purified by silica gel open column chromatography. The C22 and C23 fractions showed higher antifeeding ratio with 96 and 86%, respectively, and then these two fractions were re-isolated by ODS open column chromatography. As a result, both fractions in methanol 40% (v/v) showed antifeeding ratio over 90%. The C221 fraction showed insecticidal activity in all fraction, however, C231 fraction was showed the antifeeding activity only in C2311 fraction. The C2311 fraction judging to have antifeeding activity was re-isolated and purified by HPLC and recycling, and finally obtained the bioactive substances (C23111) with antifeeding ratio with 88%. The structure of bioactive materials isolated was confirmed by LC-mass and 1H-NMR(500 MHz), 13C-NMR(100 MHz).
        4.
        199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 사용한 시료는 형성층 유래의 캘러스를 0.01mg/ 2, 4-D, 0.5mg/ BAP, 3% sucrose, 0.75% 한천을 첨가한 MS배지에서 재분화 시킨 개체를 이용하였다. 시료의 대량증식은 1.0mg/ BAP를 첨가한 MS 배지에서 실시하였으며 엽전개는 식물생장조절제가 첨가되지 않은 MS배지로 옮겨서 실행하였다. Agrobacteria를 이용한 형질 전환은 엽절편, 절간조직등을 박테리아를 묻힌 침으로 자극하여 식물체 분화를 유도하였다. 그 결과 엽절편 조직에서는 분화된 식물체를 얻지 못했으나, 절간조직의 측아에서는 49%에 달하는 24개체가 분화되었다. 이들 분화된 줄기는 kanamycin이 100mg/이 함유된 선발 배지에서 일차적인 선발을 하여 최종적으로 GUS 유전자 검정을 한 결과 처음에 접종한 50개체중 형질전환 된 것으로 추정되는 5개체를 얻어서 형질 전환 추정 비율은 10%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5.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가죽나무의 확산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공간분포를 조사하고 입지특성, 식물상 분석을 실시하여 관리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지점은 군락의 우점도가 높고, 생육입지가 균질한 유형을 고려하여 김천, 산청과 양평의 3장소를 선정하여 Line-transect 방법으로 전수조사를 실시하였다. 분포 면적 크기는 양평 1,435 m2, 김천 1,118 m2, 산청 760 m2 순으로 확인되었으며 총 510개체가 공간상에서 무작위(random)적으로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흉고직경(DBH) 계급범위(Class) 중 I(1.0-3.4 cm), II(3.5-6.4 cm))에 포함되는 가죽나무는 평균 83.2%로 가죽나무군락은 직경이 작은 개체가 우점하며 생육지의 교란정도에 따른 분포 패턴이 밝혀졌다. 식물상은 총 43과 75속 91종이 조사되었으며 3지역 모두 일년생식물(Th)이 가장 높게 나타나, 생육지가 최근에 교란이 발생된 지역임을 알 수 있었다. 가죽나무개체군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선 도로변 개체군 제거와 동시에 산지개체군제거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6.
        2008.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뿌리를 저근백피라는 한방생약재로 사용하는 가죽나무(Ailanthus altissima)의 뿌리와 줄기 그리고 잎을 기능성 식품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영양정분과 생리활성 물질의 함유량을 측정하였다.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뿌리에는 조회분(9.20%)과 조단백질(7.86%)이 많았으며, 잎에는 조단백질(11.36%) 그리고 줄기에서는 탄수화물(81.74%)의 함유량이 비교적 높았다. 수용성 단백질은 잎에서 9,839.52 mg%
        7.
        2007.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방생약자원으로 사용되는 가죽나무(A. altissima)의 뿌리와 줄기, 잎의 열수 추출물을 농도에 따라 전자공여능, SOD유사활성, 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하여 항산화 활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통풍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알려진 xanthine oxidase와 melanin 색소 합성에 작용하는 tyrosinase저해 활성을 측정하여 가죽나무의 생리활성을 분석하였다. 전자공여능은 1.0 mg/mL의 농도에서 뿌리(91.25%) > 줄기(6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