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3.
        201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cultural disposition (Chemyeon, Noonchi, Woozzul), media use, and attitude toward luxury goods consump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We analyzed online survey data for 300 Korean Women between 20 and 39 years of age who lived in Seoul, capital of South Korea. We us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relative influence of cultural orientation on cognition of luxury goods, Sobel test. to determine mediating effect, and a two-way analysis of variance in IBM SPSS 23.0. Results - The finding suggests that cultural disposition (Chemyeon, Noonchi, conspicuous Woozzul)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perceived self-identity, attitude toward luxury goods. The effects of Chemyeon, Noonchi, and selfish Woozzul on the attitude toward luxury goods was fully mediated by perceived self-identity. However, association between conspicuous Woozzul and attitude toward luxury goods was partially mediated by perceived self-identity. Regarding media effect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wer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selfish Woozzul and amount of time spent on TV on attitude toward luxury goods, as well as between selfish Woozzul and amount of time spent on Internet. Conclusions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luxury goods consumption of Korean young women is consumer behavior that reflects individual cultural disposition and media use.
        4.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문화상품이란 자국의 문화·역사적 요소 및 자원에 현재의 시대적 조건에 맞는 심미적 요소와 첨단 산업기술을 복합적으로 투입하여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복합체를 말한다. 동시에 문화상품은 한 나라의 문화가 총체적으로 응집된 상품을 뜻하며, 고부가가치 창조형 산업이면서 자국 문화의 고유성 및 특성을 세계의 보편문화와 조화롭게 결합시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과정에서 제작자의 전문성 및 창의력이 상품경쟁력을 결정하는 주요변수로 작용하는 지식창조형 산업이다. 따라서 그 어느 산업보다 첨단 소프트웨어 기술 및 고도의 문화 창조능력이 요구되는 21세기 유망 성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는 문화상품에 대해 국가정부 차원에서의 인식 수준은 높으나 민간 자본의 유입과 협력관계를 조성하는데 필요한 기반 구축은 미흡하다. 또한 서구의 상품 아이템을 모방하는 단계에서 상품 개발이 추진되고 있으며, 수공예적인 유사예술상품 및 지역토산품, 관광기념품 중심으로 상품이 개발되는 등 유용성과 경제성 중심의 신상품 개발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전통 자수는 우리의 사상과 미의식이 투영된 소중한 우리 문화유산이다. 그러나 차별성 있는 문화로 산업화하지 못한다면 국제경쟁력 시대에 대응하지 못하고 상실될 수도 있다. 중국과 영국의 도자기, 일본의 칠기 등과 같이 우리의 전통 자수도 우리 시대에 맞는 문화상품으로 개발하여 세계적으로 우수한 문화상품으로 생산하여 발전될 수 있도록 연구하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