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적: 간접적 안구 운동 검사 방법인 New York State Optometric Association King-Devick (NYSOAK-D) 및 Developmental Eye Movement (DEM) 검사를 수행하는 동안 직접적 안구 운동 검사 방법인 안구운동 추적 장치(Eye Movement Tracking Device, SMI, Co.)를 사용하여 측정된 안구 운동 변수가 두 검사수행에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 법: 대학생 86명(22.60±1.68세)을 대상으로 NYSOA K-D 및 DEM 검사를 수행하는 동안 안구 운동추적 장치를 이용하여 주시, 홱보기 및 눈 깜박임 안구 운동 변수의 횟수 그리고 지속 시간을 측정하였다. 결 과: 안구 운동 추적 장치로 측정한 검사 수행 시간은 NYSOA K-D 하위 검사 1, 2 및 3에서 각각15.85±3.46 sec, 15.45±3.32 sec 및 15.69±3.16 sec로 서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DEM 하위 검사 A, B 및 C에서 16.03±2.82 sec, 16.45±2.96 sec 및 15.69±3.19 sec로 시표가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하위 검사SA 및 SB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NYSOA K-D 및 DEM 검사에서 주시 수행 시간이 홱보기 수행 시간보다 더 많았고, DEM 검사에서 수평 방향보다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시표에서 홱보기 수행 시간이 더 감소하였다. 결 론: NYSOA K-D 및 DEM 검사에서 주시운동의 수행시간이 홱보기보다 더 크고, 수직방향보다 수평방향의 시표에서 홱보기의 수행시간 비율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다. 주시 및 홱보기 안구 운동 능력을 명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연령과 안구운동이상자를 대상으로 수직 및 수평 배열 시표가 모두 포함된NYSOA K-D나 DEM 검사와 안구운동추적검사를 병행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고 생각된다.
목적: 독서능력을 평가하는 도구로 DEM검사를 활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방법: 초등학교4-6학년 246명을 대상으로 독서속도를 직접 측정하는 Visagraph II검사와 DEM검사를 진행한 후, Visagraph II검사의 평균주시횟수, 평균반복횟수, 평균주시시간 및 평균독서속도가 DEM검사의 수직 및 수평보정시간, 오류갯수 및 수평/수직시간비율과 각각 상관성이 있는지 조사하였다. 결과: DEM검사의 수직보정시간은 Visagraph II의 평균주시횟수, 평균주시시간 및 평균독서속도와 각각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으며, DEM검사의 수평보정시간은 평균반복 횟수만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 그러나 DEM검사의 오류갯수 및 수평/수직시간비율은 Visagraph II결과와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다. 결론: DEM검사의 중요한 요소인 수평보정시간과 수평/수직시간비율이 Visagraph II의 평균독서속도와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으므로, 임상에서 독서능력을 평가하기 위해DEM검사를 활용하는 것은 추가적인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