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22.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에서 경제교육 수요 자체가 급감하고 있는 상황에서 교육부의 필수 과목의 최소화, 학습 내용의 축소, 선택과목 증가, 고교학점제 도입, 자유학기제 도입, 비교 과 창체 활동 확대 등을 지향하는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에 부응하여 사회탐구 일반선택 ‘경 제’를 ‘경제생활’로 대체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밝혔다. 경제생활의 교육과정은 소득과 소비, 재무와 금융, 진로와 직업, 시장과 경제생활, 국가와 경제생활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이는 일상에서 직면하게 되는 개인의 경제 문제에 합리적으로 대처하고, 개인의 경제생활 영위를 위해 필수적인 기초 지식을 습득하며, 건전하고 안정적인 경제생활을 유지하는 태도 를 지닐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는 특징이 있다. ‘경제생활’ 교육과정으로의 개편은 ‘어려운 경제’, ‘현실과 동떨어진 이론 경제’에서 ‘쉬운 경제’, ‘생활 경제’, 그리고 ‘학생 중심 경제’ 를 지향하는 학교 경제 교육과정 개정으로의 첫 걸음이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어려운 경제’라는 인식으로 인해 학생들로부터 기피되어 왔던 문제를 극복하여 고등학교에서의 경 제교육을 활성화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4,600원
        2.
        2016.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ina’s economic success and trade expansion since the 1980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conomic achievements, which lifted more populations out of extreme poverty than any other time and place in history. This achievement has been made possible by trade-led development policies successfully adopted by China. China also joined the WTO in 2001, after fifteen years of negotiations with its trade partners, and is subject to WTO legal disciplines requiring the transparency of its trade-related decisions and procedures. This article examines China’s economic reform, which led to its accession into the WTO, and reviews China’s trade and development policies under the WTO. In addition, this article discusses China’s participation in the WTO Dispute Settlement Procedure. There has been a concern as to whether China will be compliant with the requirements under the Dispute Settlement Understanding (DSU). The article shows that China has become an active participant and has maintained well under the terms of the DSU.
        5,800원
        3.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AP(Knowledge, Attitude, Practice)이론은 노작활동 중심의 실과 교육에 적합한 교육이론이다. 본 연구는 KAP이론을 적용한 실과 교육을 통해 일과 노작활동에 대한 바람직한 가치관을 길러주고 실천지향적인 태도 변화를 이끌어 내는데 목적이 있다. 학생들의 노작활동이 주를 이루는 실과 교육은 학생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와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과정을 먼저 알아야 하고(Knowledge), 알고 있는 지식을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긍정적인 생각을 가진 다음(Attitude), 행동으로 옮겨 직접 실천해 보는(Practice) 과정을 거쳐야 학습의 성과가 높아진다. KAP이론을 적용한 실과 교육을 위해 5학년 실과 학습내용을 K(Knowledge)영역, A(Attitude)영역, P(Practice) 영역으로 나누어 연간 지도 계획을 수립하였다. 또한 KAP 실과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2시간 단위의 블록타임제 운영, 실과실 정비, 학습준비물 예산 확보 등의 선행 작업을 거쳐 총 68차시의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KAP 실과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실습활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지식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깨닫고 필요한 지식의 습득에 적극성을 띠게 되었다. 또한 노작활동에 대한 참여율, 작업수행 능력 등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일에 대한 태도, 성별에 따른 직업관 등에서 모두 바람직한 태도 변화를 보였다.
        7,000원
        4.
        2009.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가정과 교사들이 쉽게 PBL 문제를 개발할 수 있도록 PBL 문제개발 모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중학교 가정과 PBL 문제개발에 필요한 절차 및 요소를 도출한 후 모형 초안을 개발하였고, 전문가검토 및 수정을 거쳐 모형을 완성하였다. 이를 토대로 중학교 1학년 교과의 한 단원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PBL 문제개발 절차는 가정교과에서 무엇을 학습할 것인가를 파악하는‘교육과정 분석하기’, 학생들의 특성과 요구조사 및 알고 있는 것과 알고 싶은 것을 확인하는 ‘학생관심 및 수준 분석하기’, 관련 자료를 찾는 ‘자료검색 및 수집하기’, 상황설정, 배경, 주인공의역할 및 과제 등을 제시하여 문제를 완성하는 ‘문제 작성하기’, 작성된 문제가 교육과정 및 구성주의 원리에 맞는 좋은 문제인지를 검토하는 ‘타당성 검토하기’의 순으로 이루어진다. 본 모형은가정과 교사들에게 PBL 문제작성에 절차적인 지침을 제공하여 가정과 PBL 문제개발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
        5,200원
        5.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기술·가정 교과 ‘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 입기’ 단원에서 활 용 할 수 있는 STEAM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고, 개발된 STEAM 교육을 적 용한 수업이 학습자의 교과에 대한 흥미도와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를 위하여 2009 개정 중학교 STEAM 관련 교과 교육과정을 분석 후, STEAM 교육에 적 절한 주제를 추출하여 STEAM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한 후 충청북도 청주시 소재의 N 중학교 2학년 2개 학급 6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총 5차시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중학교 2∼3학년 기술·가정 교과 ‘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 입기’ 단원에서 사용할 수 있는 STEAM 교육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과정안과 학습자료, 교사용 참고자료를 개발하였다. 수업후 효과를 확인한 결과 STEAM 교수·학습 지도안을 활용한 수업은 학생들의 흥미도와 문 제 해결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