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陶淵明의 <歸去來辭>는 不正과 腐敗, 爭鬪와 非理로 얼룩진 晉․宋年間에 그 자신의 田園에 대한 憧憬과 자기 본연의 모습을 실현에 옮긴 작품으로써 漢代에 성행했던 賦라는 형식의 작품이다. 漢代의 賦는 대체로 호화롭고 거창한 사물들을 아름다운 형식으로 멋지게 표현하는 데에만 힘써서, 결국 생명이 없는 貴族文學으로 변한 느낌이 없지 않았다. 그러나 도연명의 <歸去來辭>는 漢代의 賦와는 달리 언어가 平易하고, 꾸밈이나 다듬은 바가 없으며, 가슴속의 奧妙한 意趣를 읊었기에 누구나 친근감을 느낄 수 있는 작품으로 인간의 ‘참성정’ ‘참생명’을 반영한 작품이다. 2. 蘇東坡의 <和歸去來辭>는 그가 海南에서 貶謫생활을 할 때 지은 작품으로 形式上으로는 陶淵明 <歸去來辭>의 題目과 韻字를 빌린 것으로 나타났지만, 實際上에서는 陶淵明의 <歸去來辭>를 體得한 후, 그가 전원으로 貶謫된 상황에서 哲理的인 인생관을 읊은 敍事이며, <歸去來辭>를 追和하면서 주관적인 감상과 豪放한 詩心을 읊은 抒情이다. 그 내용은 전원생활의 平淡한 自然情趣를 표현했던 <歸去來辭>와 달리 安分隨命하려는 자신의 심경을 묘사하였다. 3. 兩人의 작품에 나타난 제 1문단을 비교하면, 도연명의 <歸去來辭>는 전원으로 돌아가는데, 平易한 언어의 표현으로 내용이 순탄하게 전개되어 쾌활한 느낌을 주며, 그의 은퇴는 “천하에 도가 있으면 나타나 벼슬하고, 도가 없으면 숨는다.(天下有道則見, 無道則隱.)”라는 儒家的 隱遁의 方式을 취하였으나, 소동파는 昌化에 貶謫되어 자신의 身世에 대한 서글픔을 읊으면서 《莊子》에 나오는 “無何有之鄕”을 憧憬하였다. 兩辭의 韻字는 모두 “微”字韻으로 押韻하였다. 4. 兩人의 제2문단을 비교하면, 도연명은 그가 自意에 의해 전원으로 돌아가는 모습을 자상하고 순서 있게 표현하여서 독자로 하여금 그와 더불어 전원으로 인도되어 自然과 더불어 영원한 삶을 누리고 싶은 심정을 느끼게 한다. 소동파 역시 연명과 같은 詩脈을 가지고 田園歸居의 모습을 표현하여서 詩想의 일치함을 알 수 있다. 兩辭의 韻字는 모두 “寒”字韻으로 일치한다. 5. 兩人의 제3문단을 비교하면, 도연명은 속된 세상의 사귐을 떠나 전원에 돌아와 安着하여 樂琴書와 농사일을 하면서 산수자연의 즐거움을 찾고자 하는 심정을 儒家的인 생활방식으로 읊어 詩語의 흐름이 생동감이 있고 희망참을 느끼게 하고, 소동파는 佛經과 莊子의 사상에 가까운 내용으로 ‘無何有之鄕’에 안주하고자 함을 읊어 시어의 흐름이 엄숙하고 오묘함을 느끼게 한다. 兩辭의 韻字는 모두 “尤”字韻으로 押韻하였다. 6. 제4문단은 兩 작품의 결론에 해당하는 문단으로 도연명은 人間事를 自然의 推移에 따라 맡기고 安貧樂道하며 達觀된 태도로 天命을 기다린다고 읊었고, 소동파는 永生不滅이나 神仙思想에는 懷疑를 느끼기에 도연명을 스승 삼아 그의 後身이 되고자 한다고 읊었다. 兩辭의 韻字는 모두 “支”字韻으로 押韻하였다. 이상으로 소동파의 <和歸去來辭>를 分析․比較한 결과 그의 <和歸去來辭>는 莊子의 ‘無何有之鄕’에 안주하여 桃源에 대한 憧憬은 있으나, 陶淵明의 <歸去來辭>와 비추어 볼 때 實感이 결여되어 意趣에는 미치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우리는 여기서 도연명의 <歸去來辭>는 위대한 작가의 문학작품으로서 후세의 영원한 龜鑑이 되고, 교훈의 지침서로 남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900원
        2.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苏东坡一生数次被贬適或外放,其中因"乌台诗案"而被贬至黄州的一 次,使他的人生观起了新的变化。他原有的儒学的价值观在经过任职黄州之 后,逐渐归依佛老思想、开始有了较达观的人生态度。这种人生观的变化在 他的词作有所表达。以‘江’为形象的词作中,被贬適之前作品中江的形象与 其他诗人的作品一样是离别与相会的"江";但在经历人生曲折与艰难后,就变 成以怀古的和历史的侧面去看的、超越的"江"。苏轼就是在这样的词作超脱 的境界中去诠释他人生中遭遇到的挫折与绝望,并通过江水去表达大自然悠 久与永存的法则。所以,东坡在一生经历无数的桎梏岁月、越是直面艰辛的 命运时,其诗词、尤其是词作,越是发出宝石般的光芒,象滚滚长江一样东 流不尽。总之東坡詞所描写的"江"以王國維的境界說来说的话"春色三分, 二 分塵土, 一分流水”是其第一境也。"人生如夢,一樽還酹江月”是其第二境 也。"小舟從此逝, 江海寄餘生”是其第三境也。
        8,600원
        3.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회봉과 동파는 몇 백년의 간극을 뛰어넘어 ‘和陶詩’라는 하나의 시형식으로 遭遇한 사람들이다. 그들은 도연명이라는 인물의 도덕적 청렴함과 인품의 고결함, 은자로서의 삶에 같은 공감대를 느끼며 ‘화도시’를 짓게 되었고, 특히 회봉은 소동파에게도 상당히 경도되어 있었는데 이도 화도시를 짓는 하나의 動因이 되었다. 시대의 간극을 뛰어넘고 ‘화도시’로 만난 이들은 각자 처한 시대와 현실에 고민하고 갈등하며 그 내면적 고뇌들을 시에 加減 없이 담아내었다. 그러므로 ‘화도시’는 그들의 정신적 고뇌의 산물이면서 한편으로는 현실의 고민과 갈등을 해소해가는 일종의 정신적 해방구이기도 하였다. 회봉은 화도시에서 유학자로의 자세를 견지하고 도덕적 선을 추구하는 시를 지었으며, 亡國의 좌절과 아픔을 화도시에 담아 내었다. 유학자로서 이상적인 모습을 시에 나타내려한 회봉의 화도시에는 溫柔敦厚함이 담겨있다. 그리고 동파는 현실을 추구하는 유자로의 모습과 은일의 삶을 추구하는 은자로서 모습 사이에서 갈등하며 시대의 불우에 대한 좌절을 화도시에 담아내면서도 아주 현실적이고 이성적인 지식인의 모습을 보였다. 회봉은 동파와 유사하거나 또는 상이한 견해를 보이며 시공을 초월하여 ‘화도시’를 통해 동파와 交感하였다. 동파와 비교가 가능한 회봉의 화도시는 우리 한문학의 범위를 해방후까지 연장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며, 근대한문학의 범주를 공고히 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