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1.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reset the Reference Extent for Consultation about Energy Use Plan by the project so that the Consultation about Energy Use Plan would display realistic effectiveness. To achieve this aim, consultation case analysis was carried out from 2006 to 2014 and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ystem was reviewed. The results show that Reference Energy Equivalent Extent could be basis for resetting the Reference Extent by the project. Also suggest that the Reference Energy Equivalent Extent calculated by Electricity Intensity could be applied to the Reference Extent of Urban, Tourism and Industrial complex development project in order to reflect change of industrial technology & Energy demand.
        4,000원
        2.
        2014.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Korea Energy Master Plan was first developed in 2008 to achieve sustainable economic development and energy security while considering environmental impact. The plan is to be updated every five years to consider environmental changes and changes in energy market supply and demand.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the 2008 master plan identified the need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as the primary global issue for energy policy. The plan calls for maximum use of nuclear power and renewable energy and dramatic curb of energy demand. Its energy policies primarily focus on ways Korea can provide an affordable and stable supply of power while supporting economic growth and industrialization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MOTIE], 2014). The policy has brought significant growth to the renewable and nuclear power generation industries. However, cheap electricity has increased electricity consumption and destabilized the supply-demand power balance. The construction of more power plants to meet growing electricity demands has also had negative impacts such as increased greenhouse gas emissions, an overloaded electricity transmission network, and opposition from local residents near power lines and power plants. In accordance, the second energy policy in 2014 focuses on (MOTIE, 2014): 1. Transitioning to demand management 2. Building a distributed generation system 3. Balancing between environmental and safety concerns 4. Enhancing energy security and energy supply stability 5. Establishing a stable supply system for each energy source 6. Shaping energy policy to reflect public opinion Regarding market trends and consumer/industry demands, the Korean economy is relatively high in energy use per GDP unit. Korea’s many energy-intensive industries and cheap electricity have caused the industrial sector to sharply increase its demand for cooling and heating. The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in Japan heightened public fears about nuclear power generation. From 2010 to 2035, as developing countries grow in economics and population, global energy demand is expected to increase by 48.3%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by 40.2%. As the cost of oil rises and unconventional energy sources such as shale gas and tight oil are developed, negotiations on a new post-2020 global climate framework will change the energy market landscape. Regarding energy demand management, the plan focuses on revising electricity rates to ease overconsumption and to reflect environmental and social costs such as refurbishment of nuclear facilities and the transmission network, different pricing for different types of voltage use, progressive rate relief, and expansion of critical-peak pricing. It applie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 demand management by deploying smart grid incentives for energy storage system installation, revising standards for building design, and invigorating the demand management market. To balance electricity consumption ratios, the plan advocates increasing renewable gas, coal, and oil consumption. To establish a stable supply system for each energy source, the plan suggests diversifying oil import routes to respond aggressively to global market changes such as the emergence of shale gas. It recommends supplying more than 15% of power from distributed sources such as integrated energy systems, renewable energy, and in-house generators, and constructing power plants in areas that have sufficient electricity transmission capacity. It also suggests accelerating the use of eco-friendly and renewable energy sources such as solar, wind, geothermal, fuel cells, and energy storage systems to reduce CO2 emissions. In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improved safety for power plant operation, the plan advises using greenhouse gas reduction technologies such as ultra-supercritical and carbon capture and storage for thermal power plants as soon as they are available. It prioritizes nuclear plant safety by expanding investment, improving management of aged plants, and fostering planned and preventive inspections. It also recommends responding proactively to energy-related conflicts by improving transparency in electricity transmission network and spent nuclear fuel management policies. The plan gives several insights into the future of energy marketing. First, as electric charges increase, customers will have more interest in energy issues such as electricity consumption and CO2 emissions when they purchase product. They will want manufacturers to divulge the energy efficiency of products. As technology develops, products will add additional functions that will increase future product costs. Eventually products that consume less energy will be more competitive as customers consider total ownership costs. The new market trends will create and expand the need for energy management systems utilizing ICT, renewable energy, and safety in nuclear power plants.
        3.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nsultation about Energy Use Plan is prescribed by the Energy Use Rationalization Act.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s of Consultation about Energy Use Plan, case analysis from 2006 to 2010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of analysis shows that the mean energy use per object is 131,500 toe, that the mean annual energy saving effect is 15.3% and mean annual CO2 reduction effect is 13.7%. These effects are equivalent to 0.7% of 2010 national primary energy consumption. Also benefit-cost ratio during this period is 1.57, it means economic and social effect with the Consultation about Energy Use Plan are very excellent.
        4,000원
        4.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대 사회에서 기상청의 날씨 정보는 점점 중요해지고 있으며, 최근에 장기예보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장기예보는 국가 차원에서 기온, 강수량을 중심으로 하여 서비스되고 있으며, 이러한 공공성 정보를 토대로 민간 부문에서도 다양한 장기예보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이러한 장기예보 서비스는 산업 부문의 효율성 제고에도 유용한데,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에너지 산업에 필요한 장기예보 활용 방안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에너지 산업에 맞는 효율적인 장기예보 활용 방안은 실제적인 수요 조사를 바탕으로 유용성, 활용성, 사용자 편의성, 업무 효율성을 토대로 수립되었으며, 단계별 활용 전략이 수립되었다. 즉 1단계에서는 장기예보 서비스의 홍보와 인지도 향상, 2단계에서는 장기예보 서비스 강화를 위한 정비, 3단계에서는 맞춤형 장기예보 서비스 개발 및 연구 수행, 4단계에서는 서비스 정보 고효율화 및 활용 극대화를 목표로 활용방안이 수립되었다. 이러한 활용 방안은 에너지 산업의 장기예보 활용을 보다 활성화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다른 산업 부문의 활용성을 확대시키는데 유용한 프레임 워크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5,400원
        5.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nsultation about Energy Use Plan is prescribed by the Rational Energy Utilization Act. This paper proposes a regression model for estimating consultation objects each year. Analysis results predict for the next six years that the mean annual energy saving effect is 13.2%, mean annual CO2 reduction effect is 13.4% and benefit-cost ratio is 2.48, it means economic and social future effect with the Consultation about Energy Use Plan are very excellent. Also the effect of introducing system improving efficiency of energy use is expected to account for 62%, recovering waste heat account for 17%, introducing group energy supply account for 18% and utilizing new․renewable energy system account for nearly 3% of total energy savings on plan for improving efficiency.
        4,000원
        6.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nsultation about Energy Use Plan is prescribed by the Rational Energy Utilization Act. The Consultation about Energy Use Plan submitted by only the public superintendent of project was enforced from 1999. The Consultation was enlarged in objects as including the private superintendent of project according to amendment of the Act in 2002, also the consultation was enlarged in objects of facilities etc. by amendment in 2006. The results of analysis shows that the mean annual energy intensity value per 103 ㎡ is 86.5toe, mean annual CO2 emission intensity per 103㎡ is 61.7TC and the mean annual energy saving effect is 13.0%, mean annual CO2 reduction effect is 13.4%, these effects equivalent to 0.33% of 2005 national primary energy consumption. Also benefit-cost ratio of whole objects is 1.67 and benefit-cost ratio of enlargement objects is 1.93, it means economic and social effect with the Consultation about Energy Use Plan are very excellent.
        4,000원
        7.
        200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새로운 지진하중 저항시스템으로 셀프센터링(SCED) 가새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진보된 가새 시스템인 비좌굴 가새(BRB) 시스템과는 달리 큰 지진이 발생한 후 구조물의 잔류 변형을 줄이거나 없앨 수 있는 셀프센터링 능력은 SCED 가새 시스템의 장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SCED 가새와 BRB 가새 시스템의 거동에 비틀림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세 가지 다른 편심을 가진 3차원 구조물의 응답을 비선형 동적해석을 수행하여 비교하였다. 해석결과에 따르면 층간변위의 높이방향의 변화는 비정형성에 관계없이 SCED 가새골조의 응답이 BRB 가새골조보다 일정하였으며, 잔류 층간변위와 잔류 회전 응답은 비정형성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중층 구조물에서 SCED 가새골조의 변형집중계수(DCF)는 BRB 가새골조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SCED 가새골조가 건물 높이에 따라 보다 일정하게 변형함을 의미한다. DCF의 크기에 대한 비틀림 비정형의 효과는 작았다.
        4,000원
        8.
        2017.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신기후체제에 대한 이행체계 구축을 위해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 강화에서 폐자원에너지가 기여하는 역할에 대해 조명 받고 있다. 그 이유는 폐자원에너지가 다른 재생에너지 대비 비용 효율적이고 지역에너지로서 기능과 분산형 발전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뿐만 아니라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해 추진 중인 EU의 자원효율 정책과 그 전략으로 전개되는 순환경제에서도 폐자원에너지가 물질재활용과 함께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는 점을 고려한다면 앞으로 폐자원에너지를 보다 활성화하기 위한 시책(施策) 마련이 필요하다. 2018년부터 시행예정인 자원순환기본법에서 매립이나 소각시 폐기물처분부담금을 부과하도록 한 점은 제도적으로 폐자원에너지를 회수하고 유효 이용하도록 하는 유인책으로 역할을 담당하는 것은 자명하다. 그러나 제도적으로 부과금을 부과한다고 하여 폐자원에너지를 활성화하기에는 한계점이 있다. 이 같은 배경을 토대로 본 연구는 기후변화와 자원순환사회 구축에 선도적으로 대응해 온 EU나 일본의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부과금 제도의 후속 조치로 폐자원에너지 활성화 요소 및 방안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EU는 28개 회원국으로 구성되어 있기에 주로 유럽집행위원회(EC)에서 폐자원에너지를 회수하도록 하는 전략을 기후・에너지패키지 및 순환경제패키지 등을 연계하여 수립하고 있다. 일본은 폐자원에너지를 보다 많이 회수할 수 있도록 에너지 회수효율을 국고보조금 제도와 연계하여 집행하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결론적으로 EU와 일본을 대상으로 폐자원에너지를 회수하고 유효 이용하도록 하는 정책적 활성화 방안을 살펴본 결과, 국내도 폐자원에너지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부과금 제도 이외에 다양한 시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9.
        2017.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EA의 에너지 전망 시나리오에 따르면 세계의 에너지 수요는 점차 증가할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적으로 에너지 수요 증가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량 증가를 제한하기 위한 에너지와 기후 정책이 시행 되고 있다. 파리협정은 2020년 만료 예정인 교토의정서를 대체하기 위해 2015년 채택 된 신기후체제로, 적극적인 온실가스 감축을 목표로 한다. 이에, 유럽에서는 이미 폐기물을 이용한 재생연료의 바이오매스 함량을 측정하여 이를 온실가스 배출량에서 차감하는 정책을 수행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신재생에너지를 사용하여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한 정책이 시행 중이다. 산업통상자원부의 제4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에 따르면, ‘35년까지 1차 에너지의 11.0%를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하여 전체 전력량의 13.4%를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하는 것이 목표이다. 신재생에너지로서 폐기물에너지의 정책 목표 비중은 14년 67%에서 25년 38.8%, 35년 29.2%로 점차 줄어들지만, 신재생에너지의 전체 공급 목표량이 증가하므로 폐기물에너지의 연평균 증가율은 2%를 목표로 하고 있다. 2016년 신재생에너지 백서에 따르면 폐기물에너지의 이론적 잠재량은 2013년 기준 13,977,173 toe/yr 에 이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의 신재생에너지로서 폐기물에너지의 가치를 평가하고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정책 개선 방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10.
        200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매립지는 도심부 혹은 내륙지역과는 달리 독특한 지형적 자연환경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내륙지역에 비해 낫은 기온, 강한 바람, 과다한 일사조건, 해염을 포함한 습기라는 기후적 악조건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워터프런트를 개발할 경우는 매립에 따른 기후환경 특성을 상세하게 파악하여 적합한 개발 및 체계적인 유지관리가 필요하다. 워터프런트의 지형적, 기후적 특성을 충분히 검토하지 않고 개발을 추진한 경우 기후환경의 악화와 더불어 시설의 하자발생 및 부정확한 설비용량 산정에 따른 에너지비용 및 유지관리비용의 상승이 초래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매립ㆍ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부산 신항만지역의 환경친화적 에너지 수급계획을 위하여 신항만지역의 표준기상데이터를 작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 계획되어 있는 상업ㆍ업무시설과 주거시설을 대상으로 동적 최대 열부하계산을 실시하여 신항만지역 배후도시의 설비용량 산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11.
        198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transportation productivity is the throughput of utility per locations of resources and is able to be brought forth by using transportation mode. Therefore, Oil energy is necessary for using the transportation mode that is mainly consisted of four parts trucks, railroad, ship and aircraft, and Oil quantity used for such modes is not respectively same. Noticing Such a Point, the purpsoe of this paper is to reaserch the transportation mode of convertable cargoes and to minimize energy consumption quantity by adopting such a mode. We must ttend to Energy-Intensity, Transportation, Distance and cargo quantity for selecting the transport mode to energy consumption and the minimization of transportation energy consumption is concluded in the next LP Problem. As above mentioned, we can find the solution of Xij by the LP when Xij is transportation cargo per routes, and fullfil the minimization of Energy Consum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