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2.
        2013.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한국에서 여름철 동안 야간 고온이 스프레이국화의 개화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2005년 실험결과에 따르면, 단일기간 중 야간 온도가 25°C 이상 지속된 기간은 23.6일로 조사되었고 개화가 지연된 기간은 22일로 조사되었다. 유사한 결과가 2006년에도 조사되었는데, 단일기간 중 야간 온도가 25°C이상 지속된 기간은 23.6일, 개화지연 기간은 23일로 조사되었다. 2007년 결과도 단일기간 중 야간 온도가 25°C 이상 지속된 기간은 31.9일, 개화지연 기간은 31일로 조사되었다. 결론적으로 2005년부터 2007년까지의 결과에 따르면, 스프레이국화 ‘Euro’ 품종에서 야간에 고온과 개화기간지연 사이에 특별한 상관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3,000원
        5.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Recent climate change has also affected the biological season for plants. There are various studies on this, but most of them are studying horticultural crop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iming of flowering in different regions and to predict the flowering time of Schisandra chinensis (Turcz.) Baillon. using meteorological data. Methods and Results : The flowering time and cultivation area of Schisandra chinensis were searched and surveyed by the Internet data and Annual research report of the RDA. Accumulated temperature and Growing degree day at 0℃, 5℃, 10℃ or more and Cumulative hours of sunshine at 0℃ or more to the cultivation area and flowering period of irradiated Schisandra chinensis were calculated from meteorological data of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calculated using Excel, respectively.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Excel. The data collected were 15 research reports and 20 internet surveys, but it was difficult to use statistical significance due to the high coefficient of variation. The 5-year Suwon data and the 3-year data of Jinan were used in the study report data relatively close to the meteorological stations. Conclusion :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The flowering time of Schisandra chinensis is the time when Accumulated temperature of 0℃ or more [Σ (daily average temperature > 0℃)] becomes 650℃ and the Growing degree day of 0℃ or more { Σ [ (day maximum temperature + day minimum temperature) / 2 > 0℃ ] } was 670℃.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was 6.5% and 6.2%, respectively.
        6.
        200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라산 백록담내의 고산식물 59종류를 대상으로 생활형, 화색, 개화시기, 그리고 종자의 성숙시기 등을 조사하여 화훼자원으로의 개발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백록담내 고산식물의 생활형은 반지중식물이 67.8%로 대부분을 차지하여 전형적인 고산식물의 생활형 분포를 보여주고 있다. 개화는 전반적으로 7∼8월에 이루어지며, 종자는 8∼9월에 집중적으로 성숙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고산식물의 화색은 백색이 27% (16종)로 가장 많고, 백색, 청색, 황색 꽃의 출현빈도가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