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2.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버섯과 배지에 피해를 주는 긴수염버섯파리와 원예작물의 뿌리를 가해하는 작은뿌리파리 같은 버섯파리류의 성충 발생예찰에 끈끈이트랩이 사용되고 있으며 끈끈이트랩을 이용한 예찰은 살충제 및 친환경 방제 수단의 투입을 결정하기 위한 중요한 측도이기도 하다. 다양한 색상의 끈끈이트랩은 간편하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버섯파리류의 성충을 비롯한 비행 능력이 있는 대부분의 해충 예찰에 이용된다. 버섯파리류 성충 예찰에는 황색 끈끈이트랩이 가장 효과적이며, 예찰뿐만 아니라 대량유살을 통한 방제 목적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버섯재배사와 원예작물 재배지에 발생하여 피해를 주는 버섯파리류 성충의 효과적인 예찰 및 방제를 위한 끈끈이트랩의 최적 설치위치를 검토한 결과,양송이와 느타리버섯은 2단 베드에, 톱밥표고버섯은 베드 위 100 cm에, 수경재배 딸기는 베드 하단에, 수경재배 토마토는 베드 위 20 cm에 설치하였던 끈끈이트랩에서 버섯파리류 유인수가 가장 많았다. 본 연구는 버섯파리류 성충의 효율적인 예찰 및 방제를 위해서 작물의 재배형태나 환경에 따라 끈끈이트랩의 설치 위치를 달리하여야 되는 것을 시사했다.
        3,000원
        3.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표고버섯 재배지에서 버섯파리는 가장 문제가 되는 주요해충이다. 버섯파리에 의한 피해를 입은 농가는 표고버섯의 생산뿐만 아니라 상품성이 현저히 떨어져 많은 피해를 입고 있다. 국내 표고버섯 재배양식은 크게 원목과 톱밥배지에 의한 방법으로 나뉘는데 재배양식의 차이 및 지역 간 주요 피해원인이 되는 버섯파리의 종과 분포양상을 조사하기 위해 봄부터가을까지 경기도와 충청도 지역의 주요 표고버섯 재배지에서 버섯파리를 채집하였다. 채집은 황색 끈끈이트랩(참고, Yellow sticky trap)을 이용하였고 버섯파리의 종 동정은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COI)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버섯파리류의 다양한종을 분류하였다. 그 결과, 원목을 이용하는 표고버섯 재배지에서는 Bradysia difformis, B. alpicola가우점종인것으로 나타났고, 톱밥배지로 표고버섯을 재배하는 농가의 경우, B. difformi와 Scatopsidae sp.의종이 다량 동정되었다. 그 외에도 B. trispinifera, B.longimentura, B. chlorocornea, B. protohilaris 및Lycoriella ingenua가 동정되었다.
        4,000원
        4.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lack fungus gnats play an important role as the decomposers in the forest ecosystem. Their larvae live on various organic matters, and the subfamily Sciarinae, in particular, have restricted habitats that feed on dead woods in the deep forest. We compared the biodiversity of family Sciaridae from two different habitats, the clear-cutting area (CA) and the pitch pine forest (PF) by the emergence traps (ET) and the pitfall traps (PT) from May to October, 2010. A total of 12 species were reliably identified to the species among 19 unique taxa belonging to 9 genera 4 subfamilies from 716 collected black fungus gnats. Taxonomic studies show that Corynoptera bicuspidata (Lengersdorf, 1926) (200 individuals, 27.9 % of total) and Cory. sinedens Hippa, Vilkamaa & Heller, 2010 (74 individuals, 10.3 % of total) dominate in the PF and the CA, respectively. Species richness and abundance of CA is lower than those of PF. Any species of subfamily Sciarinae were not collected in the CA.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biodiversity of Sciaridae was influenced by forest management such as clear cutting, which leads to the changes of canopy cover, dead woods and leaf litter layer.
        5.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톱밥배지 표고버섯 재배지에서 황색 끈끈이트랩을 이용한 Lycoriella ingenua의 성충 유인수를 조사한 결과 9월 26일에 화성에서는 트랩 당 127.5∼1,025.7마리, 부여에서는 87.4∼743.6마리, 청원에서는 133.7∼650.4마리로 세 지역에서 9월 하순에 발생최성기를 보였다. L. ingenua는 유충이 자실체를 직접 가해하여 상품성을 떨어뜨리거나, 배지 속에서 유충이 서식하면서 배지의 영양분을 먹고 심하면 배지를 스폰지화하여 표고버섯 자실체의 성장을 저하시키는 피해증상을 나타내었다. L. ingenua의 표고버섯 자실체의 피해율은 화성에서 7.7∼30.3%, 부여에서는 6.7∼25.3%, 청원에서는 5.3∼26.0%로 세 지역에서 9월 하순에 피해가 많았다. 톱밥배지 표고버섯을 재배하는 화성, 부여, 청원에서 천적인 아큐레이퍼응애를 이용하여 L. ingenua의 방제효과를 알아본 결과 ㎡ 당 아큐레이퍼응애의 약충과 성충을 30.3마리 밀도로 7∼14일 간격으로 3회 처리하여 우수한 방제효과를 얻었다. 화성의 표고재배 농가에서는 아큐레이퍼응애 처리구에서 L. ingenua의 성충 유인수가 끈끈이트랩 당 평균 168.2마리, 자실체 피해율은 평균 5.9%로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각각 67.1%, 69.3%가 감소되었다. 부여와 청원의 표고재배 농가에서는 끈끈이트랩 당 성충 유인수가 각각 평균 126.1마리, 132.5마리였고 자실체의 피해율은 5.5%, 5.4%로 성충 유인수는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각각 61.7%, 60.3%, 자실체 피해율은 64.3%, 63.5%가 감소되었다.
        4,000원
        6.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elationship with fungi is one of the habitat adaptation of Sciaridae. While the earlier studies suggested that many fungus gnats are playing as the important vectors of various fungus diseases on plants and mushrooms, evidences have not been well reported. Based on a multi-gene phylogeny, by the Bayesian framework, we propose the correlation of four morphological characters of adults and habitat adaptation from saproxylic to phytophagous in the Sciaridae.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evolution of habitat transition from dead plant litter to the live plant is related to habitat adaptation to the phytophagy and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of fore tibia apex is also related to the functional linkage between these traits. We performed Bayes factor-based tests, referred with evolutionary pathway test (EPT), to decide the correlated traits gained the during evolutionary processes. The EPTs strongly suggest that fore tibia structures appeared first and followed by plant-feeding adaptation. The divergence time estimations of Sciaridae are also largely congruent with the fossil records. The members of subfamily Megalosphyinae have radiated explosively and contemporaneously since the Oligocene, with the expansion of modern grasslands and the increase of herbivores. Consequently, we suggest that the evolutionary benefit of tibial structure may be closely related with the fungal carrying in Sciaridae.
        7.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e family Sciaridae, only 3 species have been recorded in Korea, as the pests on various crops and mushrooms in glasshouse (Bradysia difformis Frey, 1948, Bradysia procera (Winnertz, 1868), Lycoriella ingenua (Dufour, 1839)), even though Sciaridae is one of the species-rich families in the order Diptera. There are plenty of species unknown in Korea which are very hard to identify by morphological characters in the larval, pupal stages and also female adults as well. Therefore, using the sequences of cytochrome oxidase I gene (COI) from adult male, we tested the utilities of DNA barcode to identify the species of sciarid flies.
        8.
        2009.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ive genera and 7 species of sciarid flies were collected in shiitake mushroom farm from 2007 to 2009. Among them, Lycoriella ingenua was dominant as a possible pest of the shiitake mushroom cultivated in plastic bottles. Other six species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9.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착색단고추에 발생하여 피해를 주고 있는 작은뿌리파리의 포장 발생 실태를 간단하고 손쉽게 간이예찰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작은뿌리파리의 유충은 감자, 고구마, 당근, 마늘, 무, 양파 절편중에서 감자 절편에 많은 수가 유인되었으며, 유인수는 각각 9.7마리, 6.0마리, 4.3마리, 0.7마리, 3.8마리, 1.0마리였다. 유충 유인수는 101010mm에서 2.1마리, 202010mm에서 3.4마리, 303010mm에서 3.9마리로 절편의 표면적이 클수록 유인수가 많았다. 성충은 노란색 끈끈이트랩에 50.0마리가 유인되어 흰색에서 18.0마리, 파란색에서 3.7마리보다 유인수가 많았다. 끈끈이트랩 설치 높이별 성충 유인수는 암면배지로부터 50cm이하에서 50.0마리,50-100cm에서 4.3마리, 100cm이상에서 2.0마리가 유인되어 50cm이하에 설치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4,000원
        10.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ungus gnats, Bradysia spp.의 기주를 조사한 결과 오이, 멜론, 수박, 애호박, 토마토, 고추, 파프리카, 백합, 카네이션, 장미, 거베라, 국화, 호접란, 글라디오러스, 생강, 천궁, 작두콩, 신선초, 등굴레, 소나무, 해송 등 21종이 조사되었고 이들 유충은 작물의 지제부나 뿌리근권을 가해하여 뿌리절단, 줄기내 침입 등으로 생육저해, 시들음 증상, 식물체 고사의 원인이 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