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raditional cultural customs, the phenomenon of homophony is a psychological association that seeks good luck and avoids disaster; in daily usage, the phenomenon of homophony is an interesting and creative psychological association. The author is based on his curiosity and preference for homophony, plus his knowledge of Chinese idioms. Due to the profound psychological thinking process, I chose to use Chinese Xiehouyu as corpus to analyze the homophony and explore the creation and interpretation process of homophonic Xiehouyu. Xiehouyu is a unique language style that is widely loved by the public. It is playful and humorous. If used skillfully in verbal conversations or article writing, listeners or readers can seek depth in implicitness. The understanding of the words will lead to endless fun and make people laugh, especially the homophonic idioms. Coupled with the transformation of homophonic words, people can’t help but admire the wonderful use of language and the variety of vocabulary. Therefore, in the use of Chinese idioms, the homophone phenomenon is a psychological association full of interest and humor. “Xiehouyu” is a unique language vocabulary that is widely loved by the public. Especially if the “homophony” is used to create Xiehouyu, it can add a lot of fun and humor. Xiehouyu is a linguistic expression created by the general public in different time and space backgrounds. Therefore, there are many dialect languages. This article takes the homophonic Xiehouyu created by the “Guoyu (Mandarin)” phonetic system as the research object. From the creator Three aspects, language itself and receiver, are used to explore the Chinese homophonic idioms more comprehensively. Teaching should focus on practicality and allow students to expand their language skills and use of vocabulary, rather than just teaching materials in textbooks. Therefore, these homophonic phenomena in life should be shared with students and lead children to appreciate the creativity of language. , experience the fun and mystery, and over time, they may also be able to have amazing language creativity.
본 논문에서는 먼저 언어의 형태와 구조의 관점에서 중국어 해음을 문장 내 코드 전환이 실현된 것으로서 보고 교체언어의 실현 양상에 따라 교체형과 변이형으로 나누어 그 유형을 살펴보았다. 나아가 인지언어학의 개념적 혼성 이론을 해석의 근거로 삼아 앞선 유형 분류에서 소개한 해음의 예 가운데 ‘杯具-悲剧’, ‘海龟-海归’, ‘BC-白痴’를 중심으로 해음의 생성과 이해의 인지과정을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해음 현상은 ‘해음 감지→발음의 유사성을 매개로한 연상 작용→본래 글자 추출→입력공간 구축→공간횡단 사상을 통한 입력공간 연결→투사를 통한 혼성공간 형성→개념적 혼성과정을 통한 발현구조 창조→해음의 생성과 이해’의 인지 과정을 거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類義語이자 발음이 같은 相・狀・象・像이 현대 한국어 어휘의 형태소로 쓰일 때, 이들 한자간의 의미 자질을 분별하여 어휘 의미의 분별성을 높이고자 하는 데 중심 목적이 있다.
現象・現像・現狀에서의 象・像・狀은 모두 ‘현상’으로 발음되는 어휘들에서 ‘형상’이라는 의미로 활용되고 있는가 하면,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표제어 形相・形狀・形象(/形像)의 경우는 발음이 모두 ‘형상’이며 의미도 모두 ‘형상’이나 ‘모양・상태’이다. 뿐만 아니라 ‘모양’・‘형상’을 뜻하는 다른 어휘들에 사용된 ‘면상03(面相/面像)’・‘사상10(事狀/事相)’・‘사상20(寫象/寫像)’・‘심상04(心象/心像)’・‘형상04(形象/形像)’・‘상모01(相貌/狀貌)’ 등은 하나의 표제어에 두 개의 한자 표기가 존재하거나, ‘세계-상(世界像)’・‘인간-상(人間像)’・‘여성-상(女性像)’ 등은 ‘像’을 사용하고 ‘사회-상(社會相)’・‘시대-상(時代相)’ 등은 ‘相’을 표기하는 차이가 존재한다. 이 부분들은 한국 한자어에 존재하는 유의관계 한자 사용의 복잡한 양상을 보여주는 동시에 이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이 요망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는 相・象・像・狀이 다른 어휘와 결합되어 ‘모습’・‘형태’・‘상태’를 나타내는 한국 한자어 항목을 조사하고 이 한자어들이 과연 의미 자질상의 변별력을 지니는지, 지닌다면 어떻게 그 차이를 효과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漢字 類義語간의 의미・용법에 대해서는 기존 고대 중국어의 어휘론 연구에서 오랜 연구 성과가 축적된 바 있으며, 현대 중국어에서도 기존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유의어 연구를 보다 심화시켜나가고 있는 상황이기에, 본 연구의 고찰 과정에서 참고하였으며 관련 어휘의 일본측 사전적 어휘도 부분적으로 참고하였다. 본고의 주요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相・狀・象・像의 의미 분별을 바탕으로 ‘實狀・實相・實像’・‘心狀・心相・心象/心像’・‘險狀・險相・險像’・‘現象・現像・現狀’・‘形相・形狀・形象(/形像)’의 의미를 변별하였다.
둘째, 표제어 한자 중복표기와 관련하여, 『표준국어』의 ‘면상03(面相/面像)’・‘사상10(事狀/事相)’・‘사상20(寫象/寫像)’・‘심상04(心象/心像)’・‘형상04(形象/形像)’・‘상모01(相貌/狀貌)’ 등은 ‘面相’・‘事狀’・‘心象’・‘形象’으로 통일하는 방안을 제안하였으며 ‘寫象’과 ‘寫像’으로 항목을 구분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相・狀・像이 접사적 용법으로 쓰인 것과 관련하여서는 말뭉치 자료에 의거해 ‘世界像’・‘人間像’・‘女性像/男性像’의 의미항을 가치긍정적 서술에서 가치중립적 서술로 조정하고, ‘社會相’・‘時代相’의 ‘相’과 의미자질을 분별하고자 하였으며 『연세한국어』에서 든 용례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본 연구가 한국어 어휘의 형태소로 쓰인 同音類義語 相・狀・象・像의 분별작업을 통해 한국 한자어 어휘에 사용된 同音類義語 형태소의 이해도와 변별성을 제고하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