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2.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Entomopathogenic fungi are facultative microorganisms, dwelling in soil or infecting host insects, and some of the genera have been used as biological control agents worldwide. Collection of fungal isolates should be a platform for the development of highly effective resources, thus in this work we constructed a fungal library using a mealworm (Tenebrio molitor) pathogenicity-based fungal collection method and further characterized some isolates with high virulence. A phylogenetic three was generated, and of the isolates 17 isolates’ biological features were characterized, such as morphology, spectrum of virulence, cultural characteristics, thermo-stability of fungi, production of 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such as enzymes. This work reports an attractive entomopathogenic fungal library including the information of effective isolates in pest management.
        3.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에서 분리된 곤충병원성선충들의 지역농림해충에 대한 병원성은 선충의 종류와 대상해충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한림산 Steinemema sp.와 함양산 Heterorhabditis sp.를 배추좀나방유충 한마리당 3, 6, 12, 24마리 처리한 결과, 여과지상에서 각각 51.8%, 77.8%, 96.3%, 100%와 50.0%, 74.1%, 96.3%, 98.1%의 치사율을 얻었고, 케일잎에서는 44.4%, 63.0%, 76.1%, 94.5%와 79.7%, 81.6%, 94.4%, 100%의 치사율을 얻었다. 구당 (13,27)300,000마리 농도로 배추밭에 처리한 결과 14일후 한림산 Stemermema sp. 는 72.0%, 함양산 Heterorhabditis sp. 는 84.1%의 방제기를 보였다. 이화명나방유충은 높은 농도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50~200마리/ml의 낮은 농도에서는 함양산 Heterorhabditis sp.(47.3~100%)가 한림산 Stelnemema sp.(34.3~83.3%) 보다 효과적이었다. 밤바구미와 복숭아명나방유충에 대하여 유충 한 마리당 10, 20 마리의 산칭산 Stemernema sp. 와 함양산 Heterorhabditis sp. 를 처리하여서는 각각 50.0%와 80.0%와 90.0%, 70.0%와 90.0%, 90.0%와 100%의 치사율을 얻었다. 유충 한 마리당 10, 20 마리의 선충을 처리하였을때 노랑털알락나방유충은 포천산 Steinernema sp.에 대하여 매우 감수적이었으나(96.7%~100%) 동래산 Steinernema sp.에서는 낮은 치사율을 보였다.(63.3%~76.7%)
        4,000원
        4.
        199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멸구에 강한 병원성이 있는 Serratia marcescens, biotype A2a를 분리, 동정하였다. 벼 유묘에 분무한 후 성충-계절풍을 따라 비래하는 형태-을 공시하고 병원성을 조사하여 3~5일 만에 강한 살충력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세균의 곤충병원성 관련 형질 탐색을 하기 위하여 Tn5로써 돌연변이를 시도한 후, Chitinase, Protease, DNase indicator media에서 돌연변이 계통을 분리하였다. 이들을 공시충에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Pro-Strain중에서 병원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공시충을 전자현미경(SEM, TEM)으로 관찰하여, abdomen의 전장부위와 표피사이에 다수의 세균이 증식하였음을 발견하였다. 곤충복부표피조직 중 cuticle층은 intact한 상태였다. 따라서, 이에 관련된 유전자를 분리하기 위해 genomic library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