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intonations on the syntactic interpretation of the interrogatives with a wh-expression in the Daegu-North Gyeongsang Korean and the Seoul metropolitan Korean. To this end, it analyzes the syntactic and prosodic structures of the interrogatives with an embedded wh-clause or a yes/no-question with an indefinite pronoun. Two types of perception tests, one with unmodified intonations and the other with transplanted intonations, were carried out to analyze the respondents’ interpretations of the three types of the interrogatives. The results of the test with unmodified intonations were as follows. First, more than 90% of the respondents chose appropriate answers to the three types of the wh-interrogatives with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the respondents’ reaction times demonstrated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at the processing load of wh-questions with matrix scope was heavier than that of wh questions with narrow scope or yes-no questions with an indefinite pronoun. Third, embedding verbs of the question-selecting predicate class such as gunggeumhada ‘wonder’ led to longer reaction time than those of the proposition-selecting predicate class such as saenggakada ‘think’.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perception test with transplanted prosodies revealed two decisive factors. First, the interrogative-endings -ka/na were more influential factors in the respondents’ syntactic interpretations of wh-questions than the other endings such as –ko/no or the prosodies were. Second, wh-questions with such embedding verbs as saenggakada ‘think’ were interpreted in close accordance with the transplanted prosodic structures, but not so much so in the case of wh-questions with such embedding verbs as gunggeumhada ‘wonder’ irrespective of the prosody transplants.
본 연구는 한국어 억양 능력 향상에 효과를 보이는 ‘섀도잉 (Shadowing) 학습법’을 기반으로 한 한국어 억양 교육용 애플리케이션 개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모바일러닝과 섀도잉 학습법의 개념을 정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ADDIE 교수 설계 모형 을 활용하여 한국어 억양 교육용 애플리케이션 개발 방안을 설계하였다. 구체적으로 학습자의 요구 분석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하였고 학습 대상 및 목표를 설정한 후 섀도잉을 활용한 억 양 교육의 내용 구성 방안을 정리하였다. 더불어 애플리케이션 개발의 구현 모습의 예를 보여줌으로써 한국어 억양 교육용 애플리케이션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최근 한국 사회에 거주하는 다문화 가정의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들은 한국에 정착하는 과정에서 언어적 문제, 그중에서 특히 한국어 발음․억양 문제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신뢰할 만한 교육 과정 마련과 더불어 이들을 위한 체계적인 행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들을 위한 교육 과정이 운영되는 사례가 많지 않다. 이는 실제 교육 과정을 설계하고 운영하려고 할 때 신뢰하여 참고할 만한 모델이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선행 연구를 정리하여 다문화 구성원을 위한 한국어 발음과 억양 교육의 범위와 내용을 밝히고, 부산 B대학의 보이스트레이닝 아카데미 프로그램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추후 교육 현장에서 다문화 구성원을 위한 한국어 발음․억양 교육과정 설계, 운영 시 참고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