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3.
        202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자기 조절적 요약(self-regulatory summarizing) 교육과 연습이 초급 수준의 L2 성인 학습 자들의 동기신념(motivation beliefs) 및 쓰기 수행 (writing performance)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연구하였다. 자기 조절 학습 (self-regulation learning), 학습 동기(motivation), 및 쓰기 수행의 상호 연관성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먼저, 학습자들의 동기신념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사전과 사후 MSLQ 설문지의 응답 결과를 분석한 결과, 참가한 학습자들의 동기신념이 전체적으로 보다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음을 보여주고 있었다. 특히 내적성취목표성향 (intrinsic goal orientation)과 과업가치(Task value)에 대한 신념이 가장 의미 있게 변화하였고, 뒤를 이어, 학습조절신념(control of learning belief)과 학습과 수행에 대한 자기 효능감(self-efficacy for learning and performance)이 보다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으며, 외적성취목표성향(extrinsic goal orientation)이 가장 작은 변화를 보인 한편, 시험불안(test anxiety)의 정도가 의미 있게 감소하였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자기 조절적 요약 연습 이후 쓰기 수행에 있어서는, 문장, T-unit, 및 절의 평균 길이가 가장 의미 있게 변화하였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문장들은 보다 많은 중문 및 복문을 포함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초급 수준의 L2 학습자들이 교수자의 안내, 도움 및 피드백과 함께 자기조절학습을 촉진하는 네 가지 단계인 목표설정(goal setting), 자기 모니터링 (self-monitoring), 일반화(generalization), 그리고 자기강화(self-reinforcement)를 인지하고 기억함과 동시에 체계적이고 명시적인 요약 연습을 함으로써 얻어진 결과로 보여 진다. 이는 자기조절학습 (self-regulated learning)은 학습 동기요소를 독려하여 긍정적 자기 효능감 및 내적 목표성향을 높여 주게 되어 결국 학습자의 인지적 활동 및 수행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게 됨을 증명하는 결과로 보여 진다.
        4.
        201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two factors. The first things has investigated the way the Korean L2 learners apply the pattern of ‘adverb+ verb collocation’ in English to their ‘opinion paragraph writing’ on the topic sentences, with the focus on two factors: meta-discourse perspective on the genre of paragraphs and the writers’ strategies for selecting particular collocation types. Second element with the findings of the first step has suggested the effective writing methods for the Korean L2 learners. From 15th October to 2nd November, 2018, the researchers had examined the L2 learners’ topic sentences shown as in the their first drafts, to identify the attitude (I agree), engagement (consider) markers or self-mentions (I, We) and boosters (completely, fully, strongly, etc.) in meta-discourse resources which were founded on the types of essays. We had proposed that the learners would produce proper English ‘adverb+verb’ collocations based on the semantic features for verbs and adverbs in English and Korean with the feedback comments. Secondly, the researchers had reanalyzed the learners’ final products which have been focused on the learners’ self-correction for the deviant English-Korean collocations or non-collocation in English. The researchers had found out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which had suggested for learning the suitable English collocation usage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major thing has shown that the learners would depend on the meta-discourse resources in the process of accepting the academic writing styles or genre. Another implication of the findings is that the new insights into the development of L2 ‘adverb+verb’ collocational competence should be based on the nature of teaching methods that stress input-based or refrain from explicit vocabulary teac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