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ree species, Luciola unmunsana and L. papariensis, endemic to Korea and L. tsushimana, endemic to Japan, have been taxonomically controversial whether they are independent or a single species for a long time. Therefore, we examined genetic diversity and evolutionary history of these species as well as including the related congeners using COI gene sequences (DNA barcoding region). Interestingly, we found seven paraphyletic groups from three species: two paraphyletic groups from L. papariensis, three paraphyletic groups from L. unmunsana and two paraphyletic groups from L. tsushimana. Among them, the group III of L. unmunsana collected from Jeolla-do province has never been recognized in the previous studies. A molecular clock analysis indicated that the origin of the major lineages of L. unmunsana, L. papariensis and L. tsushimana occurred between ~5.62 to 3.16 Ma. The origin of the major lineages of the group II and III of L. unmunsana, the group II of L. papariensis and the three groups of L. tsushimana occurred in 3.49 Ma (4.45–2.51 Ma, 95% HPD),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final disconnection of Japan from Korean Peninsula. The subsequent divergences of these paraphyletic groups clearly showed they have undergone allopatric speciation associated with geologic events in Korea and the sea level changes between Korea and Japan.
        2.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studied the inhabited environment of aquatic lampylid species, Luciola lateralis, in Andong-si (rice paddy type), Bonghwa-gun (rice paddy type) and Cheongsong-gun (stream type) from 2010 to 2012. Totally, 5 species (Gabbia misella, Semisulcospira libertina, Radix auricularia, Physa acuta, and Hippeutis cantori) in rice paddy habitats, and 4 species (S. libertina, S. forticosta, R. auricularia, and H. cantori) in stream habitats can be edible by larval L. lateralis. We selected 2 species, S. libertina and P. acuta which can be the main food resources for larval L. lateralis in paddy and stream habitats, and individually reared the L. lateralis larvae with each other edible species. After the individual rearing, we analyzed the head sizes of each larval exuvia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1st instar larval size (P>0.05) between the kind of provided feed (S. libertina and P. acuta). In case of 2nd instar larvae, the head size was bigger when P. acuta was provided as the feed (P<0.05). In case of 3rd and 4th instar larvae, the head size was bigger when S. libertina was provided as the feed (P<0.05). In the analysis of size of L. larteralis adult according to inhabited environment, the adult size was found to be bigger at stream type environment than rice paddy type (P<0.01).
        3.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실험실 내에서 계절의 변화에 따른 애반딧불이(Luciola lateralis)의 계절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산란 수는 겨울 162.0±8.67개, 봄 226.9±15.84개, 여름 166.6±9.3개였다. 산란 기간은 겨울 6.9±0.59일, 봄 16.1±1.10일, 여름 8.2±0.61일 이였다. 산란 간격은 겨울 2.5±0.22일, 봄 3.9±0.25일, 여름 2.3±0.14일 이였고, 산란 횟수는 겨울 3.1±0.17회, 봄 4.1±0.29회, 여름 3.9±0.23회 이였으며, 일회 산란 수 겨울 52.2±4.56개, 봄 55.9±4.38개, 여름 42.2±3.76개였다. 난기간은 겨울 25.3±0.13일, 봄 29.6±0.18일, 여름 26.8±0.09일 이였으며 부화하는데 걸리는 기간은 겨울 3.0±0.28일, 봄 6.4±0.50일, 여름 4.6±0.32일 이였다. 알의 부화율은 겨울 99.9%, 봄 99%, 여름 100%이였다. 계절별 성충 수명은 겨울 암컷 15.8±0.15일, 수컷 20.8±0.21일 이였으며, 봄 암컷 18.0±0.31, 수컷 21.4±0.37일 이였고, 여름 암컷 16.7±0.43일, 수컷 16.3±0.74일 이였다. 또한 성충의 평균 수명을 보면 겨울 17.9±0.14일, 봄 19.7±0.25일, 여름 16.5±0.43일 이였다.
        4,000원
        4.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limbing up event of Luciola lateralis larvae and water temperature. In the laboratory condition, the larvae did not come out of water at constant temperature condition of 19.3 ± 0.3℃ and tried to climb up at varying temperature condition of 20~22℃ (mean temperature 20.9 ± 0.9℃) without success. However, they climbed up at constant temperature condition of 20.8 ± 0.6℃. The frequency of the larval climbing up was highest as 63.6% at 20~21℃. The most larvae climbed up at approximately 21℃ of average daily water temperature, In the natural condition, the larvae climbed up at 19.8~21.7℃ and the frequency of the larval climbing up was high as 80.4% at 20~21℃. The larval climbing up was also little observed at 19~20℃ at which no larval climbing up was found in the laboratory experiment. No larvae attempted to climb up when water temperature was below 19℃ and above 22℃. It took 18 days from climbing up of larvae to appearance of adults. In its habitat, the range of water temperature required for larvae to climb up is assumed to be 19.6~21.8℃ and the most suitable water temperature may be 20.4 ± 2.3℃. Therefore, the range of water temperature required for larvae to climb up is assumed to be 19.8~21.7℃, and the suitable water temperature range for larvae may be 20~21℃, and the most suitable temperature is thought to be 21℃.
        4,000원
        5.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xicity of 10 registered insecticides and 6 fertilizers were tested against 3<SUP>rd</SUP> larva and adults of Korean firefly, Luciola lateralis Motschulsky (Coleoptera: Lampyridae). All experiments were tested at the recommended concentration of each inescticides by producer. MEP, PAP, Acephate, Fenthion, and Diazinon, which were organophates, a mixtures combined with Burofezin fenobucarb, Cartap ・・ buprofezin, and Thiamethoxam (Neonicotinoids), Fipronil (Phenylpyrazoles) showed more 80.0% mortality on larva and adults of L. lateralis. However, tebufenozide (I.G.R) showed low mortality of 33.3%. LC₅₀ (ppm) value of Assit, Cartapㆍbuprofezin, Fenthion and PAP were showed 1.03 ppm, 1.90 ppm, 10.26 ppm, 0.98 ppm, respectively, against 3<SUP>rd</SUP> larva of L. lateralis. Effects against eggs showed very high toxicity. Otherwise, tebufenozide (I.G.R) was showed hatchability of 100%. Toxicity of Urea fertilizer, Ammonium sulfate, Potassium chloride, Fused phosphate, Complex fertilizer and Silicate fertilizer were showed the mortality with 27.3%, 56.7%, 73.3%, 0.0%, 0.0%, 0.0%, respectively, when exposed 72 hrs after treatment.
        4,000원
        6.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항온조건이 애반및불이(Luciolalateralig)의 발육과 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난, 유충, 용의 발육기간은 15-3의 범위에서는 온도가 높을수록 참았으며, 1와 35에서는 발육이 되지 많았다. 부화율은 23 93.3%, 91.8%로 23, 에서 부화율이 가장 높았으며, 유충기간은 15에서 341.5 23.2일, 2에서 265.5 17.5일, 에서 250.911.7일이었다. 용기간은 15에서 94.711.5일, 2에서 4179.1일, 에서 18.57.4일이었고, 우화을은 각각 23.3, 89.3, 80.7%이었다. 성충 암컷의 수명은 15에서 18.0일, 2에서 20.4일, 에서 10.7일, 3에서 5.8일이었다. 평균산란수는 다른 온도조건보다 2에서 가장 많았다. 각 태별발육영점온도는 난이 10.6, 유충 14. 그리고 용은 13.1이었고, 유효적산온도는 각각 214.8, 1,564.8, 229.2일도이었다. 세대당 순증식을은(R ) 23에서 177.19로써 가장 높았고, 내적자연증가율은(r )27에서 0.019로 가장 높았다. 이 결과로써 애반딧불이의 발육과 생식에 적합한 온도는 2에서 이었다.
        4,000원
        8.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파파리반딧불이 (Hotaria papcrinsis), 애반딧불이 (Luciola lateralis) 및 늦반딧 불이 (Pyrocoelia fufa)등 국내 주요 반딧불이 종의 유전적 분화 및 계통분류학적 관련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mtDNA의 COI유전자 및 16S rRNA유전자 일부의 염기서열 (각 403bp 및 490bp~504bp)을 분석하였으며 아울러 GenBank에 등록된 일본 반딧불이 29종(반딧불이과 27종, 홍반딧과 1종 및 Rhagophthalmus과 1종)의 16S rRNA유전자의 동일부위 염기서열을 사용하였다. 국내 세 종간의 COI및 16S rRNA유전자의 염기서열 그리고 COI유전자의 아미노산 분화정도를 비교한 결과, 반딧불이아과(Lampyrinae)의 늦반딧불이는 애반딧불이아과(Luciolinae)에 공통적으로 속해있는 애반딧불이 및 파파리반딧불이와 다소 큰 유전적 차이를 나타냄으로 기존의 분류학적 위치를 확인하였다. 16S rRNA유전자의 염기서열을 이용, PAUP과 PHYLIP에 의한 계통분류학적 분석 결과, 우리 나라 애반딧불이는 일본 애반딧불이와 강력한 단일그룹을 형성하였으나 이들간 상당한 유전적 차이 (2.9%의 16S rRNA유전자 염기분화율)를 보였다. 국내 두 지역의 파파리반딧불이는 일본 대마도 고유종인 H. tsushimana와 같은 계통그룹을 형성하였으므로 Hotaria란 속명의 사용이 타당해 보이나 파파리반딧불이는 지역 개체간 자매분류군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이에 대한 추가 연구가 요망되는 실정이다. 마지막으로, 국내 늦반딧불이 지역 개체가 일본 늦반딧불이와 강력한 단일 계통그룹을 형성한 점으로 미루어 Pyrocoelia란 속명의 사용은 타당해 보이나 다른 모든 늦반딧불이로부터 큰 유전적 거리론 보인 제주도 개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요망되는 실정이다. 결론적으로, 국내 반딧불이 종들은 일본에서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반딧불이종 또는 속과 아주 강력한 계통그룹을 형성하였으므로 기존의 계통관련 연구를 지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4,900원
        9.
        200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늦반딧불이(Pyrocoelia rufa)이 미토콘드리아 DNA중 COI 유전자 일부(403 bp)의 염기서열을 결정, 집단내 유전적 다양도, 지역적 변이, 계통유전적 관련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남해, 부산, 무주, 용인 등 우리나라 4개 지역으로부터 채집된 총 26개체로부터 7개의 mtDNA haplotype을 얻었으며 이들의 변이는 0.2~1.2%이었다. 도심인 부산에서 채집한 늦반딧불이는 다른 산림 및 농업의 채집지역과 달리 하나의 haplotype으로 고정되어 있어 도시화에 따른 집단의 병목현상과 서식처 파편화가 심각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우리나라 최대의 반딧불이 서식처이자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무주로부터 4개의 haplotype을 얻었으며 이들의 최대염기 치환율은 1.0%로 가장 높은 집단내 유전적 다양도를 나타내었다. 근해의 섬인 남해의 늦반딧불이는 상대적으로 낮은 haplotype 다양도(H=0.25)와 계통유전적으로 이질적인 haplotype(PR7)의 존재로 요약되었는데 이는 비교적 가까운 과거의 한반도 생물지리 역사 및 유전자 이동에 의해 나타난 현상으로 설명하였다. 계층적 유전분석 결과 무주-용인과 부산-남해 그룹의 형성은 역사적으로 두 그룹사이에 유전자 이동에 반한 장벽의 존재 가능성을 제시한다고 설명하였다.
        4,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