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presents a potential environmental design, rather than the application of the environmental design technique model, to enhance the biodiversity of desolate space. Utilizing the main theories of landscape ecology in relation to vegetation and habitat restoration models, can allow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the creation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models to develop existing areas with specific topographical conditions, and allow for the utilization of the ecological base as a terrain recovery plan derived from the application of environmentally friendly design. We believe tha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ill allow for the future creation of urban public parks and restoration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ally friendly design by using applied modeling techniques. Finally, we believe the suggestions outlined here provide a pilot case that delineates the value of the shared space as well appropriately address climate change.
        4,500원
        2.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아파트 필로티 공간 활용과 친보행환경 조성을 위한 내용으로 설계안을 구성하였다. 계획대상지 면적은 약 11,700㎡이다. 이웃과의 소통이 줄어드는 최근 주거문화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아파트라는 단순한 주거시설을 넘어 예술적 문화공간을추구하는 이념 아래 예술과 자연, 그리고 이웃이라는 삼각형 구조를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소통이 있는 주거 공간 형태를계획에 반영하였다. 설계의 주안점으로 첫째, 기존의 단절된 아파트로서의 이미지를 개선하고 소통의 장을 열어주어 친보행공간을제공하도록 계획하였다. 둘째, 보행로를 램프로 설계하여 노약자가 존중받을 수 있는 주거 문화를 창출하도록 계획하였다.셋째, 자원 순환 프로그램과 다양한 참여 프로그램을 통해 문화 예술 활동이 가능한 유연한 공간을 창출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아파트 조경설계 개념을 벗어나 예술과 이웃, 그리고 더 나아가 자연과의 소통을 이끌어냄으로서 새롭고진보적인 아파트 공간 조성 계획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4.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화강토 콘크리트에 PP 섬유 혼입이 일정량이상 증가하면 PP 섬유가 골재보다 강도가 약하여 압축강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PP 섬유의 존재로 콘크리트의 취성 파괴 방지에 어느 정도 기여했을 것이라 판단된다. 휨 강도에서는 PP 섬유를 혼입하지 않은 경우와 섬유를 혼입한 경우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다. 또한 콘크리트 휨 균열 발생 후 변위가 계속 증가해도 공시체가 바로 파괴되지 않고 어느 정도의 휨 하중에 저항하는 것은 콘트리트 파괴 후 파괴면을 따라 존재한 섬유가 휨 하중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저항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인성지수는 PP 섬유가 혼입되지 않은 경우 균열 발생과 동시에 시험편이 파괴 되었고, 와이어 메쉬 혼입의 경우는 인장측 균열발생과 동시에 파괴가 발생되나 와이어 메쉬에 의해 휨 파괴에 대한 2차 저항이 발생되다가 와이어 메쉬 항복파괴와 더불어 공시체도 파괴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PP 섬유 혼입량이 증가 할수록 인성지수가 강해지고 하중 저항능력도 증가되는 것으로 판단되며 균열 발생 후에도 계속적으로 휨 하중에 저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강토는 잔골재인 모래보다 작업현장 또는 인근지역에서 채취가 가능하고, PP 섬유는 와이어 메쉬보다 가벼워 자재를 차량으로 이동시 이산화탄소의 발생이 적게 배출되어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 또한 PP 섬유는 와이어 메쉬와는 달리 작업난이도와 관계없이 콘크리트의 교반과정에서 혼입하여 사용하므로 편리하고 안전하며, 공기가 단축되어 환경복원의 기간이 빨라질 것이라 판단된다. PP 섬유는 와이어 메쉬보다 저렴하며 설치비가 필요 없어 상당히 경제적이다. 이러한 결과 들을 분석해 볼 때 일정량의 PP 섬유를 와이어 메쉬 대용으로 화강토 콘크리트에 혼입하여 조경공간의 포장용으로 사용하면 균열저항 뿐만 아니라 파괴 예방용으로 많은 효과가 있어 환경파괴를 최소화 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천연 골재의 자원고갈로 인한 품질 저하의 대체용으로 잔골재인 모래 대신 화강토를 사용하여도 이용자들의 보행이나 유지관리용 차량이 통행하는데 압축강도나 인장강도가 충분하고, 이용객이 보행시 심리적으로 편안 할 것으로 판단된다. 앞으로 조경포장에 있어서는 친환경적 포장재료의 사용이 확대 될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5.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alidate the planting status of landscape plants and element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espite of long historical background of school, this type of research was seldomly conducted before as innovation strategy of university.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the opportunity of design criteria of school to offer the new concept of eco-friendly design and analyzing plants species or compatibility of plants with surroundings. The natural environment was analyzed and light environment was specially investigated to compare the ability of plants. The current situation and compatibility of plants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site and species. So, the result of the study should be implemented as valuable resources for improving the landscape spaces and plants of school in the future. The landscape design includes the followings: a survey of the present status, a site analysis, s schematic design, and the needs of students for design development. To create the landscape spaces, we proposed school spaces by the concept of eco- friendly of nature image. The university space was designed to have educational spaces like safety, green amenity and rest areas for the students which are designed to be harmonious with other surroundings. Based on that, some of the university space was specially proposed with CAD imagination work and all the results were accomodated under the concept of new strategy of university innovation for the future. Through the university space designed by this study, the university students ,faculties and other dwellers around university will have more opportunity of contact with nature and increase the value of university eff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