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role of ERK in the onset of mechanical and cold allodynia in a rat model of compression of the trigeminal ganglion by examining changes in the air-puff thresholds and number of scratches following the intracisternal injection of PD98059, a MEK inhibitor. Male Sprague Dawley rats weighing between 250 and 260 g were used. Under anesthesia, the rats were mounted onto a stereotaxic frame and received 4% agar (10μℓ) solution to compress the trigeminal ganglion. In the control group, the animals were given a sham operation without the application of agar. Changes in behavior were examined at 3 days before and at 3, 7, 10, 14, 17, 21, 24, 30, and 40 days after surgery. Compression of the trigeminal ganglion significantly decreased the air-puff thresholds. Mechanical allodynia was established within 3 days and persisted over postoperative day 24. To evaluate cold allodynia, nociceptive scratching behavior was monitored after acetone application on the vibrissa pad of the rats. Compression of the trigeminal ganglion was found to produce significant cold allodynia, which persisted for more than 40 days after surgery. On postoperative day 14, the intracisternal administration of 1 μg or 10 μg of PD98059 in the rat model significantly decreased the air-puff thresholds on both the ipsilateral and contralateral side. The intracisternal administration of 10 μg of PD98059 also significantly alleviated the cold allodynia, compared with the vehicle-treated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central ERK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mechanical and cold allodynia in rats with compression of the trigeminal ganglion and that a targeted blockade of this pathway is a potential future treatment strategy for trigeminal neuralgia-like nociception.
In this case study, results of the explosion accident at MEK-PO factory were analysed by using the consequence analysis of quantitative hazard assessment and the explosion energy, the burst pressure of vessel, and overpressures at the explosion center and at 300m distance from the explosion center were estimated, respectively. As a result, we found that a cause of accident was the runaway reaction of product(MEK-PO) because of the molecular expansion in vessel and that the possibility of the runaway reaction was classified the mechanical failure(the obstacle of refrigerator or the shutdown valve), design error, and operating error by lack of thermochemical knowledge. Also, the evasive action to prevent accident was suggested.
비대칭 세포분열은 분열장치, 세포 표층의 구조, 세포골격의 역동성, 세포골격 관련 단백질 등이 종합적으로 관련된 현상이다. 비대칭 세포분열은 세포질 결정인자 및 세포 내 특정 인자의 분포에 영향을 미쳐 발생을 조절하며, 크기가 서로 다른 딸세포의 형성을 통하여 형태형성을 뒷받침한다. 본 연구는 척삭동물의 기본형으로 알려진 멍게 배에서 미토콘드리아의 비대칭 분포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신호전달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척삭동물에 속하는 멍게는 모자이크 발생을 하는 대표적 동물로 알려져 있으며 초기 발생에서 개체에 따라 난할 패턴이나 할구의 발생운명에 차이를 보이지 않는 특징을 갖는다. 멍게 64세포기 배아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할구는 하나의 조직을 형성하도록 발생운명이 결정된다. 멍게 유생의 주요한 중배엽 조직은 척삭, 근육 및 간충직이다. 멍게의 미토콘드리아를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단일클론성 항체를 이용하여 발생 과정에서 미토콘드리아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A6.2 세포가 분열하여 형성된 A7.3 척삭 전구세포는 언제나 A7.4 신경삭 전구세포에 비하여 세포 크기가 크며, 미토콘드리아가 적게 분포하였다. 또한, B6.2 세포로부터 형성되는 B7.3 간충직 전구세포도 B7.4 근육전구세포에 비하여 적은 미토콘드리아가 분포하였다. 즉, 멍게 초기 배에서 미토콘드리아는 신경삭과 척삭 및 근육과 간충직 전구세포 사이에서 비대칭적인 분포를 보였다. 이러한 미토콘드리아의 비대칭 분포가 어떻게 조절되는지 연구하기 위하여 MEK 신호전달을 억제한 배아에서 미토콘드리아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척삭과 간충직 세포는 내배엽 세포로부터 방출되는 FGF/Ras/MEK 신호전달에 의해 32세포기부터 64세포기 사이에 유도된다. MEK 신호전달이 억제된 배아에서 간충직과 근육 전구세포 사이의 비대칭적인 미토콘드리아의 분포는 정상 배아와 유사하였다. 그러나 척삭과 신경삭 전구세포 사이의 비대칭적인 미토콘드리아의 분포는 방해를 받아 대칭적인 분포를 나타내었다. 다른 동물이나 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의 비대칭적인 분포가 어떤 신호에 의하여 조절되는지 현재 명확하지 않다. 특히 발생 과정에서 미토콘드리아의 비대칭적인 수송에 대하여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앞으로 멍게에서 이 과정이 어떠한 신호전달에 의하여 조절되는지 매우 흥미로운 연구주제로 사료된다.
멍게 유생의 뇌포에는 2개의 감각색소세포인 평형기와 안점 이외에 또 다른 감각세포로 추정되는 수압수용체세포가 존재한다. 수압수용체세포 형성에 관해서는 현재까지 거의 알려진 것이 없다. 본 연구에서는 수압수용체세포 형성에서 FGF 신호전달 과정의 관련성을 조사했다. 수정란에 Hr-FGF9/16/20 antisense MO를 미세주입했을 때, 발생한 유생에서 수압수용체세포 특이적 Hpr-1 항원의 발현이 검출되지 않았다. 32세포기부터 FGF 수용체 억제제
Plasma-photocatalytic oxidation process was applied in the decomposition of Triethylamine(TEA) and Methyl ethyl ketone(MEK). Plasma reactor was made entirely of pyrex glass and consists of 24 ㎜ inner diameter, 1,800 ㎜ length and discharge electrode of 0.4 ㎜ stainless steel. And initial concentrations of TEA and MEK for plasma-photocatalytic oxidation are 100 ppm. Odor gas samples were taken by gas-tight syringe from a glass sampling bulb which was located at reactor inlet and outlet, and TEA and MEK were determined by GC-FID.
For plasma process, the decomposition efficiency of TEA and MEK were evaluated by varying different flowrates and decomposition efficiency of TEA and MEK increased considerably with decreasing treatment flowrates.
For photocatalytic oxidation process, also the decomposition efficiency of TEA and MEK increased considerably with decreasing treatment flowrates. The decomposition efficiency of MEK was 57.8%, 34.2%, 18.8% respectively and the decomposition efficiency of TEA was reached all 100%. This result is higher than that of plasma process only.
From this study, the results indicate that plasma-photocatalytic oxidation process is ideal for treatment of TEA and ME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