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81mm mortar barrel is a precision component requiring exact internal diameter measurements, which poses challenges in both machining and inspection using conventional equipment. This study addresses issues related to measurement variability and reprocessing due to inconsistencies in bore measurements along different barrel positions. Using Gage R&R analysis, we identified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measurement system, particularly its inability to provide consistent and detailed readings along the full barrel length. To resolve these challenges, a revised measuring system was developed and compared with the existing system, showing enhanced accuracy and reduced errors. The improved system was subsequently applied to the barrel machining process, resulting in quality improvements in the final produ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체육교육현장에서 아동의 욕구를 진단하고 분석하기 위한 기본적 심리욕구 척도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4개의 질문지를 토대로 초등학교 체육수업과 아동의 인지에 적합하도록 통합과 수정, 예비조사의 과정을 거쳐 18문항의 질문지 초안을 완성하였다. 이를 토대로 240명의 초등학생 4, 5, 6학년을 대상으로 문항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거쳐 자율성 4개 문항, 유능성 4개 문항, 관계성 5개 문항 총 3요인 13문항의 문항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3요인 13문항을 토대로 초등학생 4, 5, 6학년 403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구조적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후 상황적 동기척도, 체육수업에서의 사회적 요소의 변인을 나타내는 질문지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유의한 상관을 검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준거관련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성별에 따른 기본적 심리욕구 요인의 잠재평균 차이를 분석한 결과 남학생과 여학생은 체육수업상황에서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의 욕구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LSPIV기법의 효율성과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유속검정용 전동기계를 이용한 검증실험을 통하여 LSPIV기법을 검증하였다. 검증을 실시한 후에 LSPIV기법을 실제하천에 적용하였다 대상하천으로는 경안천의 지류인 능원천과 곤지암천을 선택하였으며, 3차원 유속계 및 기존의 표면유속 측정에 사용해 왔던 전자파 표면유속계의 측정결과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살펴보면 검증실험에 사용된 전동차의 결과값과 비교했을 때 LSPIV기법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questionnaire for the measurement of environmental attitudes and test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46 survey items that measure environmental attitudes were described. The total of 3 surveys were conducted and the total of 510 persons including diverse sample groups were questionnaired. The SAS PC+ package program was used in both the reliability analysis and the validity analysis of surveyed data. Results revealed the very high reliability and the high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The reliability of the finalized questionnaire was increased to the level of Cronbach-α 0.92 after the repeated reliability analyses and revisions of the firstly and secondly designed questionnaires. The validity of our questionnaire was sufficiently affirmed through the use and application of factor analysis and known-groups techniq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