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최근 기업 조직 내 급속도로 유입되고 있으며, 기업 경영 전면에 부각되고 있는 밀레니얼 세대 구성원들의 특성이 반영된 팔로워십 역량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에서 제시된 국내 대기업 밀레니얼 세대 팔로워십 역량 모형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진행하여 타당성이 확보된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연구 절차는 DeVellis의 척도 개발 절차를 적용하여 예비문항 개발 및 검증, 측정도구 검증 단계를 거쳐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3대 영역, 14개의 팔로워십 역량 구성요인의 측정도구로 사용할 예비문항을 개발하여 검증한 결과 59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측정도구 타당성 확보를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요인적재량 기준에 미치지 못한 문항이 삭제되었고, 유사한 개념끼리 통합되어 3대 영역, 10개의 팔로워십 역량 요인, 44개 측정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이후 공인타당성, 측정동일성 검증, 동일방 법편의 검증의 과정을 거쳐 최종 확정된 밀레니얼 세대 팔로워십 역량 측정도구는 개인영역은 학습민첩성, 자기성찰 등 24문항, 관계영역은 공감, 협력 등 13문항, 조직영역은 조직목표추구, 변화감지 등 8문항으로 총 44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 국내 팔로워십 역량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세대의 특성을 반영한 팔로워십 역량 측정도구를 타당화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으며, HRD 현장에 밀레니얼 세대의 팔로워십 역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인적자원을 활용하는데 지원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천적 의의가 있다.
밀레니얼 세대의 규모와 중요성이 조직에서 점점 커짐에 따라 기존 세대와는 차별화된 이들의 특성을 분석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에 한국에서도 이들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밀레니얼 세대의 특성과 관련한 기존 대표 연구들을 리뷰한 결과, 연구마다 서로 다른 밀레니얼 세대의 특성을 강조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밀레니얼 세대의 특성을 체계적으로 구조화하여 이들의 특성을 밝혀내는 것이 매우 중요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조직에서 그 중요성이 증대하고 있는 밀레니얼 세대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여 이들에 대한 다양한 유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히 본 연구는 밀레니얼의 특성과 관련한 국내외 15개 대표연구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사회정체성이론과 사회교환이론에 기반하여, ‘자기중심-조직중심’, ‘안정지향-성장지향’ 두 개의 축을 중심으로 4가지 밀레니얼 세대의 유형 (‘자기중심-강한 성장욕구’, ‘조직 중심-강한 성장욕구’, ‘조직중심-약한 성장욕구’, ‘자기중심-약한 성장욕구’)을 제시함으로써, 밀레니얼 세대의 특성을 쉽게 단순화하여 규정하기 보다는 밀레니얼 세대 안에서도 다양한 특성이 존재함을 밝히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연구의 이론적·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various clues for the establishment of marketing strategies for companies that produce and sell high-involvement products for Millennials who are not the subject of current consumption but who will lead future consump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rive 17 factors of high-involvement product selection attributes through FGI, and its relationship on repurchase intention after make a variable through PCA. A total of 158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and IPA, independent sample t-test,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controlle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showed that overall, external and internal selection factor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repurchase intentions, and in particular, appealing to internal and external selection factors in order to promote repurchase intention. Meanwhile, the Millennials were found to have no gender difference. Therefore, the company producing and selling high-involvement product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a priority effort to secure brand awareness, trust in product producers, store trust, and product self-reputation as components of internal selection factors. It was also concluded that more strategic efforts were needed to focus on and appeal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llennial itself rather than to consider gender differences.
현재 밀레니얼 세대가 주요 소비층으로 부상함에 따라 밀레니얼 세대 소비자를 겨냥한 뉴트로 스타일이 하나의 트렌드로 부각되면서 최근 기존과는 차별화된 새로운 레트로 스타일인 뉴트로가 유행하고 있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밀레니얼 세대 소비자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본 연구의 관점에서 유형화하고 연구 관점을 제안한다. 둘째, 알렉산드로 미켈레가 크리에이티브 디렉터가 영입된 구찌 브랜드 컬렉션의 특성을 분석한다. 셋째, 밀레니얼 세대 소비자의 특성 관점에서 구찌 컬렉션의 특성을 도출 한다. 연구방법은 이론적 연구와 사례고찰 분석을 병행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밀레니얼 세대 소비자의 관점에서 구찌 컬렉션에 나타난 뉴트로 스타일은 유희성, 다양성, 환상성의 특성으로 나타 났다. 구찌 컬렉션에 나타난 유희적인 요소는 낙서적인 그라피티 패턴과 만화 캐릭터 이미지의 차용과 서로 다른 스타일의 옷을 레이어드하는 착장방식으로 어울리지 않는 옷들의 조합을 통해 촌스러움을 유발하는 방식으로 표현되었다. 다양성은 민족적인 에스닉과 특정 시대를 연상하게 하는 요소로 표현되었다. 또한 힙합 스타일과 남녀의 성별의 구분이 없는 앤드로 지너스 룩을 통해 다양성 추구를 표현하였다. 낭만과 환상을 추구하는 밀레니얼 세대의 성향은 환상적인 이미지를 차용하여 옷에 그대로 프린팅하거나 이질적인 소재의 결합 또는 엉뚱한 사람 머리의 인형, 우산, 부채 등의 오브제를 통해 연출되었다. 이처럼 뉴트로는 과거의 레트로에 현대적인 재해석을 통해 보다 젊은 세대의 감성에 부합하는 하나의 패션 트렌드로 나타났으며, 향후 보다 객관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뉴트로 스타일에 대한 개념 정립과 스타일 분석이 후속 연구를 통해 진행되길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