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idae show remarkable diversity (>11,700 spp.), accounting for a quarter of all Heteroptera. However, their phylogeny and evolutional history is still remain unclear. In this work, we provide new suggestions for the phylogeny of Miridae using a larger dataset than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we suggest an alternative evolutionary history based on newly calibrated divergence dates for Miridae and its subordinate groups, and present probable factors of the family’s success in terms of species diversity. The entire dataset comprises 16 outgroups and 188 ingroup taxa including all seven known subfamilies and 37 out of 45 known tribes. Each species is aligned as 3,577 bp with six molecular loci (COI, 16S rRNA, 18S rRNA, 28S rRNA D3 region, H2A, and H3A).
The plant bug family Miridae is the largest group in Heteroptera, and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sect groups economically in agriculture and in forestry, because it contains insect pests and predators. Among the subfamilies, Deraeocorinae represents the predatory group including some members which can be used as a biological control agent. This group comprises a total of six tribes in whole regions with their own unique morphology. However, the monophylies and relationships of tribes and genera within this subfamily are not still explored phylogenetically. In this talk, the first phylogenetic analyses of Deraeocorinae are presented based on total evidence data. Major questions including monophylies and relationships of each taxa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re discussed.
최근 대추 재배 면적이 5,160ha로 전국적으로 면적이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대추의 재배면적이 증가하면서 기존에 대추에 발생하지 않던 다양한 해충들 또한 발생을 하고 있는데 장님노린재의 경우 2015년 대추에 피해를 준다는 것이 확인 되었다. 현재 대추에 발생하는 장님노린재류는 두 종으로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와 초록장님노린재이다.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와 초록장님노린재는 대추 발아기부터 새순을 흡즙하여 피해를 주는데 피해를 받은 새순과 잎은 정상적으로 생육하지 못하고 잎에 구멍이 뚫리는 등 비정상적인 생육을 하게 된다. 장님노린재의 경우 거의 모든 대추과원에서 발생을 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대추과원에서 정확한 발생 기간과 방제 약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2017~2018년에 걸쳐 2년 동안 발생 소장을 조사 하였으며, 시판되고 있는 농약 10종을 대상으로 약제 선발 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시기별 밀도 조사의 경우 약충은 5월 상순부터 발생을 시작하여 7월 중하순까지 발생을 하였으며, 성충은 5월 하순부터 발생을 시작하여 7월 중하순까지 발생을 하였다. 또한 2017년의 경우 약충은 5월부터 꾸준히 발생량이 증가하다 7월 상순 많은 강우로 인해 밀도가 크게 감소하였으며, 2018년의 경우 5월과 7월에 발생량이 많고 6월에 발생량이 급감하여 마치 2세대가 나타나는 듯한 현상을 보였다. 물론 이는 더욱더 시간을 두고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약제 선발 시험의 경우 10종의 약제 중 페니트로티온 등 6종의 약제에서 방제가가 8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추에 발생하고 있는 장님 노린재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장님노린재가 발생하기 시작하는 5월부터 방제를 시작하여 초기밀도를 낮추어야하며, 이동성이 좋은 장님노린재의 성충이 외부로부터 유입이 될 수 있으므로 성충이 발생하는 7월까지는 꾸준한 관찰을 해 주어야만 그 피해를 줄 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Apolygus spinolae)는 포도원에서 생장 초기부터 신초를 흡즙 가해하여 잎의 기형화, 화진형상, 열매의 소립화, 기형, 열과 등의 피해를 일으킨다. 2017년과 2018년도에 경기도 화성 포도원의 캠벨얼리 품종을 대상으로 가온 하우스, 무가온 하우스, 비가림 재배, 노지 재배의 재배 양식과 생육단계별 애무늬고리장님 노린재의 발생 양상을 조사하였다. 재배양식별 피해는 1월부터 가온을 시작하여 7월 초순에 수확하는 조기가온 하우스와 3월부터 보온을 시작하여 8월 중순에 수확하는 무가온 하우스에서는 피해가 5% 미만으로 미미하였다. 그러나 비가림 및 노지재배에서는 잎과 열매의 피해가 관찰이 되었고, 특히 무농약 노지재배에서는 2017년도 27.6%, 2018년도 36%의 피해가지율을 나타내었다. 노지재배에서 피해 발생은 캠벨얼리 발아기 (BBCH(생물계절코드) 10)부터 이전 해에 포도나무 눈의 겉 인편 사이에 산란된 월동알이 부화하여 6 ~ 7엽(BBCH 16 ~ 17) 전개기까지 어린잎과 열매를 흡즙하여 피해를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 온도 적산 모델에 따른 노지재배과원의 최적 방제시기는 월동알 부화 시기에는 2017년 4월 26일 (BBCH 11), 2018년 4월 30일(BBCH 11)이였고, 1세대 성충 출현시기에는 2017년 6월 5일 (BBCH 71), 2018년 6월 8일 (BBCH 74)로 예측되었다. 즉, 월동알 부화시기는 캠벨얼리 전엽 초기(BBCH 11), 1세대 성충 출현 시기는 과립 착과 초기(BBCH 71)로 예측되었다.
Cylapine plant bug, Bothriomiris gotohi Yasunaga, 2000 and Peritropis advena Kerzhner, 1972 is reported from Korean peninsula for the first time. Morphological diagnosis for the genus is provided with dorsal habitus, female and male genital structure of Korean Cylapinae species. Also, keys to genera and to species of Korean Cylapinae provided for proper identification.
The subfamily Mirinae is the most diverse group in Heteroptera, composed of at least 4,100 described species worldwide. This subfamily is also one of the most important groups in agriculture and in forestry, containing many well-known pests and predators which can be used as a biological control agent. However, the monophyly and generic relationships of each group within this subfamily have been unclear due to the lack of phylogenetic analysis. In this talk, the first comprehensive phylogenetic analyses of this subfamily are presented based on total evidence data. Major question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re discussed, including the monophyly and relationships among the tribes and main genera, and the evolution of important characters in each group.
The orthotyline plant bug genus Ulmica is reported from Korean peninsula for the first time with one new species, Ulmica sp. sp. nov. Morphological diagnosis, the dorsal habitus and genitalia of both sexes are figured for new species. A key to the world Ulmica species is also provided to aid in their identification.
Mirinae is the most diverse subfamily within the family Miridae (Hemiptera: Heteroptera), and includes more than 4,000 species. In Korea, mirids were first recorded from Jeju Island in the mid-1960s. Since that study, numerous plant bug species from the Korean peninsula have been newly recognized and described. Previously, 101 species of Mirini were recorded from Korean peninsula. In this study, we provide an additional information of Mirini in Korea with a description of new species and new records.
The subfamily Mirinae, commonly called plant bug, represents the largest group in Heteroptera, and is also one of the most important groups economically, containing many insect pests as well as predators that can be used as biological control agent in agriculture. However, the monophyletic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each group within Mirinae are not understood to date, due to a lack of phylogenetic analysis. In this talk, the first comprehensive phylogenetic analyses of the subfamily Mirinae are presented, based on total-evidence data. Major questions raised based on result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i) Is each tribe in Mirinae a monophyletic?; (ii) Which tribes or genera are related or not related? (iii) Are these complexes monophyletic?; and (vi) Which characters are nonhomoplacious or homoplacious, and Which are supported in each group?
In this paper, two species of Mirine plant bug, Pinalitopsis rhodopotnia Yasunaga, Schwartz and Cherot, 2002 andYamatolygus pilosus (Yasunaga, 1992) are newly recorded from Korean peninsula. The dorsal habitus and genital structureof each species were provided. Also, figure of allied species, Pinalitus nigriceps Kerzhner, 1988 and P. rubeolus (Kulik,1965) are also documented to aid in the identifications of allied spe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