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기능올림픽대회를 준비하는 청년디자이너들에게 전국기능경기대회 기출과제의 경향을 분석하여 국제대회에서 원활한 과제 수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2009년부터 2024년까지 마이 스터넷에 공개된 전국기능경기대회, 국가대표선발전, 국제기능올림픽대회의 의 상디자인 직종 출제 과제를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국기능경기대 회의 의상디자인 출제 과제로 가장 많이 다루어진 의복 아이템은 재킷과 스커 트로 구성된 수트이며, 스타일선으로는 숄더 프린세스라인이 가장 많이 사용 되었다. 여밈 형태에서는 싱글 여밈이 가장 많았으며, 칼라는 테일러드 칼라 와 노치드 라펠이 가장 많이 출제되었다. 소매 디자인은 주로 두 장 소매가 사용되었으며, 포켓은 심 포켓과 웰트 포켓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국내 국 가대표선발전과 국제기능올림픽의 출제 경향을 비교해 보면, 국가대표 선 발전에서는 동일한 디자인의 의상을 정확한 치수로 제작하는 '의복 제조' 과제가 주를 이루는 반면, 국제기능올림픽에서는 선수들의 독창적인 아이 디어를 의상에 표현하는 '창작 디자인' 과제가 많이 출제되고 있다. 따라 서 국내 기능경기대회의 과제 출제 방식을 국제대회 기준에 맞추어 조정 할 것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우리 선수들이 국제무대에서의 경쟁력과 적 응력을 키워, K-패션의 글로벌 위상을 한층 더 높일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는 올림픽 출전 경험의 심리적 영향력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2004 아테네올림픽, 2008 북경올림픽, 2006 토리노동계올림픽에 참가한 대한민국선수단의 선수를 대상으로 올림픽 출전경험의 심리적 영향력을 탐색하기 위해 첫째, 올림픽 출전의 체험 특성은 무엇인가? 둘째, 올림픽 출전경험의 긍정적 영향력은 무엇인가? 셋째, 올림픽 출전 경험의 부정적 영향력은 무엇인가? 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여 103명의 자료제공자를 대상으로 개발형설문과 비구조화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한 자료의 귀납적범주화와 연역적내용전개를 통해 자료를 창출하였다. 올림픽 출전의 체험 특성과 관련해 올림픽은 다른 대회와 대회성격, 사회적 관심, 대회구조, 심리적 경험, 경기력 향상 기회가 된다는 측면에서 차별화된다. 또한 올림픽 출전 경험은 선수에게 펀더멘틀 개선, 동기유발, 정서적 안정, 경기력 변화 계기가 되는 등 긍정적 영향력을 발휘하는 반면, 성취 증후군(승자의 저주), 동기약화, 불확실성 증폭 등의 부정적 영향력을 발휘하기도 한다. 논의에서는 경기 경험의 의미를 조직화했고, 경기 경험에 의해 유발되는 경기력 변화의 설명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가 경기 경험의 영향력을 학문적 관점에서 논의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