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pite the increasing interest in Deep Borehole Disposal (DBD) for its capability of minimizing disposal area, detailed research about DBD operation system design should be conducted before the DBD can be implemented. Recently, DBD operation system applying wireline emplacement (WE) technique is under study due to its high flexibility and capability of minimizing surface equipment. In this study, a conceptual WE system, and operation procdure is introduced. The conceptual WE system consists of 3 main stations, which from the top are hoisting station (HS), canister connection station (CCS) and basement (BS). In HS, WE is controlled and monitored. The WE is controlled using wireline drum winch and sheaves, and load on wireline is measured using a load cell. HS also has a pressure control system (PCS), which monitors internal pressure of the system, and a lubricator, which act as housing for joint device, allowing the joint device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borehole. The joint device is used to connect the disposal canister to wireline for emplacement/retrieval. In CCS, a rail transporter brings a transport cask containing disposal canisters, then the transport cask is connected to the hoisting system and a PCS in the BS. The main component located at canister station are a sliding shielding door (SSD), and a slip. The SSD is used to prevent canister from falling into borehole during the connecting operation and prevent radiation from BS to affect the workers. The slip is located beneath the SSD and is used to hold the disposal canister before it is lowered into the borehole. In BS, PCS is installed to prevent overflow and blowout of borehole fluid. The PCS consists of wireline pressure valve, christmas tree and BOP, which all are a type of pressure valve to seal the borehole and release pressure inside the borehole. The WE procedure starts with transporting transport cask to CCS. The transport cask is connected to lubricator, and PCS. Joint device is lowered down to be connected with disposal canisters, then pulled up to check the load on the wireline. After the check-up, SSD is opened, and disposal canister is lowered into the borehole. When desired depth is reached, joint device is disconnected and retrieved for next emplacement. In this study, the conceptual deep borehole disposal system design implementing WE technique is introduced. Based on this study, further detailed design could be derived in future, and feasibility could be tested.
최근 도시의 발달과 기후변화로 인해 재난발생이 다양하고 복잡한 상태가 되어 예측이 어려워져 많은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재난에 대응하기 위하여 표준운영절차를 작성하여 운영하고 있으나 활용 및 운영상의 문제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난 표준운영절차에 대한 개념 및 현황을 검토하고 도시재난 사례를 통해 표준운영절차를 분석하여 그 지역 피해주민 의식조사를 통해 표준운영 절차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도시재난 발생에 따른 표준운영절차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표준운영절차 활용 및 관리체계 향상을 위한 법·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표준운영절차에 대한 법/제도적 근거는 현재 미비한 부분이 많으며 개념도 명확하게 법적 근거로 명시되어 있지 않은 것이 현 실정이다. 이에 표준운영절차 활용의 의무화, 활용을 통한 관리체계화 등 법적 근거를 마련하여 체계적인 활용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표준운영절차 활용을 위한 교육 및 훈련 실시가 요구된다. 재난 발생 시 대응 조직 및 피해지역 주민은 혼란으로 당황하게 된다. 이에 혼란 없이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교육 및 훈련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여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여건을 만들고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훈련을 통해 대응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이러한 체계적인 표준운영절차를 수립하여 교육 및 훈련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학습해야 한다. 셋째 표준운영절차상 주민대피를 위한 예·경보체계를 강화해야 한다. 표준운영절차상에서는 주민대피를 위한 예·경보 방송, 대피를 위한 방송 등 예·경보체계가 운영되고 있다. 실질적으로 의식조사를 살펴보면 방송, 사이렌 등이 주민에게까지 전달되는 것이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표준운영절차사상 주민대피를 위한 예·경보체계 강화를 위해 법·제도적으로도 개선이 요구되며 주민까지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한 세부적인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넷째 주민조직 및 주민에 대한 표준운영절차상 역할을 명시하여 체계적인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주민조직 및 주민에 대한 행동요령은 명시되어 있으나 상황 및 단계별로 주민조직 및 주민의 역할이 명시되어 있지는 않다. 이에 신속하게 대피하여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해서 주민조직 및 주민의 표준운영절차상 역할을 명시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