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7

        2.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urrent investigations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occurrence and biodiversity of plant-parasitic nematodes (PPNs) in the major citrusproducing regions of Jeju Island, South Korea. Our survey identified five genera and five species of PPNs from 82 infested Citrus unshiu field samples collected across 116 sites in the Jeju provinces. Community analysis revealed the highest prevalence of PPNs (39.02%) at Namwon-eup, significantly driven by Tylenchulus semipenetrans, followed by Paratylenchus sp., Helicotylenchus sp., Meloidogyne sp., and Pratylenchus sp. Data indicate that all 82 sites were infested with T. semipenetrans (70.68%), marking a considerable increase in prevalence compared to previous surveys and posing a significant threat to citrus cultivation. The study results also demonstrate the influence of soil type on PPNs communities, revealing correlations between soil texture and nematode diversity. Citrus orchards cultivated in black clay loam soil exhibited significant PPN infestations. Overall, the PPN survey underscores the economic importance of monitoring citrus nematode infection rates and maintaining economic threshold levels in citrus production. It also emphasizes the need for developing effective management strategies to control PPNs, which are essential for maintaining crop yield and ensuring agricultural sustainability.
        4,200원
        7.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nlike companion cats raised at home, feral cats are more likely to be infected with parasites. Feral cats can transmit parasites not only to other cats but also to pets and peopl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revalence intestinal parasites prevalence through the fecal examination of feral cats in Gunsan City. After making a suspension in Sheather's Sucrose solution, the feces were mixed and centrifuged, and then examined under a microscope. The results were revealed mostly unsporulated oocysts and sporulated oocysts of coccidia, followed by pinworm's eggs, which showed a relatively high infection rate. Scabies and mites were also found in the feces. Due to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cats, they tend to remove the foreign objects from their fur through grooming, which is why a lot of hairs were observed in the feces, and it is thought that this is why scabies and mites were also found in the fecal examination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feral cats are exposed to those parasites. It is also thought that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expanding the TNVR (trap-neuter-vaccinate-release) program, which can reduce the number of feral cats.
        4,000원
        8.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서식 환경에 따라 구분된 3화기 미국흰불나방(Hyphantria cunea Drury)을 숙주로 하는 기생파리의 종과 기생률의 차이를 확인했다. 조사 기간은 2023년 10월 24일부터 29일까지로, 방제를 실시한 서천군 국립생태 원과 방제를 실시하지 않은 군산시 근린공원에서 숙주인 미국흰불나방의 유충을 채집하였다. 유충은 기주식물 인 수국을 급여하여 실내 개별 사육하였다. 각 조사지에서 미국흰불나방의 기주식물은 국립생태원에서 8종, 근린공원에서 6종이 확인되었다. 총 숙주 380마리 중 기생파리는 106개체로 총 27.9%의 기생률을 보였고(유충 92개체, 미동정 알 14개체), 기생률은 근린공원이(39.6%) 국립생태원(12.5%)보다 더 높았다. 성충의 우화율은 63.0%로, 동정 결과 4속 92개체가 나타났다. 전체 종과 가장 많은 개체가 확인된 Exorista japonica (Townsend, 1909)의 조사지에 따른 유충 생존율과 성충 우화율은 모두 근린공원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 조사결과 E. japonica가 미국흰불나방의 생물적 방제제로 유효할 것이라 판단되며, 근린공원에서의 더 높은 기생파리 유충 생존율과 성충 우화율을 통해 인간에 의한 교란이 적은 환경에서 기생파리를 이용한 미국흰불나방 방제가 더 효과적일 것이라고 고려된다. 또한 숙주의 생존율과 기생파리의 우화율을 비교한 결과 해충 방제가 이뤄지지 않는 환경에서 천적 개체군이 유지될 가능성이 더 높다고 사료 된다.
        9.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굴파리과에 기생하는 종으로 알려진 Bitomus (갗고치벌속)는 한국에 4종 보고되어있다. Bitomus는 Fischer (1987, 1994)에 의해 개정되었 고, Papp (1978, 1981)에 의해 한국에서 보고되었다. Bitomus는 움직이지 않게 연결된 마치 껍질과 같은 2-3번째 또는 4번째 복부마디로 다른 속들 과 구별된다. 본 조사연구 결과로 Bitomus indicus를 국내 최초로 보고한다. 기술과 진단형질도판을 수록한다.
        4,000원
        12.
        202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hogadopsis속은 주로 굴파리에 기생하는 고치벌로 Opius속의 아속으로 여겨져왔다. 그러나 시맥의 형태와 단계통 분기군을 형성함에 따라 Rhogadopsis속은 속으로 격상되었다. 전라남도 여서도에서의 동물상 조사 결과, Rhogadopsis obliqua의 수컷 표본을 쓸어 잡기로 채집되었다. Rhogadopsis obliqua의 기술과 진단 형질 도판을 수록한다.
        3,000원
        19.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벗초파리기생벌인 A. japonica의 벗초파리 유충의 발육단계에 따른 기생특성과 기생당한 유충과 번데기에서 형태적인 차이를 조사하였다. 또한 A. japonica의 우화기간이 벗초파리 우화일수 보다 더 소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A. japonica는 벗초파리 유충에 효과적인 기생 및 살충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벗초파리 방제를 위한 천적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20.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기생성 천적 쌍꼬리진디벌(Binodoxys communis)에 대한 분류·동정과 성비, 수명 등 생물학적 특성과 기주 선호성을 조사하였다. 본 시험에서 조사한 온도 조건(17.5°C ~ 35.0°C) 중 35.0°C를 제외한 모든 온도 조건에서 발육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다. 온도 조건별로 는 17.5°C에서 발육 기간이 21.7일로 가장 길었고, 32.5°C에서 6.4일로 나타나 온도가 높아질수록 발육 기간이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암수 성 비는 25.0°C ~ 30.0°C의 온도범위 내에서 암컷의 비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암컷의 발육영점온도는 10.87°C, 유효적산온도는 175.44 DD였고, 수컷은 발육영점온도는 10.74°C, 유효적산온도는 175.44 DD로 암수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복숭아혹진딧물 등 4종의 농작물 주요 진딧 물을 대상으로 한 기주 선호성은 상대적으로 목화진딧물에 대하여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콩진딧물에 대해서도 높은 편이었지만, 복숭아 혹진딧물과 싸리수염진딧물에 대하여는 선호도가 낮거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