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교육비가 우리나라 가계와 사회 전체에 부담을 주고 있다. 교육부의 2015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사교육비 총 규모는 17조 8천억 원이며, 1인당 월평균 명목 사교육비는 24만 4 천원으로 나타났다. 사교육비의 대부분은 대학입학을 위한 준비과정으로 선행학습에 투여되고 있다. 선행 학습을 규제하기 위한 정부의 법적, 제도적 노력들이 지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교육과 선행학습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지 않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대학입시를 앞두고 있는 고등학교 재학생과 학부모의 선 행학습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알아보았다. 선행학습을 경험했거나 인지했던 고등학생이 지니고 있는 선행 학습에 대한 필요성과 개념, 공교육정상화법 실행 이후의 변화와 공교육 활성화를 위한 의견 등을 청취하 였다. 결국, 공교육의 활성화와 선행학습의 규제는 어느 하나의 법률 제안이나 개별 대학의 입시정책 개선 으로 바꿀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 사회 전반의 의식 수준을 높이고 미래교육에 대한 패러다임 구축을 통 해 점진적으로 추진해 나가야 할 사안이다. 앞으로의 미래교육은 점수 위주의 경쟁보다는 서로 배움과 상 호 나눔을 통한 자아실현과 지속가능한 공동체의 성장을 추구해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A simplified prerequisite program is a basic element for an effective HACCP system operating in small meat packaging plants. We analyzed current configuration of the prerequisite evaluation checklists and classified according to two categories of general hygiene management and prerequisite requirements. The general hygiene management items overlapping with non-HACCP plant evaluation items were excluded except for the high rate of non-compliances. Non-compliance rates were calculated to determine the weak points of the current prerequisite program operation, and the potential risk elements were included in the simplified prerequisite requirements. The data used for the analysis of non-compliance rates were from the HACCP accreditation evaluation inspection reports by the Korea Livestock Products HACCP Accreditation Service. Of the existing 54 evaluation items, we selected 37 core items as simplified prerequisite requirements for meat packaging plants. In addition, we recommended simple modification of the evaluation items, with one item for evaluation of one check poi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pose the use of a non-compliance rate for evaluation of the HACCP operational condition. We calculated the sectoral non-compliance rate from the HACCP prerequisite evaluation reports. This rate indicates vulnerability of the operational prerequisite conditions that must be improved to increase HACCP reliability for safe foods. The common weak point in the livestock products industry was storage and transportation management, and operating condition in butcher shops were worse than those for the other livestock businesses. In order to obtain better information on findings, evaluation items should be improved simply with one item for evaluation of one check poin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latent problems of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prerequisite program operation at Korean slaughterhouses. We analyzed the slaughterhouses HACCP operation assessment reports implemented by Consumers Union of Korea during 2007 through 2008, and also reviewed the livestock products HACCP instruction manual published by Korea National Veterinary Research and Quarantine Service. Non-compliance rates were 14.2% of facility management and 10.9% of sanitary management at mammal slaughterhouses, and 7.4% of facility management and 6.7% of sanitary management at poultry slaughterhouses. A big obstacle to better HACCP operation was a repeated non-compliances identified at the same slaughterhouse. Twenty-six inspection items of the facility management, which were same items used for the business permission standard, is required to be amended to a safety control purpose. Sanitary management items also should be complemented to more precise contents for practical and objective evaluation.
본 연구는 검역원의 선행요건 항목을 식약청 및 미국 FSIS의 선행요건과 비교 검토함으로써, 보완되어야 할 검역원 선행요건의 내용과 범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검역원과 식약청 모두 HACCP 고시에서 선행요건 평가항목을 제시하고 있으나 서로 상이한 부분이 많이 발견되므로 관리항목 범위와 내용을 조정할 필요성이 지적되었다. 또한 HACCP 적용업소가 지속적으로 확대되면 업종별 작업환경조건이 다양해지므로 HACCP 고시에서는 선행요건 관리항목의 기본 틀만 제시하고 세부지침 및 일치 불일치 조건은 별도로 명시하여 관리하는 것이 선행요건의 현장적용 활용성을 높이고 평가업무의 표준화를 이루는데 필수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