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diabetic activity of Salvia plebeia 70% ethanol extract (SPEE) and S. plebeia water extract (SPWE). The effects of SPEE and SPWE on adipogenesis were evaluated using 3T3-L1 adipocytes. Oil Red O staining showed that SPEE inhibited adipogenesis in 3T3-L1 adipocytes. Both SPEE and SPWE were analyzed for their total polyphenol contents (TPC),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α-glucosidase inhibition. SPEE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TPC and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than SPWE. Next, an oral glucose tolerance test was performed to assess the potential hypoglycemic effects of SPEE in a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ic mouse model. Blood glucose levels in STZ-induced diabetic mice decreased 30 min after treatment with SPEE (300 mg/kg) and SPWE (300 mg/kg).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a basis for further investigations into the clinical applications of SPEE as a preventative agent against diabetes.
본 논문은 재배가 용이하고 민간요법에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는 곰보배추의 에탄올 추출물이 화장품 소재로서 가능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항산화, 미백효능에 대하여 관찰하였다. B16F10 세포에서 곰보배추 에탄올 추출물 25, 50, 100 ㎍/mL 농도에서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DPPH radical 소거능을 관찰한 결과 모든 농도에서 소거능을 보여주었고, 50 ㎍/mL의 농도에서 65.2%, 100 ㎍/mL에서 77.6%의 강한 항산화 효능을 나타냈다. Raw 264.7 세포 내에서 ROS 생성 저해능을 관찰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냈고, 100 ㎍/mL 농도에서는 39.1%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NO생성 억제를 관찰하기 위해 Raw 264.7 세포에 곰보배추 에탄올 추출물을 25, 50, 100 ㎍/mL 농도 별로 첨가하여 관찰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NO생성을 억제하였다. 시험관 내에서 L-DOPA와 L-tyrosine을 이용하여 곰보배추 에탄올 추출물이 tyrosinase activity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나타냈다. 세포 내에서 MSH를 가한 B16F10 세포에 곰보배추 에탄올 추출물을 25, 50, 100 ㎍/mL의 melanin 함량을 관찰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보여주며 100 ㎍/mL에서 30.7%로 억제하였다. 따라서 곰보배추 에탄올 추출물이 항산화 기능이 있는 미백 기능성 화장품의 소재로서 개발 가능성이 충분히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