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5.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novel halophilic archaeon designated strain CBA1114T was isolated from solar salt in the Republic of Korea. Strain CBA1114T, which is a coccoid and stained Gram-negative, grew in the presence of 15-30% (w/v) NaCl (optimum, 20%) and at 20-50°C (optimum, 40°C) and pH 7.0-9.0 (optimum, pH 8.0). Strain CBA1114T required Mg2+ for growth. Strain CBA1114T had three 16S rRNA genes, rrnA, rrnB and rrnC; similarities between the sequences were 99.7 and 99.9%. The 16S rRNA gene sequence of strain CBA1114T showed a 91.7% similarity to that of Haloterrigena thermotolerans PR5T. In multilocus sequence analysis (MLSA), five housekeeping genes, atpB, EF-2, radA, rpoB’ and secY, were found to be closely related to those of the members of the genera Halorientalis (89.7% similarity of the atpB gene sequence), Halomicroarcula (91.9 %, EF-2), Haloterrigena (85.4 %, radA), Natronoarchaeum (89.2 %, rpoB’) and Natrinema (75.7 %, secY). A phylogenetic tree generated from the results of 16S rRNA gene and MLSA of the five housekeeping genes showed that strain CBA1114T was closely related to the species of the genus Halorientalis in the family Halobacteriaceae. The major polar lipids were identified as phosphatidylglycerol, phosphatidylglycerol phosphate methyl ester and unidentified lipid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hylogenetic, phenotypic and chemotaxonomic analyses, we designate strain CBA1114T as Halostella salina gen. nov., sp. nov., which represents a novel species of a novel genus within the family Halobacteriaceae.
        7.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ncern about food safety among consumers is very high at the moment, because many problems related to food safety have occurred, such as 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 (BSE). To improve consumers’ reliability about food safety issue, government in every country have tried to set various food policy, and the Korean government has also tried to set consumers at ease about their diet, for instance, food traceability system.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fine consumer perceptions and intention to participation for solar salt traceability system. As the results, consumers generally have positive perception about solar salt traceability system, and the study identifies that attitude, reliability and availability significantly influence intention to participation for solar salt traceability system.
        4,600원
        8.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위한 겔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조하였다. 고분자물질로는 Poly(ethylene oxide) (PEO)를 사용하였으며, 가소제로서 poly(ethylene glycol) (PEG)을 첨가하였고, 전해질염 및 I-/I3-의 공급원으로서 KI 및 I2를 첨가하여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조하였으며, 이와 같은 고분자 전해질막을 바탕으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제조하였다. 고분자 전해질 내의 가소제로서의 PEG는 95%의 함량으로 주입되었으며, 전해질 내의 EO 1 mole 당 KI mole 수([KI]/[EO] 비)가 0.022, 0.044, 0.066 및 0.088이 되도록 KI가 주입되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된 겔 전해질막은 상온에서 왁스(wax) 형태를 보였다. 낮은 KI 함량의 영역에서는 KI 함량이 증가하면서 전해질막을 통한 이온전도도가 증가하였으며, [KI]/[EO]비가 0.066인 때에 이온전도도는 최대값을 보인 후 0.088로 증가하면서 이온전도도는 감소하였다.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 있어서는 고분자 전해질막 내의 KI 함량이 증가하면서 VOC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반면, JSC의 경우 낮은 KI 함량의 범위에서는 KI 함량이 증가하면서 JSC는 증가하였으며 [KI]/[EO]비가 0.044인 때에 JSC가 최대값을 보인 후 그 이상의 높은 범위에서는 KI함량의 증가에 따라 JSC는 감소하였다.
        4,000원
        9.
        2014.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국내 천일염 생산 대표지역의 갯벌천일염 15종과 외국산 소금 38종에 대한 이화학적 품질 특성, 중금속 함량 및 phthalate 화합물의 오염 수준을 평가하였다. MSS에서 DEHP는 9.00~669.89 ppb 수준으로 검출되었으나 인체 안전성을 우려할만한 수준은 아니었다. 그러나 FS는 FSS 5종(3,440.64, 3,266.56, 2,189.65, 4,010.69, 4,554.20 ppb)과 FLSS 1종(1,983.27 ppb)에서 DEHP 용출규격 1.5 ppm이하를 초과하는 높은 수준이 검출되었으며, FSS 2종(930.15, 1,310.07 ppb), FLSS 1종(924.92 ppb)에서도 비교적 높은 수준이 검출되었다. 그 외의 phthalate 화합물에서는 MSS와 FS 모두에서 인체 안전성을 우려할만한 수준은 검출되지 않았다. Na 이온은 MSS(363,633.98 ppm)에 비해 FS(407,345.87~426,612.14 ppm)에서 높은 수준(p<0.05)이었으며, Mg(p<0.01), K(p<0.05), Ca 이온(p<0.05)은 FRS에서 가장 낮은 함량을, FSS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Cl 이온의 경우 MSS(532,727.07 ppm)에서 가장 낮은 함량(p<0.001)을 나타낸 반면, Br 이온(625.07 ppm)은 가장 높은 함량(p<0.001)을 나타내었으며 SO4 이온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MSS에서 Mn 함량이 높았으며, Al과 Fe의 함량은 FLSS에서 높은 수준이었다. MSS와 FS의 중금속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식용소금에 대한 중금속기준을 초과하지는 않아 소금을 통한 중금속은 안전한 수준으로 판단된다.
        10.
        2011.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소금 종류에 따른 김치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는 몇몇 보고된바 있으나, 김치는 원 부재료를 멸균하지 않는 비살균 개방형 발효로서 원 부재료의 토착미생물에 의하여 발효가 이루어지고 소금의 농도 및 온도 등의 발효조건에 영향을 받는다. 이에 천일염이 김치의 품질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박테리오신 생성능이 강화된 Leuc. citreum GJ7을 종균으로 사용하여 김치내 미생물 제어에 의한 발효조건을 동일하게 하여주고, 이에 사용된 천
        11.
        2009.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천일염의 아직 밝혀지지 않은 기능성과 청국장의 효과를 감안하여 천일염으로 제조된 청국장의 기능적 우수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Bacillus subtilis DJI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무염청국장, 3% 천일염 첨가 청국장, 3% 정제염 첨가 청국장과 3% 정제염이 첨가되어진 시판청국장의 에탄올, 물 및 헥산 추출물의 항산화력을 비교 검토하였다. 청국장 에탄올, 헥산 및 물 추출 수율은 각각 , , 범위로 청국장 용매별 간에는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