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2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상남도 사천시와 남해군에 속하는 10개 도서의 식물상을 조사하여 향후 기후변화에 따른 식물상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10개 도서의 관속식물은 113과 359속 512종 9아종 35변종 7품종 563분류군이 출현하였다. 그중 양치식물은 10과 12속 18종 1변종 19분류군, 나자식물은 4과 8속 10종 10분류군, 피자식물은 99과 339속 484종 9아종 34변종 7품종 534분류군이 출현하였다. 희귀식물은 10과 10속 10종 10분류군으로 CR등급은 목련, VU등급은 주목, 모감주나무, 범부채 3분류군, LC등급은 측백나무, 새박, 갯방풍 등의 6분류군이 출현하였다. 한국특산식물은 닥나무, 해변싸리. 처진물봉선 등의 11과 11속 10종 1품종 11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55과 86속 87종 7변종 94분류군이 출현하였다. Ⅴ등급은 목련, Ⅳ등급은 가시나무, 섬딸기, 피막이 등의 10분류군, Ⅲ등급은 바위손, 구실잣밤나무, 붉가시나무 등의 26분류군, Ⅱ등급은 모람, 번행초, 갯장구채 등의 17분류군, Ⅰ등급은 실고사리, 봉의꼬리, 푸조나무 등의 40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침입외래식물은 사방오리, 약모밀, 유채 등의 40과 91속 104종 1아종 1변종 106분류군이 출현하였다. 도시화지수는 26.17%, 귀화율은 18.83%로 나타났다. 생태계교란식물은 3과 5속 5종으로 환삼덩굴, 도깨비가지, 돼지풀, 가시상추, 양미역취 등의 5분류군이 출현하였다.
        8,300원
        2.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남해안 38개 특정도서의 암반조간대에서 2019년 8월부터 10월까지 방형구(50x50cm)를 이용하여 대형저서동물의 공간 분포와 우점종 조사를 실시하였다. 특정도서에서는 총 80종이 출현하였으며, 연체동물이 54종으로 67.4%를 차지하여 가장 우점하였고, 절 지동물은 15종(18.7%)이었다. 그 외 자포동물, 해면동물, 극피동물은 1~6종의 범위내에서 출현하였다. 지역별로 보면, 여수의 특정도서에서 61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하동, 남해, 추자도 등에서는 각각 42~46종으로 유사하였고, 보성과 고흥은 29종으로 출현종수가 가장 적었다. 정 점별 출현종수는 6종(정점 6)~33종(정점 20)의 범위로 큰 차이를 보였다. 주요 우점종은 좁쌀무늬총알고둥으로 15개 특정도서에서 우점하 였으며, 그 다음으로 검은큰따개비가 11개 특정도서에서 우점종으로 출현하였다. 좁쌀무늬총알고둥은 36개 특정도서에서 출현하여 가장 넓게 분포하였으며, 대수리 30개, 굵은줄격판담치 29개, 갈고둥 28개, 갯강구 27개, 총알고둥 26개의 특정도서에서 출현하였다. 국외반출승 인 대상종은 연체동물 9종, 절지동물 4종, 자포동물 2종이며, 국가적색목록은 총 50종으로 관심대상(LC)은 44종, 정보부족(DD) 3종, 미평가 (NE), 준위협(NT) 및 미적용(NA)은 각각 1종씩 출현하였다. 남해안 특정도서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은 지역에 따른 노출시간, 암간 조간 대의 길이, 암반기질 등 서식환경 차이에 의한 출현종수와 우점종의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추후 특정도서 모니터링과 관리방안 수립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500원
        3.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acroalgal community structure was examined at the subtidal zones of six study sites,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from between May and August 2015. A total of 132 seaweeds, comprising 10 green, 28 brown and 94 red Seaweed, were identified. The seaweed biomass was 80.32 g dry wt. m-2 in average, and it was maximal at Geomundo (166.94 g dry wt. m-2) and minimal at Byeongpungdo (14.52 g dry wt. m-2). On the basis of the biomass, the Ecklonia cava was a representative species, distributed widely in the subtidal zone of the three islands (Yeoseodo, Geomundo, Baekdo). Also, the Sargassum sp. was dominant at Sejondo and Hongdo. The turbidity and light transmittance was divided into two groups. The seaweed community structure of group A (Byeongpungdo, Sejondo, Geomundo) was characterized by high turbidity, low light transmittance and a lower habitat depth than were observed in group B (Hongdo, Baekdo, Yeoseodo). As the water depth increased, the biomass decreased due to the lowered light transmittance. In Byeongpungdo and Sejondo, which showed high turbidity and low light transmittance, the degree of seaweed coverage was decreased with the depth of water. The ESGⅡ ratio of the Ecological Status Group was higher than fourty percentage in Byeongpungdo and Baekdo. Community indices were as follows: dominance index (DI) 0.35-0.90, richness index (R) 7.03-17.93, evenness index (J′) 0.22-0.60, and diversity index (H′) 0.79-2.18. The Macroalgal zonation of the subtidal zone was calculated by the Ecklonia cava and Brown algal population on five islands (Byeongpungdo, Yeoseodo, Geomundo, Beakdo, Hongdo). On the other hand, Undaria pinnatifida and Sargassum sp. dominated at Sejondo. Additionally, the biomass ratio and the species richness of green algae was lower in group A. These differences in the seaweed community structure may have resulted from the effects of turbidity and light transmittance.
        4,000원
        7.
        200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 남부 도서지역인 진도 지방에서 울금 다수확의 기 초 자료를 얻고자 차광 재배를 실시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진도 지역에서 울금을 4월 20일 정식할 경우 4주 지난 후에 출현되고, 출현율은 83­88%이었다. 초장은 129cm­147cm이였고, 차광의 정도가 높을수록 초장이 커지는 경향이었다. 엽장은 47.5cm­49.4cm로 차광 30­60%에서 약간 양호하였다. 또한 엽폭은 16.9­17.9cm로 차광이 높을수록 짧아지는 경향이었으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울금의 1주 근경중은 941­993g으로 비대가 잘되었고, 10a당 3,980­4,200kg을 생산 할 수 있었으며, 15%와 30%차광이 수량이 약간 증수되었으나 45%이상의 차광에서는 오히려 감소되는 경향으로 차광의 효과는 인정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울금을 재배할 경우 15%차광에서 생육이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고, 근경 수량이 약간 증수되나 경제성을 고려하여 재배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