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소재·부품·장비의 한·중 산업간 무역구조 및 무역 경쟁력의 변화를 분 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먼저 수출입 추세를 보았을 때 소재·부품·장비의 대중국 무역은 지난 10여 년간 지속적으로 무역수지 흑자를 달성하고 있지만 흑자 규모는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GL 지수를 보았을 때 산 업 내 무역의 수준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동종 산업 간의 경쟁 또한 치열해지고 있 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10년간 전체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TSI 지수는 양(+)으로 나 타나 우리나라 산업의 경쟁력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TSI 지수가 지속적으로 줄어들어 산업의 경쟁력이 점차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우리 제품의 자급률 향상 및 경쟁력 강화 등을 위한 노력 을 지속적으로 기울여야 할 것으로 판단이 된다.
        5,500원
        2.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디지털 가전 및 휴대폰 등을 포괄하는 중국 전자산 업을 대상으로 OECD TiVA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2000년~2018년까지의 중국 수 출을 부가가치 기준으로 분해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국 전자산업은 총 수출 액과 부가가치 수출액 모두 세계 1위로, 2018년 기준 중국 총수출의 약 30%를 차지 하고 있었다. 국내부가가치(DVA) 측면에서 중국은 해외 부품 조달을 통해 조립․가 공한 후 수출하는 비교적 저부가가치 활동을 담당하는 중간단계에 머무르고 있는 것 이 아니라 자국 부품 조달 및 국내 생산 비중을 높여 부가가치를 높인 것으로 분석 되었다. 주요국(한국, 대만, 미국, 일본)과의 비교에서 중국 전자산업의 국내부가가치 비중은 미국, 일본 다음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고 부가가치 기준 현시비교 우위지수(VRCA)도 높은 수준으로 상승하고 있었다.
        5,500원
        3.
        2023.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t has been 30 years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and South Korea is one of China’s most important trade partners in Northeast Asia. However, with the change in manufacturing competitiveness, the global value chain position of China and South Korea, and the rise of anti-globalization and trade protectionism, the trade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has also suffered a significant impact. This paper first used the international market share and trade specialization coefficient to make a quantitative comparison of the competitiveness of the primary industries of China and South Korea. Then it measured the trade integration index and export product similarity index of China and South Korea. It is found that: although China and South Korea have a particular competitive relationship in the main industrial fields, the differences in their respective areas of strength are significant, and the two countries show a good complementarity of resources. Therefore, China and South Korea should abandon suspicion, strengthen mutual trust, further optimize the trade structure between the two countries, make use of the framework of the regional agreement of RCEP, support China and South Korean enterprises to jointly develop the third-party market, and maintain and consolidate China-South Korea relations to promote the long-term development of economic and trade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4.
        2023.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ina and South Korea, as countries belonging to the East Asian cultural circle, have always attached great importance to education service trade. Nowadays, economic diversification has become the trend of world development, education service trade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comprehensive strength competition between countries. China and the ROK are close in geographical location and have profound cultural origins. Over the years, the two countries have conducted fruitful bilateral cultural exchanges. This paper takes China and South Korea as the research object, and the comparative study of Sino-South Korea education service trade is of great significance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China’s cultural products and service trade.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China’s trade in cultural products and services can further improve China’s cultural soft power, so as to improve the development strategy of service trade and enhance its international influence in the context of China’s economic global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