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궁과 월지는 통일신라시대에 조성된 넓은 수면의 원지를 중심으로 한 궁원으로 추정된다. 원지는 입수부, 연못, 출수 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입수부는 독자적인 특징을 보이는 수경시설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는 월지 입수부의 수경에 대한 디자인수법을 밝힘으로써 통일신라시대의 궁원을 이해하고 원지조영에 대한 작법의 단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 동궁과 월지에 대한 발굴조사 성과를 바탕으로 발굴조사의 내용과 복원된 수경시설에 대한 조사와 분석 을 통하여 입수부에 대한 수경 디자인수법을 도출한다. 원지의 입수부는 직선형수로, 석조, 소지, 계류형수로, 폭포로 구성되어 다채로운 수경을 연출하고 있는데 각각의 디 자인 수법은 다음과 같다. 기하학적인 인공형태의 직선형수로는 수로의 초입부에서 직각으로 수류방향을 바꾸는 굴절점 을 세 차례 반복하는 선형을 보이는데 이는 건축물의 축선을 따른 것으로 건축물의 세력권에 영향을 받은 형태의 디자인 수법으로 볼 수 있다. 상하로 연결된 2단 석조는 물을 담은 큰 그릇으로써의 이용을 고려한 것으로 상하의 단차에 의한 물의 약동은 시각 및 청각적인 효과를 위한 디자인수법이다. 또한 석조 주위의 판석과 외연벽석으로 형성된 한정된 공간 은 가장 가까이에서 물을 접할 수 있는 친수공간으로 디자인된 수경공간이다. 완만한 곡선의 타원형에 가까운 형태의 소지는 호안의 축조와 바닥처리 및 경석의 배치에 있어서 독자적인 디자인 수법을 보이며, 기능적으로는 폭포수의 일정 한 수량공급을 위한 저수지의 역할을 한다. 자연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는 계류형 수로는 직선형 수로와 대비되는 디자 인으로 호안을 축조하는 방식에서 최대한 자연스럽게 보이기 위한 수법을 보여준다. 입수부의 마지막 단계로서 극단적 인 시각적 변화를 보여주는 폭포는 수로와 원지의 단차를 해결하는 디자인수법으로 사용되었으며, 위치설정에 있어서 완전노출을 피하여 흥미를 유발시키는 고차원의 수법이 적용되었다. 다섯 단계로 구성된 다채로운 입수부의 수경시설은 근접한 건축물의 영향을 받는 직선형의 인공적 디자인의 수경수법 에서 시작하여 점차적으로 그 영향에서 벗어나 자연스러움을 보여주는 디자인의 발전단계를 보여주는 수경시설의 디자 인수법을 보여주고 있다.
        4,300원
        2.
        2020.07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CBI를 활용한 한국 역사 문화수업의 방안을 고안하고 실제 방향을 제시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이론적 배경을 통하여 CBI의 특징 및 여러 수업 모델들의 원리와 효과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생각하기–내용 이해하기– 활용하기–마무리하기’ 라는 수업 절차를 구성하고 역사 문화수업의 실제 예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CBI를 활용한 수업 시 언어 교사가 가져야 할 전문 지식에 대한 부담감 그리고 교재 및 활동 개발 등을 제언하였다.
        3.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 불교수용에 따른 토속신앙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여러 학자들에 의 해 연구되어 왔지만, 山寺의 확산으로 인한 보살주처신앙의 성립 및 그 연관성 에 대해서는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삼국시대 산지 사찰이 정착하는 과정에서 겪었던 토속적 산신신앙과의 갈등 및 극복, 그 리고 통일 이후 화엄 신앙의 정착과 중국으로부터 전래된 보살주처신앙이 우리 나라에 미친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삼국시대 불교 전래 이후 불교신앙이 대중화됨에 따라 왕경 근처의 평지에 사 찰이 세워졌을 뿐만 아니라 山地에도 사찰이 건립되었고, 이 현상은 지방으로 까지 번져갔다. 그 과정에서 山寺의 승려와 토속의 산신 숭배자 사이에 갈등이 일어났다. 갈등의 양상은 지역에 따라 차이는 있었겠지만 대체로 불교신앙이 산신신앙을 압도하였고, 산은 불교신앙 공간으로 탈바꿈해갔다. 통일 이후에도 왕실에 의한 山神祭는 계속되었고, 전국의 名山을 三山‧五岳‧二十四山으로 나누어 大祀‧中祀‧小祀를 지내기도 했다. 하지만 이러한 제사가 불 교신앙을 약화시키지는 못했다. 오히려 그 名山에 사찰을 세움으로써 불교의 기도처를 전국에 확대하였다. 이는 왕경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던 신라불국토 의 염원이 전국으로 확대되는 것이기도 했다. 그 과정에서 중국으로부터 전래 된 화엄신앙의 한 형태인 보살주처신앙을 수용하여 우리나라의 오대산, 천관산, 낙산 등에 보살이 상주한다는 믿음이 생겨났다. 이는 불국토를 실현하고자 했던 신라인의 염원이 발현된 것이기도 했다. 그리 고 그러한 염원이 더욱 확대되면서 산에는 磨崖佛이 새겨지고 새로운 불교설화 가 만들어졌으며, 더 많은 산에 사찰들이 세워졌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세월 이 흐르면서 산 이름이 사찰명으로 변화되기도 하고 사찰명이 산 이름으로 바 뀌기도 하면서 산에 불교적 신비성이 가미되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