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과 중국의 현대소설이나 영화에서 주제의식을 드러내는 서사적 전락기제로서 빈번하게 표출되는 ‘고향’ 이미지가 현실화된 유토피아 장소인 헤테로토피아로 전환 되고, 미래의 좀 더 나은 세계를 지향하는 고향유토피아 의식으로 승화되는 동양적 인 근대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선행적으로 미셀 푸코의 미완성된 개념인 헤테로토피 아의 이론적 특징을 살펴보고 고향유토피아의 개념을 정리하였다. 김사량의 「향수」 와 루쉰의 「고향」에서 헤테로토피아와 고향유토피아는 과거를 이상화해 현실을 비판 하고 좀 더 나은 미래의 모습을 지향하고 있다. 이창동의 「초록물고기」와 지아장커 의 「샤오우」는 도시화라는 격변하는 현실에서 변하는 것과 변할 수 없는 것 사이에 서 방황하는 유동하는 헤테로토피아라고 할 수 있다.
        6,600원
        2.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비잔티움 시에는 이십세기 초 서구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모던시인들의 시도에 동참하려는 예이츠의 노력이 반영되어 있다.. 예이츠는 엘리옷 파운드와 마찬가지로 동양에서 그 해법을 찾으려 했다. 비잔티움 시는 서구의 독자들에게 새로운 영적 전통을 제공하려는 예이츠의 시도이며 비잔티움은 서구의 종교적인 전통과 동양의 영적인 생각이 어우러진 유토피아를 나타낸다. 이 두 편의 시에서 예이츠는 크리스천 내러티브 전통을 바탕으로 불교개념의 고통과 환생 그리고 인간 고통에 대한 동양 철학의 통찰을 조합하여 새로운 상징을 창조한다. 이 작업은 존재의 통합을 실현하려는 평생에 걸친 시인의 노력의 일부로 보아야 할 것이다. 지리적으로도 동양과 서양에 위치한 비잔티움은 동양과 서양을 아우르는 새로운 예이츠식 종교의 상징이다.
        5,200원
        3.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화연』은 18-19세기 이여진에 의해 창작된 것으로 신화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사회비판 의식과 혁신사상을 보여주는 청대의 소설이며, 중요한 유토피아 저작이다. 작품에서 소봉래산 으로 상징되는 선경 유토피아는 거시적 유토피아로, 신화세계(경화수월, 선녀)―선경―현실세 계(인연, 여자과거)의 구상을 드러내고 있으며, 해외 유토피아 섬나라들은 미시적 유토피아로 현실에 대한 비판과 이상향에 대한 갈망을 투영한 이상사회로서의 유토피아 구상을 보여준다. 『경화연』에서 다루고 있는 사회비판 의식과 혁신 사상은 여성 문제에 관한 인식, 현실정 치와 사회에 관한 인식, 과학문명에 대한 인식 등이 두드러진다. 혁신의 한계에 있어서는 소봉래산으로의 은일이라는 소극적 현실개혁의 유토피아를 제시하고 있으며, 유교사상을 바탕으로 태평성세의 대동사회 유토피아를 제시하며 복고에의 추구를 보여준다.
        5,800원
        4.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이츠와 히니 두 작가 모두 다른 기질과 역사 및 문화 배경으로 인하여 서로 다른 유토피아를 추구한다. 두 작가를 비교해보면 낭만적경향의 예이츠는 과거나 미래 혹은 저 먼 나라를 그린 점에 있어서 '지금' 그리고 '현재'라는 실재에 비중을 두는 히니와 다르다. 예이츠를 궁중풍 시인 혹은 켈트의 무당 혹은 기사라 칭한다면 히니는 초기에는 아일랜드 역사를 파헤치는 고고학자, 중기에는 방랑 순수시인, 그리고 후기에는 과학자적 객관주의와 초월주의 시인의 면모를 동시에 보이는 점 때문에 예이츠에 비해 사실적 작가로 평가하게 된다. 그들이 그린 유토피아에 그리스 어원을 적용해보면 예이츠는 '어디에도 없는 곳'을 히니는 '좋은 곳'을 추구한다는 차이를 발견하게 된다.
        4,900원
        5.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f we take account of the ‘Architectural Tradition’ which aims a construction of better environment, we can see that this tradition has ended historically toward Utopia. It is a continual trend from ancient Greece to contemporary epoch in each transitional periods and especially in the Renaissance Era. Utopia is an ideal commonwealth in which inhabitants exist under perfect conditions, ideally perfect places or state of things. The plans of utopia are complete projects of image, its goal is an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al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eras. Its plans are characterized by rigid geometrical pattern as circle and square, which contain generally center․axis․symmetry․enclosure. Recent urban and architectural circumstances no longer reflect utopian visions. Since the latter of the 20th century, it appears dystopia on the contrary. Therefore, the utopian ideal city and architecture describes characteristics of the era unlike the continuity of its concept.
        5,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