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생성형 AI(Generative AI) 기술을 활용하여 기본 시각디자인 분야에서의 새로운 접근 방법과 가능 성을 탐색한다. Generative AI는 데이터 기반 학습을 통해 창의적인 디자인을 생성하는 인공지능 기술로, 시 각디자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Generative AI가 시각디자인의 기본 요소와 원리에 어떻게 적용되며, 디자인 프로세스를 어떻게 혁신할 수 있는지를 분석한다. 먼저, Generative AI가 색채, 형태, 구성과 같은 디자인의 기본 요소를 어떻게 해석하고 재창조하는지에 대해 연구한다. 이를 통해 AI가 디자인의 창의 성과 예술성을 어떻게 향상시킬 수 있는지를 탐구한다. 또한, AI가 디자인 결정 과정에서 어떻게 인간 디자 이너를 보조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연구한다. 이 연구는 Generative AI를 실험하고, 이를 통해 얻은 시각디 자인 결과를 통해, AI가 시각디자인의 전통적인 접근 방식에 어떤 새로운 시각과 해석을 제공하는지를 조사 한다. AI 기술의 발전이 디자인의 미래와 디자이너의 역할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에 대한 통찰과 디자인 분 야의 전문가뿐만 아니라, AI 기술에 관심 있는 학자들에게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 을 수 있다.
        4,000원
        2.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Despite of its strategic role in shaping corporate image, Instagram predicts that 70% of its contents are not seen by users due to content overload and saturation problems. As more than 95 million photos are shared on Instagram on daily basis, when accessing Instagram, users are bombarded with a lot of visual information and consequently tend to selectively choose photos to pay attention to.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marketers to design an ads that has the ability to stop consumers and hold their attention for enough time to be processed cognitively before they scroll up or down to see other photos. This study investigates how visual aesthetic, vividness, and message type of pictures posted on Instagram affects customer responses. A content analysis of 3,952 brand content posted between July and December 2017 was conducted from the official Instagram accounts of seven global luxury brands. The top-listed brands on the Luxury Fashion Social Index namely Burberry, Calvin Klein, Chanel, Gucci, Hermes, Louis Vuitton, and Prada; were investigated as they were considered as good representatives of luxury brands with good social media presence. The coding guide in this study included the numbers of consumer responses (likes and comments), visual aesthetic (classical and expressive), vividness (high and low), and message type (literal and symbolic). For the independent variables, binary coding was used. ANOVA was used to test the hypotheses. Findings suggest that brand posts using expressive aesthetic image received more likes and comments on Instagram than the ones with classical aesthetics. Brand posts with high level of vividness receive more likes and comments than the ones with low level of vividness. Brand posts adopting using symbolic message receive more likes and comments than the ones implementing literal message.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visual aesthetics, vividness, and message types in generating likes Brand content on Instagram using a combination of expressive aesthetic, high vivid, and symbolic message generates more likes and comments than any other combinations. Instead, the content adopting a combination of classical aesthetic, low vivid, and literal message produced the least responses. From theoretical perspective, findings can extend and modify media richness theory to luxury brand and social media contexts. Instagram can be used to display brand contents with various levels of vividness. This study imply that luxury consumers favor expressive aesthetics and symbolic message more positively indicating that they tend to have high level of need for cognition in consuming brand messages. Luxury brand marketers can increase their cognitive load by increasing the level of information complexity increasing the number of colors or patterns, using metaphoric statements, or crafting symbolic messages when creating brand posts on Instagram.
        3.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s a study on what kind of effect non-verbal communication in mobil electronic commerce has on purchase intention and visual attention. For this purpose, the screen of mobile shopping mall produced arbitrarily was expos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exposed to the screen of mobile shopping mall that expressed non-verbal communication making use of cinemagraph images and the control group was exposed to the screen of mobile shopping mall based on still images. For the study, survey research and experimental research were conducted simultaneously. Data of survey research were analyzed by MANOVA and t-test, and by using eye-tracker experimental research recorded the duration of time that the subjects stared images. The results of experiment show that in non-verbal communicatio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saw cinemagraph images recorded shorter average staring time than the control group that saw ordinary images, and the cinemagraph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visual attention as well. And it was analyzed that non-verbal communication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but had no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can be interpreted that the people who saw cinemagraphs in mobile shopping environment had spent shorter time in seeing products than the people who saw ordinary images, but still the former came to have purchase intention on the product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an be useful for marketers who try to sell agrifood in mobile environment.
        4,000원
        4.
        2014.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Launched in 2008 and 2010 respectively, Instagram and Pinterest are two of the fasted growing social media platforms with 220 million users combined (Leverage 2014, Techcrunch 2014, Loren & Swiderski 2012). Their success is due to their simplicity and a focus on visuals rather than text, furthermore they are described as platforms with strategic potential for fashion brands (Wired 2012). Despite this, many fashion brands have been slow to engage with them. However the Huffington Post (2012) suggests that the visual social media has a wide appeal with respect to both brand positioning and increasing awareness. Recent research by Mashable (2014) highlights that referral traffic and spend is higher from Pinterest users than Facebook users, and this contributes to the rationale for study. The aim of this reseach is twofold, firstly it is to explore the reasons for the utilisation of visual social media platforms within a fashion brands marketing planning cycle, and second it seeks to identify the strategic and operational ways in which fashion brands can use them. For the purpose of this paper only Instagram and Pinterest are investigated. Using a qualitative and inductive approach, the study will use in-depth elite interviews with 6 UK fashion brands (2 Luxury, 2 mid-market, 2 value) alongside content analysis of their platforms. This will enable the research to also consider how each platform can be harnessed at different levels of the market therefore contributing to the lack of empirical applied research in this area.
        5.
        2010.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현대 사회에서 그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영상 중심의 사회적 소통방식이자 결과인 영상커뮤니케이션을 연구하는데 있어 현상학과 기호현상학의 적용가능성을 하나의 이론적 관점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고찰했다. 이를 위해 본고는 커뮤니케이션이 특정 표현형식과 의미내용을 담고 있는 기호 체계를 통해 이루어질 경우, 커뮤니케이터의 내적 경험세계를 바탕으로 형성되는 인식 체계를 연구방법으로 활용 할 수 있기 때문에 개별 현상과 상황마다 각기 다른 시각의 상호주관성이 개입될 수 있음을 전제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영상커뮤니케이션 연구는 커뮤니케이션의 주체와 객체 사이에서 영상이 지향되는 방식에 대한 커뮤니케이터 내부의 인식과 영상기호를 통한 일상적인 경험세계를 이론적 배경으로 하는 현상학과 기호현상학의 범주 안에서 전개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연구자와 연구대상 사이에 최소한의 정보적 공유나 정서적 공감이 없다면 커뮤니케이션이 쉽지 않다는 점을 영상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전제로 설정할 수 있으며, 영상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해와 해석의 과정이란 결국 영상을 중심으로 발생하는 특정 현상에 대한 이해의 불확실성과 해석의 불완전성을 해소하는 것이라는 점을 논증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르면, 영상커뮤니케이션에서 영상으로 재현되는 연구대상의 현실감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발견되거나 발생된 현상 자체를 설명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6,600원
        6.
        200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cannot imagine textbooks without visual images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What are their roles and fuctions in language teaching? Are they simple decorations for just visual effects? Or are they presented to facilitate listening and reading comprehesion? To answer to these questions,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se the relations between visual images and texts i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based on communicative approach, and to argue that visual images are means of conveying their own autonomous meanings.
        6,700원
        7.
        201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문화의 거리 조성을 위한 공공디자인이 국내·외로 널리 퍼지고 있다. 공공 디자인은 과거의 경직된 공공성에서 소통 공공성, 이용자 중심 공공성으로 바뀌고 있으며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에서 조차 필수성과 필요성이 점차 대두 되고 있다. 특히 지자체 공공디자인은 도시의 정체성이 될 수 있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거리는 예로부터 지역의 정체성이 잘 반영되고 있으나, 국내 지자체의 문화의 거리 대부분은 차별성이 부족하거나 비슷한 형태를 이루고 있다. 전체적인 이미지보다는 시설 하나하나에 치중 되어 있거나 불필요한 안내시설물 및 조잡한 컬러의 조합, 지역색 없는 비슷한 간판 디자인 등으로 지자체 경관을 저해 하고 있는 실정이다. 문화의 거리는 사적 공간의 일부와 공공 공간뿐 아니라 공공시설 등을 디자인적으로 고려해 미적, 기능적으로 꾸미는 일로 전국의 비슷한 디자인 거리가 아닌 지자체만의 특색 있고 차별화된 이미지가 드러나도록 해야 한다. 포천의 오래된 역사를 가진 거리 중 하나인 구절초로는 공간브랜드 아이덴티티 관점으로 접근 했을 시 어느 것 하나 제대로 정립 되어 있지 않은, 특색 없는 지자체 거리의 하나임을 알 수 있다. 이에 구절초로 문화의 거리 조성사업은 단순히 거리 정비 사업이 아닌 이야기 거리, 볼거리가 있는 테마 거리, 새로운 기대, 새로운 감성을 느끼게 해주는 문화의 거리 조성사업이 되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국내 문화의 거리 조성사업이 이루어진 7개 지자체의 문화의 거리를 공간 브랜드 아이덴티티 관점에서 요소별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포천시 문화의 거리 조성사업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이야기가 있고 감성을 겸비한 포천시만의 차별화된 브랜드거리로 재탄생 하여 지역 주민의 자긍심이 되고 지역 경제발전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