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21세기를 대표하는 뮤지션인 아델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아델의 보컬 표현 기법의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보컬의 다양한 표현 기법을 제시하고 향후 보컬리스트들의 하나의 표현기법 연구 자료로 삼고자 하는 데 목적을 가지고 연구하였다. 대중들의 삶 곳곳에 영향을 끼치며 시대적인 흐름과 사회적인 배경에 따라 여러 세부 장르를 탄생시키며, 다양한 음악 장르를 유입하고 끊임없이 대중들과 소통하며 발전을 이뤄온 대중음악은 변화하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음악 스타일은 물론이고 가창 기법 또한 계속하여 발전하고 변화해 왔다. 훌륭한 가창력에 대한 기준은 주관적이지만 고음을 안정적으로 소화하거나 음역대가 넓어야 노래를 잘한다는 일반적인 인식에 의해 음성 질환을 유발하는 무리한 고음 대신 본인이 가지고 있는 음역대에 대한 이해를 통해 본인의 음역대에 맞는 가창이 중요하다. 아델(Adele,Adele Laurie Blue Adkins)은 최초로 그래미 어워드 제너럴 필드를 두 번 석권한 뮤지션으로 대표적인 콘트랄토 음역대를 사용하는 보컬이며 폭발적인 고음이 없이도 본인이 가지고 있는 음역대 안에서 다양한 표현기법으로 곡을 표현하였다. 연구 결과 극적인 고음 테크닉 없이도 가지고 있는 음역대 안에서의 좋은 톤을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곡의 기승전결을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은 매끄러운 연출과 동시에 곡의 흐름을 고조시켜주는 벤딩의 활용과 가성과 본성의 혼용, 프레이즈 끝 음 처리의 비브라토의 활용, 강조를 위해 사용되는 스크래치의 활용, 마르카토의 활용, 단조로운 멜로디를 보완하며 빈 공간을 채워주는 애드리브의 활용이 도출되었다.
        4,000원
        2.
        201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록의 보컬 기법 중 가성의 표현 방법에 대한 분석연구를 기술하였다. 1990년대 얼터너티브 록 밴드인 라디오헤드의 보컬 표현 기법 중 가성을 중심으로 연구 하였다. 얼터너티브 록은 클래식 록과 인스트림 록의 대안으로 기존의 헤비메탈 음악으로부터 영향 받지 않는 록을 지칭하는 용어로 쓰이고 있다. 얼터너티브 록의 장르적 특성을 가진 밴드 중 고음부의 강렬한 스크리밍, 그로울링 표현 대신 가성을 사용한 라디오헤드를 분석하여 연구하였다. 라디오헤드의 아홉 개 앨범 중 가성이 들어간 곡과 진성만 있는 곡을 분류하여 특정 음역 및 주제어의 가성 표현을 살펴보았다. 확인 결과 특정 음역 및 주제어의 가성 표현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표현 기법을 진성만 들어가 있는 곡에 적용하여 개성 있는 표현을 연출 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강렬한 사운드를 기반으로 하는 록에서 가성이라는 보컬 표현 기법을 적절하게 적용한다면 다양한 표현을 확장할 수 있다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4,000원
        3.
        2018.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마이클 부블레의 앨범 중 팝 앨범으로서의 가치가 입증된 앨범을 선정하고 그중 재즈곡을 선별, 분석함으로써 대중음악에 활용된 재즈 보컬 표현기법을 도출함으로써 향후 대중음악에서 활용 가능한 재즈 보컬 표현 기법을 정립시키고 제시하는 것이 목적을 가지고 연구가 이루어 졌다. 이 연구를 위해 마이클 부블레 앨범들 중 두 장의 수상 앨범의 수록곡을 분석했고 그중 장르적으로 Jazz 외 8곡을 제외한 18곡의 분석을 통해 발견한 대표적인 보컬 기법은 싱커페이션, 비브라토이다. 이렇게 도출된 보컬 기법은 다른 보컬 기법과의 조합에 따라 추가적인 기능을 가지고 활용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싱커페이션은 개별적 기존 재즈에서 많이 활용되는 것과 같이 개별적으로 활용되기도 하지만, 마이클 부블레는 악센트, 빠른 비브라토와 조합하여 활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4.
        2017.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거친 목소리는 대중음악에서 보컬리스트들에게 희소성 있는 개성의 요소가 된다. 거친 목소리 는 인위적인 방법을 통해 만들어 낼 수 있으며, 이러한 기법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더욱 차별화 된 표현을 할 수 있다. 인위적 거친 목소리의 선택적인 사용은 커트 코베인의 보컬 표현 기법 중 하나로, 음색적인 측면의 표현 영역을 확장한다. 그의 표현 기법은 특정 단어 및 급격한 음의 도 약에서 사용되는 2도 상행 벤딩과 함께 사용되기도 하며, 이는 곡의 분위기를 목소리로 이끌어 갈 수 있게 한다. 목소리를 기법의 측면으로 접근하여 새로운 효과를 만들어 낸다는 점에서 그의 표현 기법은 충분히 연구할 만한 가치가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코베인을 중심으로 선택적 음색 표현 기법 사용에 의한 효과를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표현 영역의 확장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