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과학영재교육 관점에서 성공지능 이론은 영재교육과정이 과학영재의 특성에 맞게 제시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수단이 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과학영재교육 교재에 제시된 발문 특성을 Sternberg의 성공지능 관점을 적용 하여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교육청 영재교육원 2곳과 대학부설 영재교육원 1곳의 초등 과학영재교육 교재에 제시된 발문 각각 143개와 134개를 추출한 후, 이렇게 추출된 발문들의 구조적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기 위해 언어네트워크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청 및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의 교재는 분석적 능력, 창의적 능력, 실행적 능력 등과 같은 성공지능을 균형 있게 반영하지 못하고 있었다. 둘째, 교육청 및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의 교재는 학생들에게 ‘문제 확인하기’, ‘정보 표상하고 조직하기’, ‘분석적 사고 촉진하기’ 등 분석적 능력 영역을 집중적으로 요구하고 있었다. 셋째, 교육청 및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의 교재는 성공지능의 각 프레임 요소를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지 못한 채 제시되고 있다는 한계를 보였다. 과학영재들은 일반학생과 달리 학습속도 가 빠르고 보다 복합적인 사고를 선호하는 특성을 보이기 때문에, 앞으로 과학영재교육 교재를 개발할 때에는 과학영재의 수준에 맞게 다양한 영역의 능력을 경험하고 통합적 사고를 촉진할 수 있도록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이 연구는 과학영재들의 맞춤형 교육지원을 위한 교재 개발을 위해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5,100원
        2.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1905년 을사늑약 전후에 저술된 현채 일가의 지리교재를 분석하여 그들의 동해 지명에 대한 인식을 밝히는 것이다. 일본인들은 20세기 초까지 한국과 일본 사이의 바다를 북해로 불러왔다. 그렇지만 일본에서는 1905년 러일전쟁 이후 이 바다에 대한 지정학적 중요성으로 외래지명 일본해가 공식적으로 정착하게 되었다. 나아가 일본해는 을사늑약 이후 한국에서도 통감부의 관여로 공립 보통학교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 이에 대해 당시 한국의 민간 지리교과서 집필자들은 일본해 지명에 거부감을 갖고 있었다. 특히 현채와 그의 아들 현공렴은 을사늑약 이후에 지리교과서, 지도, 지도집을 완성하면서 일본해에 대한 자주적 입장에서 동해 또는 대한해를 사용하거나 최소한 대한해와 일본해를 함께 표기했다. 하지만 1910년 한일병합 이후 식민지 조선에서는 공 ․사립학교를 불문하고 모든 지리교과서와 지도에 이 바다의 명칭이 조선총독부에 의해 일본해로 통일되었다.
        5,100원
        3.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troke is the most basic element in modern Chinese character structure unit, normalization and standardization of stroke cannot only be essential to literacy teaching, and writing, retrieval and computer processing of Chinese characters, but can further improve normalization and standardization levels of Chinese characters. However, there are lots of disputes about many issues of stroke in academia, and contents about stroke in modern Chinese teaching materials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are inconsistent. Ten representative teaching materials of Modern Chinese are selected in this article to take strokes in these teaching materials as study object for comparison and analysis of classification, names and sequence of strokes, so as to give suggestion to normalization and standardization of strokes. The teaching materials involved in this article include: Modern Chinese (the 4th revised edition) written by Huang Borong and Liao Xudong in 2007, referred to as “Huang and Liao‟s Version”; Modern Chinese written by Hu Yushu in 1992, referred to as “Hu‟s Version”; New Modern Chinese written by Zhang Bin in 2002, referred to as “Zhang‟s Version 1”; Modern Chinese written by Zhang Zhigong in 1982, referred to as “Zhang‟s Version 2”; Introduction to Modern Chinese written by Shao Jingmin in 2001, referred to as “Shao‟s Version”; Modern Chinese written by modern Chinese teaching and research office of Department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of Peking University in 2000, referred to as “Bei‟s Version”; Modern Chinese Character Outline written by Su Peicheng in 2001, referred to as “Su‟s Version”; Modern Chinese Tutorial written by Xing Fuyi① in 1986, referred to as “Xing's Version"; Modern Chinese written by Zhou Yimin in 2006, referred to as “Zhou's Version”; Modern Chinese written by Ma Guorong in 1990, referred to as “Ma's Version”.
        5,200원
        5.
        2012.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 s study is to deve lop teaching materials for underachievers In e lementary Engli sh ed ucati on. Accord ing to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20 I I), the rate of underachievement has increased sharpl y when students go from primalY to secondary school. Therefore, it is necessalY to systematically teach underachi evers when they are in elementalY school. In order to develop teachi.ng materi als, a meta-analysis of the previous studies was cond ucted in the areas of underachi evers' characteri st ics and reasons, teaching ways, learning strategies and teaching contents. Moreover, a questionnaire survey for analyzing teachers' needs on teaching mate rials was conducted to elementalY school teachers. These resu lts were used as a fo undation to design the teaching materials. The major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developed teaching materials are expected to he lp teachers to teach underac hievers with practica l mater ia ls in the Engli sh e lementary classroom. Second, the suggested directions for developing teaching materials can gu ide teachers to develop the ir own teac hing materi als for underachi evers. Third, the integrated results of meta-ana lysis of the previous studies on teach ing underachievers help teachers to understand underac hievers better and thus construct effective teach ing strategies, teaching methods, and teaching contents.
        7,000원
        6.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어 병음은 초급 단계의 중국어 교육에서 반드시 필요한 중요 도구로 그 중요성은 이미 중국어 교육학계에서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으며 나날이 높은 관심과 중시를 받고 있다. 초급 중국어 교재에서는 어떻게 병음을 표기하느냐 하는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본문에서는 초급 중국어 교재의 병음 표기와 단어를 기준으로 하여 띄어쓰기 하는 分詞連寫에 대하여 토론하고자 한다. 8권의 초급 중국어 교재의 병음 표기 상황을 대비 분석하고 이 교재들의 병음 표기와 《汉语拼音正词法基本规则》의 보편적인 차이와 개별적 차이 및 각 교재 내부의 불일치 현상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초급 중국어 교재의 편찬에서 병음 표기의 총체적인 원칙에 대해 3가지 의견을 제시하고, 또한 구체적인 分詞連寫에 대하여 6가지 의견을 제시하였다.
        4,600원
        7.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analyzes the high school textbooks for German which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guideline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 study focuses on communicative features of texts/dialogues and the lessons in general. According to 7th National Curriculum, students have to practice all four communicative activities in German I, namely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This analysis aims at identifying and analyzing the elements which are relevant for communicative exercises. For that purpose, the author analyzes the proportion of texts in relation to dialogues, and the therein contained distribution of communicative situations or themes; another aspect of analysis deals with the question, how systematically the lessons are structured in order to enhance the four communicative activities and skills.
        5,4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