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nies struggle to make their best products with high quality and service at a competitive price in global markets. However, customer needs and requirements keep changing with a variety of situations. Companies that face the changes can not stay the same and make an effort to adapt themselves to new circumstances. They would probably review the overall management system that is currently implementing to improve management efficiency. Among other things, quality might be considered to be a crucial element if they are manufacturing industries to be sustained in global markets. KSA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is a government- affiliated organization under the Ministry of Trade, Infrastructure, and Energy. It is a Korean standards provider for quality and service industry. KSA confers national commendations for organizations, quality circles, artisans, QCEC (Quality Competitive Excellent Company), and the most honorable KNQA (Korean National Quality Award) every year. KSA established KNQA on the basis of Malcom Baldrige National Quality Award, Deming Prize, and European Quality Award. Research on quality awards shows that there are many similarities in the framework. Although KSA summarizes two factors for 13 evaluation indicators in the quality competitive excellent model of QCEC, the categorization is ambiguous to explain them according to earlier studies. We performed a deep analysis of foreign quality awards and background for KNQA and QCEC. We conducted a content analysis of KNQA and QCEC and matched evaluation items that were closely related. We proposed a quality competitiveness model with three factors, Technology, System, and Tools, summarizing 13 evaluation indicators in QCEC. Based on audit data for six years from 2012 to 2017 we carried out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the proposed model by examining the model validity and fit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glish learning strategies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flipped class and to develop teaching methods to induce the students’ learning strategies. For this purpose, 108 high school students responded to the English learning strategy questionnaire an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Through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four English learning strategies such as exploring, fulfilling, demanding and sharing were confirmed. The verified characteristic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examining goodness fit. Students have a strong tendency to constantly try new learning methods; exploring, strive to obtain visible performance and substantial rewards; fulfilling, maintain a constant attitude of seeking and collaborating with friends and teachers around them; demanding, and tried to share learning contents; sharing.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learning strategies, teachers in flipped class need to develop an assessment system that provides students with reconstructed textbooks in various aspects, give them instant and continuous learning achievement, provide active feedback, and create a learning atmosphere where project learning can be organized efficiently.
본 연구는 무대공연 전 상태불안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Smith 등(1990)이 개발한 스포츠 경쟁불안 설문지를 토대로 본 연구자가 무대공연 전 상태불안에 맞도록 문항을 수정 보완하여 제작된 20개 문항에 대한 요인탐색과 구조적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그리고 Cronbach`s α계수수를 구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무용인 238명으로 하였으며, 공연 30분전에 측정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수정 개발된 질문지는 총 20문항에서 1차 14개 문항에 3개요인, 2차 12개 문항에 3개 요인이 탐색되었으나 구성된 문항 내용상 개념에 문제가 있어 3차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8개 문항에 인지불안과 신체불안 등 2개의 요인구조로 구성되었다. 이에 대한 구성 타당도 검증을 위해 14개, 12개, 8개 문항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2개요인 8개 문항의 구조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 결과로 볼 때 스포츠를 대상으로 제작된 검사도구를 참고로 수정 제작하였기 때문에 충분한 문항이 수렴되지 않았으며, 스포츠에서 느끼는 불안의 정도와는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추후의 연구에서는 보다 개방된 문항을 수집하여 문항을 제작하고 이에 대한 요인을 탐색하여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는 위험 또는 모험스포츠 참가자의 각성추구 행동경향을 측정하고 예측하기 위한 측정도구의 통계적 검증을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자는 수영, 테니스, 야구, 헬스 그리고 패러글라이딩에 참가하는 일반인 남녀 442명(18세∼49세)을 대상으로 정용각(1997)이 구성한 질문척도를 통하여 조사분석 하였다. 척도에 대한 요인구조를 알아보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구조화된 요인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검증된 요인에 대한 종목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MANOVA를 통한 검증을 하였다.
그 결과 각성추구 행동에 대한 스릴추구와 신기함 추구 요인이 탐색되었고, 이 두 요인구조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수렴타당도와 판별타당도가 검증되었으며, 스릴추구 요인 3개 문항과 신기함 추구 요인 3개 문항으로 최종 연구모형이 확증되었다. 최종모형에 대한 적합도의 검증결과 χ^2, GFI ,AGFI, RMR 등의 적합도에서 모두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으며, 신뢰도도 .82 이상의 값을 보였다. 확인된 요인에 대한 여가운동 참가종목 별 통계적 차이를 검증한 결과 모험스포츠인 패러글라이딩 참가자가 수영, 헬스, 테니스, 그리고 야구에 참가하는 동호인들보다 스릴추구와 신기함 추구에서 모두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어 감각추구 척도를 통한 선행연구의 결과들과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는 한국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하여 신체활동 즐거움(PACES)이 한국인에게 적용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구조적 타당도와 적합도를 검사하고 한국인의 신체활동의 즐거움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조사하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자는 스포츠 센타에서 수영, 골프, 헬스, 볼링, 에어로빅 등 운동활동에 참가하는 20세 이상의 일반성인 남녀 250명(평균나이40.6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LISREL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한 측정구조에 대한 이론적 모델의 적합성을 평가했을 때 많은 적합도 지수가 부적절하게 나와 PACES가 한국인을 대상으로 신체활동의 즐거움을 측정하는 데에는 부적합 한 것으로 나타났다.